대한민국의 철도/연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2번째 줄: 62번째 줄:
**[[9월 11일]] : [[경부선|경부철도]]와 일본 철도의 연대운수 실시
**[[9월 11일]] : [[경부선|경부철도]]와 일본 철도의 연대운수 실시
**[[11월 10일]] : [[경부선|경부철도]]와 군용철도인 [[경인선]] [[용산역|용산]]-[[평양역|평양]]간 연락운수 개시
**[[11월 10일]] : [[경부선|경부철도]]와 군용철도인 [[경인선]] [[용산역|용산]]-[[평양역|평양]]간 연락운수 개시
**[[12월 22일]] : 일제, [[통감부]]를 설치{{ㅈ|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날짜/출력|1906-2-1}}이다.}}하여 국내 철도 통합운영을 추진하였다. 이는 [[을사늑약]] 이후 한반도를 본격적으로 집어삼키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었다.
**[[12월 22일]] : 일제, [[통감부]]를 설치{{ㅈ|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1906년]] [[2월 1일]]이다.}}하여 국내 철도 통합운영을 추진하였다. 이는 [[을사늑약]] 이후 한반도를 본격적으로 집어삼키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었다.
*[[1906년]]
*[[1906년]]
**[[1월 4일]] : [[경인선]]에서 일반인의 탑승 및 탁송화물 취급 개시
**[[1월 4일]] : [[경인선]]에서 일반인의 탑승 및 탁송화물 취급 개시
201번째 줄: 201번째 줄:
*[[1957년]]
*[[1957년]]
**[[3월 9일]] : [[함백선]] [[영월역|영월]]-[[함백역|함백]]간 22.6km구간이 개통, 이후 이 구간의 대부분은 [[태백선]]의 기반이 된다.
**[[3월 9일]] : [[함백선]] [[영월역|영월]]-[[함백역|함백]]간 22.6km구간이 개통, 이후 이 구간의 대부분은 [[태백선]]의 기반이 된다.
**[[7월 5일]] : 한강교량 복선 C선 복구공사 완성으로 개통식, 동시에 기존에 먼저 복구되었던 A, B선의 노후로 {{날짜/출력|1969-6-28}}까지 C선만을 사용하였다.
**[[7월 5일]] : 한강교량 복선 C선 복구공사 완성으로 개통식, 동시에 기존에 먼저 복구되었던 A, B선의 노후로 [[1969년]] [[6월 28일]]까지 C선만을 사용하였다.
**[[8월 30일]] : 특급 통일호 종전 운행시간 9시간을 7시간으로 단축
**[[8월 30일]] : 특급 통일호 종전 운행시간 9시간을 7시간으로 단축
**[[11월 10일]] : 직통열차 26개 편성에 지정좌석제 실시
**[[11월 10일]] : 직통열차 26개 편성에 지정좌석제 실시
238번째 줄: 238번째 줄:
**[[3월 11일]] : [[경부선]] 화물열차 수출호 운행 개시
**[[3월 11일]] : [[경부선]] 화물열차 수출호 운행 개시
**[[4월 1일]] : [[중앙선]]에 건설호, [[호남선]]에 증산호 특별 화물열차 운행
**[[4월 1일]] : [[중앙선]]에 건설호, [[호남선]]에 증산호 특별 화물열차 운행
**[[7월 21일]] : 특급 맹호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간 첫 운행. 이 때 주월 한국군 사령관인 채명신 장군에게 먕호 열차 명명판을 증정하였다.  
**[[7월 21일]] : 특급 맹호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간 첫 운행. 이 때 주월 한국군 사령관인 채명신 장군에게 먕호 열차 명명판을 증정하였다.
**[[7월 30일]] : 철도여행 기념 스탬프 제정
**[[7월 30일]] : 철도여행 기념 스탬프 제정
**[[11월 1일]] : 대한민국에 방한한 미국 존슨대통령이 특별열차를 이용하였다.
**[[11월 1일]] : 대한민국에 방한한 미국 존슨대통령이 특별열차를 이용하였다.
257번째 줄: 257번째 줄:
**[[4월 5일]] : 열차자동정지장치 [[ATS]]가 [[경부선]]에 설치 완료됨. 이 당시 총 설치 공사비는 당시 금액으로 2억 7,400만원이었다.
**[[4월 5일]] : 열차자동정지장치 [[ATS]]가 [[경부선]]에 설치 완료됨. 이 당시 총 설치 공사비는 당시 금액으로 2억 7,400만원이었다.
**[[5월 15일]] : [[경부선]]과 [[호남선]]에 열차 무선전화가 개통되었다.
**[[5월 15일]] : [[경부선]]과 [[호남선]]에 열차 무선전화가 개통되었다.
**[[6월 20일]] : [[문경선]] [[진남역|진남신호소]]-[[문경역|문경]]간 10.6km가 개통되면서 여객열차 3왕복이 신설되어 운행을 시작하였다.
**[[6월 20일]] : [[문경선]] [[진남신호소]]-[[문경역|문경]]간 10.6km가 개통되면서 여객열차 3왕복이 신설되어 운행을 시작하였다.
**[[6월 28일]] : [[경인선]] [[서울역|서울]]-[[인천역|인천]]간 복선 38.7km구간이 개통되었다. 또한 이날 이전에 복구공사에 들어갔던 [[한강철교]]의 A, B선의 공사가 완료되었다.
**[[6월 28일]] : [[경인선]] [[서울역|서울]]-[[인천역|인천]]간 복선 38.7km구간이 개통되었다. 또한 이날 이전에 복구공사에 들어갔던 [[한강철교]]의 A, B선의 공사가 완료되었다.


288번째 줄: 288번째 줄:
*[[1977년]]
*[[1977년]]
**[[4월 6일]] : 대우중공업에서 국내 최초로 국산전동차{{ㅈ|[[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편성이 제작되어서 시험운행을 시작하였다.
**[[4월 6일]] : 대우중공업에서 국내 최초로 국산전동차{{ㅈ|[[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편성이 제작되어서 시험운행을 시작하였다.
**[[11월 11일]] : [[익산역|이리역]] 구내에서 [[이리역 폭발사고|화약 적재열차 폭발]]로 [[호남선]], [[전라선]]이 불통되었다. 당시 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만 59명, 중경상 1,300여명이 발생하고 철도인은 16명이 순직, 50여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상 최악의 철도 사고였다.
**[[11월 11일]] : [[익산역|이리역]] 구내에서 [[이리역 폭발|화약 적재열차 폭발]]로 [[호남선]], [[전라선]]이 불통되었다. 당시 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만 59명, 중경상 1,300여명이 발생하고 철도인은 16명이 순직, 50여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상 최악의 철도 사고였다.
**[[12월 15일]] : [[마산시]] 도시계획 촉진책으로 [[구마산역]], [[마산역]], [[북마산역]]을 통폐합하여 [[마산역|마산 3역 통합역사]] 준공 및 영업개시
**[[12월 15일]] : [[마산시]] 도시계획 촉진책으로 [[구마산역]], [[마산역]], [[북마산역]]을 통폐합하여 [[마산역|마산 3역 통합역사]] 준공 및 영업개시
*[[1978년]]
*[[1978년]]
**[[5월 5일]] : [[어린이날]]을 기념하여 [[대통령]] 지시사항으로 [[제주도]]와 [[흑산도]]에 [[증기기관차]]와 객차가 영구 전시된다.
**[[5월 5일]] : [[어린이날]]을 기념하여 [[대통령]] 지시사항으로 [[제주도]]와 [[흑산도]]에 [[증기기관차]]와 객차가 영구 전시된다.
**[[11월 10일]] : [[이리역 폭발사고]]로 무너졌던 [[익산역|이리역]]이 신축되었다.
**[[11월 10일]] : [[이리역 폭발|폭발]]로 무너졌던 [[익산역|이리역]]이 신축되었다.
*[[1979년]]
*[[1979년]]
**[[9월 18일]] : [[7300호대 디젤 기관차|국산 디젤기관차]] 첫 운행식. 이 차량은 [[현대로템|현대차량]]에서 미국 GM과 기술제휴로 제작한 기관차이다.
**[[9월 18일]] : [[7300호대 디젤기관차|국산 디젤기관차]] 첫 운행식. 이 차량은 [[현대로템|현대차량]]에서 미국 GM과 기술제휴로 제작한 기관차이다.


==1980년대==
==1980년대==
351번째 줄: 351번째 줄:
**[[12월 16일]] : [[경부고속철도]]의 객차 모형이 이듬해 1월 15일까지 한달간 [[서울역]] 광장에 전시됨
**[[12월 16일]] : [[경부고속철도]]의 객차 모형이 이듬해 1월 15일까지 한달간 [[서울역]] 광장에 전시됨
*[[1995년]]
*[[1995년]]
**[[4월 28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지하철]] 공사현장에서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가스 폭발 사고]]로 101명 사망, 145명 부상
**[[4월 28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지하철]] 공사현장에서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가스 폭발]]로 101명 사망, 145명 부상
**[[5월 1일]] : 열차 승차권의 [[신용카드]] 판매 실시(14개역 20개 창구)
**[[5월 1일]] : 열차 승차권의 [[신용카드]] 판매 실시(14개역 20개 창구)
**[[11월 20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창립(현 [[대구도시철도공사]])
**[[11월 20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창립(현 [[대구도시철도공사]])
403번째 줄: 403번째 줄:
**[[5월 2일]] : [[중앙선]] [[덕소역|덕소]]-[[원주역|원주]]간 복선전철 기공식
**[[5월 2일]] : [[중앙선]] [[덕소역|덕소]]-[[원주역|원주]]간 복선전철 기공식
**[[9월 18일]] : [[경의선]] 및 [[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
**[[9월 18일]] : [[경의선]] 및 [[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
**[[11월]] : [[광주 도시철도공사]] 창립
**[[11월]] : [[광주교통공사]] 창립
**[[11월 30일]] : [[고양고속철도차량기지]] 준공.
**[[11월 30일]] : [[고양고속철도차량기지]] 준공.
*[[2003년]]
*[[2003년]]
414번째 줄: 414번째 줄:
**[[11월 17일]] : [[KTX]]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 전구간의 시험운행 완료
**[[11월 17일]] : [[KTX]]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 전구간의 시험운행 완료
**[[11월 28일]] : [[KTX]] 국내생산분 34개편성의 재작완료 출고식
**[[11월 28일]] : [[KTX]] 국내생산분 34개편성의 재작완료 출고식
**[[12월 26일]] : [[8200호대 전기 기관차]] 도입.
**[[12월 26일]] : [[8200호대 전기기관차]] 도입.
*[[2004년]]
*[[2004년]]
**[[1월 1일]] : [[서울역]] 신역사 준공. [[한국철도시설공단]] 설립.
**[[1월 1일]] : [[서울역]] 신역사 준공. [[한국철도시설공단]] 설립.
536번째 줄: 536번째 줄:
*[[2013년]]
*[[2013년]]
**[[1월 1일]] : [[신항남선]] 개통
**[[1월 1일]] : [[신항남선]] 개통
**[[1월 5일]] : 동차형 [[새마을호]]가 운행을 중지했다.
**[[1월 31일]] : [[신항북선]] 개통
**[[1월 31일]] : [[신항북선]] 개통
**[[2월 25일]] : 성북역을 [[광운대역]]으로 개칭
**[[2월 25일]] : 성북역을 [[광운대역]]으로 개칭
561번째 줄: 562번째 줄:
**[[8월 1일]] : [[경원선]] [[평화열차]]([[서울역]] ~ [[백마고지역]]) 운행 개시
**[[8월 1일]] : [[경원선]] [[평화열차]]([[서울역]] ~ [[백마고지역]]) 운행 개시
**[[8월 2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병점역구간 급행열차
**[[8월 2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병점역구간 급행열차
**[[9월 15일]] : [[원주-강릉선]] 공사로 [[강릉역]] 운영 중지, 여객 임시 종착역을 [[정동진역]]으로, 화물 종착역을 [[안인역]]으로 이관
**[[9월 15일]] : [[경강선]](원주~강릉) 공사로 [[강릉역]] 운영 중지, 여객 임시 종착역을 [[정동진역]]으로, 화물 종착역을 [[안인역]]으로 이관
**[[9월 20일]] : [[용인경전철]]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 시행
**[[9월 20일]] : [[용인경전철]]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 시행
**[[10월 25일]] : [[경의선]] [[강매역]] 개업
**[[10월 25일]] : [[경의선]] [[강매역]] 개업
578번째 줄: 579번째 줄:
**[[3월 28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신논현역]] ~ [[종합경기장역 (서울)|종합경기장역]]) 개통
**[[3월 28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신논현역]] ~ [[종합경기장역 (서울)|종합경기장역]]) 개통
**[[4월 1일]] : [[광주역]]행 [[KTX]] 운행 종료
**[[4월 1일]] : [[광주역]]행 [[KTX]] 운행 종료
**[[4월 2일]] : [[호남고속선]] 1단계 구간([[오송역]] ~ [[광주송정역]]), [[동해선]]([[모량역]] ~ [[포항역]]), [[건천연결선]] 개통
**[[4월 2일]] : [[호남고속선]] 1단계 구간([[오송역]] ~ [[광주송정역]]), [[동해선]]([[모량신호장]] ~ [[포항역]]), [[건천연결선]] 개통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8월 1일]] : [[경부고속선]] 대전·대구 도심구간 개통 및 대전북연결선, 대구남연결선이 경부고속선 본선으로 편입
**[[8월 1일]] : [[경부고속선]] 대전·대구 도심구간 개통 및 대전북연결선, 대구남연결선이 경부고속선 본선으로 편입
597번째 줄: 598번째 줄:
**[[12월 9일]] : [[수서역|수서]]~[[지제역|평택]]간을 연결하는 [[수서평택고속선]] 및 [[SRT]]가 정식 개통었다.
**[[12월 9일]] : [[수서역|수서]]~[[지제역|평택]]간을 연결하는 [[수서평택고속선]] 및 [[SRT]]가 정식 개통었다.
**[[12월 29일]] : [[부전역]]과 [[일광역]]을 연결하는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12월 29일]] : [[부전역]]과 [[일광역]]을 연결하는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2017년]]
*[[2017년]]
**[[1월 21일]] : [[경의·중앙선]] 지평역까지 연장 개통.
**[[1월 21일]] : [[경의·중앙선]] 지평역까지 연장 개통.
**[[5월 31일]] : 서울 지하철 양대 운영사였던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를 통합한 [[서울교통공사]] 출범.
**[[5월 31일]] : 서울 지하철 양대 운영사였던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를 통합한 [[서울교통공사]] 출범.
**[[9월 2일]] :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역|북한산우이]]~[[신설동역|신설동]] 구간 개통.
**[[9월 18일]] : [[중앙선 기관차 추돌 사고]] 발생.
**[[9월 18일]] : [[중앙선 기관차 추돌 사고]] 발생.
**[[12월 22일]] : [[경강선]] 원주~강릉 구간 ([[서원주역]]~[[강릉역]]) 개통
**[[12월 22일]] : [[경강선]] 원주~강릉 구간 ([[서원주역]]~[[강릉역]]) 개통.


*[[2018년]]
*[[2018년]]
608번째 줄: 609번째 줄:
**[[1월 26일]] : [[동해선]] [[포항역]]~[[영덕역]] 구간 개통.
**[[1월 26일]] : [[동해선]] [[포항역]]~[[영덕역]] 구간 개통.
**[[4월 28일]] : [[신분당선]] [[미금역]] 개통.
**[[4월 28일]] : [[신분당선]] [[미금역]] 개통.
**[[4월 30일]] : 구형 [[새마을호]] 열차 정기 운행에서 퇴역. <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04/2018040400040.html <nowiki>[NOW]</nowiki> '아날로그 시대 특급열차' 옛 새마을호, 추억 속으로], [[조선일보]]</ref>
**[[4월 30일]] : 구형 [[새마을호]] 열차 정기 운행에서 퇴역. <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04/2018040400040.html <nowiki>[NOW] '아날로그 시대 특급열차' 옛 새마을호, 추억 속으로</nowiki>], [[조선일보]]</ref>
**[[5월 9일]] : [[철도의 날]] 날짜를 6월 28일로 변경. <ref>[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525826416157222013 정부, ‘철도의 날’ 6월 28일로 변경], [[전기신문]]</ref>
**[[5월 9일]] : [[철도의 날]] 날짜를 6월 28일로 변경. <ref>[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525826416157222013 정부, ‘철도의 날’ 6월 28일로 변경], [[전기신문]]</ref>
**[[6월 16일]] : [[서해선]] [[소사역]]~[[원시역]] 구간 개통.
**[[6월 16일]] : [[서해선]] [[소사역]]~[[원시역]] 구간 개통.
614번째 줄: 615번째 줄:
**[[12월 1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종합운동장역]]~[[중앙보훈병원역]] 구간 개통.
**[[12월 1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종합운동장역]]~[[중앙보훈병원역]] 구간 개통.
**[[12월 31일]] : [[분당선]] [[왕십리역|왕십리]]~[[청량리역|청량리]] 구간 개통.<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552707 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 연합뉴스</ref>
**[[12월 31일]] : [[분당선]] [[왕십리역|왕십리]]~[[청량리역|청량리]] 구간 개통.<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552707 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 연합뉴스</ref>
*[[2019년]]
**[[9월 28일]] : [[김포골드라인]] 개통.
**[[10월 8일]] : [[월미바다열차]] 개통.
**[[12월 21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내역]] 개통.
== 2020년대 ==
*[[2020년]]
**[[3월 28일]] : [[경의·중앙선]] [[문산역|문산]]~[[임진강역|임진강]] 구간 및 [[동해선]] [[부산원동역]] 개통.
**[[8월 8일]] : [[하남선]] [[미사역]], [[하남풍산역]] 개통.
**[[9월 12일]] : [[수인·분당선]] [[수원역|수원]]~[[오이도역|오이도]] 구간 개통.
*[[2021년]]
**[[3월 27일]] : [[하남선]] [[강일역]], [[하남시청역|하남시청]]~[[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 구간 개통.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역|부평구청]]~[[석남역|석남]] 구간 개통.
**[[10월 30일]] : [[탕정역]] 개통.
**[[12월 18일]] : [[서울 지하철 8호선]] [[남위례역]] 개통.
**[[12월 28일]] : [[동해선 광역전철]] [[일광역|일광]]~[[태화강역|태화강]] 구간 개통.
*[[2022년]]
**[[3월 19일]] : [[진접선]] 개통.
**[[3월 31일]] : [[경부선]] [[서대구역]] 개통.
**[[5월 28일]] : [[신림선]] 및 [[신분당선]] [[강남역|강남]]~[[신사역|신사]] 구간 개통.
*[[2023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 [[소사역|소사]]~[[대곡역 (고양)|대곡]] 구간 개통.
**[[8월 26일]] :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 [[대곡역 (고양)|대곡]]~[[일산역|일산]] 구간 개통.


{{주석}}
{{주석}}
{{연표}}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

2023년 11월 27일 (월) 23:35 기준 최신판

대한민국의 철도 역사에 관련한 연표

1800년대[편집 | 원본 편집]

  • 1877년
    • 2월 : 수신사 김기수, 일동기유에서 일본 철도 시승기 소개
  • 1894년
    • 7월 : 주미 대리공사 이하영이 귀국시 철도 모형도를 가져와 고종에게 관람시키면서 철도의 필요성을 주장
    • 8월 1일 : 청일전쟁의 발발로 일본은 서울-인천간 군용철도를 부설하기 위해 철도기사를 보내 철도부지를 사전 답사하게 함
  • 1896년
    • 3월 29일 : 조선 정부, 경인철도의 부설권을 미국인 제임스 R. 모스에게 특허
    • 7월 3일 : 조선정부, 경의철도의 부설권을 프랑스 피브릴르사에게 특허
    • 7월 17일 : 농상공부에서 국내철도규칙 7조를 제정하여 공포함. 이 때 궤간을 4척8촌5푼(1435mm)의 표준궤로 정함
  • 1897년
  • 1898년
    • 5월 10일 : 모스, 경인선을 경인철도인수조합에 양도(당시 금액으로 1,702,452원 75전)
    • 6월 3일 : 박기종이 부산-낙동강 하단에 이르는 부하철도 부설권을 취득
    • 7월 6일 : 농상공부에 철도사를 설치함. 이후 철도사는 철도국으로 개정됨
    • 9월 : 광궤였던 국내 철도의 5척 궤간을 다시 4척8촌5푼의 표준궤로 환원
    • 9월 8일 : 경부철도합동조약의 체결로 경부선 부설허가
  • 1899년

190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1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2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3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4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5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6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7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8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90년대[편집 | 원본 편집]

2000년대[편집 | 원본 편집]

2010년대[편집 | 원본 편집]

2020년대[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대한제국정부를 의미
  2. 정확히는 가영업운전임
  3. 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1906년 2월 1일이다.
  4. 수원 인근
  5. 현재의 장춘
  6. 광복 당시 철도 현황은 영업거리 6,362km, 기관차 1,166대, 객차 2,027량, 화차 15,352량, 역 수는 762개소였다. 이 중 남한 철도의 현황은 총연장 3,738km, 영업거리 2,642km, 기관차 488대, 객차 1,280량, 화차 8,424량, 동차 29량, 역 수는 300개소였다.
  7. 당시 사설철도의 길이는 표준궤구간 416.5km, 협궤구간 125.3km였다.
  8. 6.25 전쟁 철도 피해상황 : 터널 4,935m(6%), 선로 329,480m(7.5%), 신호 및 보안장치 20%, 급탄설비 38개소(40%), 전기신호장비 56%, 역건물 41%, 공장설비 27%, 기관차 51%, 교량 9,351m(12%), 노반 100,000m(3%), 급수시설 26개소(25%), 전신전화시설 50%, 전력설비 56%, 선로 부대건물 39%, 자재 80%, 객차 50%, 화차 34%
  9. 전란 중 UN군이 사용하다 휴전후 ICA 원조계획에 의해 이양됨
  10. 재건호, 통일호 341, 32, 9, 10열차의 2등차 및 침대차
  11. 유니백 9400
  12.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총 320.8km
  13. 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4. KTX 13호
  15. KTX 46호
  16. 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
  17. 인천국제공항 ~ 김포국제공항
  18. 경의선 문산-개성 27.3km는 남측 문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개성역까지 왕복운행, 동해선 제진-금강산 25.5km구간은 북측 금강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제진역까지 왕복운행
  19.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20. [NOW] '아날로그 시대 특급열차' 옛 새마을호, 추억 속으로, 조선일보
  21. 정부, ‘철도의 날’ 6월 28일로 변경, 전기신문
  22. 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