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시철도 3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 |
|
---|---|
![]() 옥수역으로 들어오는 열차 |
|
종류 | 도시철도(서울), 운행계통광역전철 |
구간 |
도시철도: 지축 ~ 오금 광역전철: 대화 ~ 오금 |
영업거리 |
38.2 km (도시철도) 57.4 km (광역전철) |
소유자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
운영자 |
서울교통공사 (도시철도, 광역전철 차량) 한국철도공사 (일산선, 광역전철 차량) |
개통일 |
1985년 7월 12일 (도시철도) 1996년 1월 30일 (광역전철) |
시설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2 |
전기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1] |
신호 | ATC |
일산선 구간의 시설 정보는 해당 문서 참고 |
서울 도시철도 3호선(서울 지하철 3호선)은 경기도 고양시 지축역과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역을 잇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지축역과 대화역을 잇는 일산선과 직결운행하는데, 이 운행계통을 수도권 전철 3호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직결운행 초기에는 노선도에 일산선이 국철로 표기되고 노선색도 3호선과 달랐지만, 2000년 4월 1일부터 모두 합쳐 3호선으로 표기하고, 노선색도 통일하였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85년 7월 12일: 구파발~독립문 구간 개통.
- 1985년 10월 18일: 독립문~양재 구간 개통.
- 1987년 5월 1일: 중앙청역 이름을 경복궁으로 변경[2]
- 1990년 4월 1일: 교대역 이름을 교대(법원·검찰청)으로,[3] 화물터미널역 이름을 남부터미널로 변경.[4]
- 1990년 7월 13일: 지축~구파발 구간 개통.
- 1991년 7월 31일: 양재역 이름을 양재(서초구청)으로 변경.[5]
- 1993년 10월 30일: 양재~수서 구간 개통.
-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개통 및 3호선 직결 운행 개시.
- 1999년 12월 26일: 경복궁역 이름을 경복궁(정부중앙청사)로 변경.[6]
- 2010년 2월 18일: 수서~오금 구간 개통.
- 2013년 1월 3일: 경복궁(정부중앙청사)역 이름을 경복궁(정부서울청사)로 변경.[7]
- 2014년 12월 27일: 일산선 원흥역 개업.
운행[편집 | 원본 편집]
- 일반 [대화~오금]
- 특별한 일이 없는 이상 기본적인 운행 패턴
- 일반 [대화~수서]
- 수서차량사업소 입고 열차
- 일반 [대화~삼송] / [구파발~오금]
- 지축차량사업소 입고 열차, 구파발행 일부는 종착 후 오금 방면 반복 운행.
차량[편집 | 원본 편집]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과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이 모두 운행하며, 한 편성의 길이는 10량이다. 열차는 지축, 수서차량사업소에서 관리한다.
서울교통공사 소속[편집 | 원본 편집]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은 3000호대 번호를 사용하며 퇴역 차량의 번호를 재사용한다.
차량 | 편성 | 도입 | 설명 |
---|---|---|---|
3000호대, 현대로템 2세대 | 301~315 321~333 336~340 349 |
2009~2010 | |
3000호대, 다원시스 | 316~320 334~335 341~348 |
2021~2022 | |
퇴역 차량 | |||
3000호대, 쵸퍼제어 광폭형 | 316~347 | 1984 | |
3000호대, 쵸퍼제어 광폭형 | 301~315 334~335 341~348 |
(이적) |
한국철도공사 소속[편집 | 원본 편집]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 역시 3000호대 번호를 사용하며 퇴역 차량의 번호를 재사용한다. 이는 서울교통공사에서 위탁 관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차량 | 편성 | 도입 | 설명 |
---|---|---|---|
3000호대, 현대로템 3세대 | 387~394 | 2021~2023 | |
3000호대, 우진산전 | 395~399 368~370 |
2022~2023 | |
퇴역 차량 | |||
3000호대, 현대로템 1세대 | 371~386 | 1995~1997 |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직류 전용 노선
- 당초 일산선은 운영사인 철도청의 운행방식에 따라 좌측통행에 25 kV 교류전원을 도입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감사원에서 이렇게 될 경우 직교류 겸용 전동차를 도입하는 비용[8]과 승객들이 교류에서 직류로 바뀌는 지점에서 갈아타야한다는 점을 지적하여, 일산선은 서울 도시철도와 동일 규격으로 지어지게 되었다.[9]
3호선의 평화는 지켜졌다.
-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위탁 검수
- 일산선 운행 목적으로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일산선에 별도의 철도공사 소속 차량기지를 건설하지않고 대신 서울교통공사의 차량기지인 지축차량사업소에 차적을 등록하여 운행종료 후 해당 기지에 입고하여 서울교통공사의 관리를 받는다. 철도공사 소속 기관사들은 대곡역 (고양)에 설치된 차량승무사업소를 통해 근무교대를 한다. 지축역의 위치는 이런 특성을 감안하여 도시철도 3호선의 마지막역인 구파발역과 일산선 구간인 삼송역 중간 위치에 건설되었으며, 최초 6량 규격으로 건설되었던 지점을 연장하여 10량 규격으로 증축하면서 나머지 4량 규격의 구역은 철도공사가 시공하였기에 구역구분 경계석이 남아있다.
- 일산선의 불량한 선형
- 원래 3호선의 연장은 일산쪽 방향이 아닌 벽제쪽 방향이었다. 따라서 마지막 역인 지축역은 이러한 계획을 염두에 두고 위치를 잡았으나, 이후 일산신도시 건설계획이 발표되고, 정부 주도하에 신도시의 교통편의를 위한 일산선 건설 및 신도시 주민들의 서울 통근 편의성을 위하여 3호선과의 직결이 결정되면서 일산선 구간의 굴곡진 선형이 시작되었다. 일산선은 또한 철도청 광역전철 성격보다 도시철도의 성격이 강했으므로, 일산신도시와 지축역 사이에 건설된 주거지역인 화정지구와 원당지구를 모른체 할 수 없었기에 최종적으로는 일산에서 화정으로 크게 휘어지고, 또다시 원당을 거쳐 지축으로 이어지는 현재의 선형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굴곡진 선형으로 인하여 일산신도시에서 3호선을 이용하여 서울로 진입하는데 시간 소요가 늘어나게 되었으며, 이로인해 일산신도시 주민들은 시간절약 효과가 큰 서울방면 광역버스[10]를 주로 이용하게 되었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일산선 구간의 자세한 연계 노선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세요.
노선
|
번호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소재지 | ||
---|---|---|---|---|---|---|---|
지축 | 대화 | ||||||
309 | -19.2 | 0.0 | 대화 | 고양시 | |||
310 | -17.8 | 1.4 | 주엽 | ||||
311 | -16.2 | 3.0 | 정발산 | ||||
312 | -15.3 | 3.9 | 마두 | ||||
313 | -13.9 | 5.3 | 백석 | ||||
314 | -7.8 | 7.8 | 대곡 | ● 경의·중앙선, ● 서해선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코레일 일반열차 | |||
315 | -9.3 | 9.9 | 화정 | ||||
316 | -6.7 | 12.5 | 원당 | ||||
317 | -3.8 | 15.4 | 원흥 | ||||
318 | -1.7 | 17.5 | 삼송 | ||||
319 | 0.0 | 19.2 | 지축 | 일산선 (연결) | |||
서울 도시철도 3호선
| |||||||
320 | 1.5 | 20.7 | 구파발 | 은평구 | |||
321 | 3.5 | 22.7 | 연신내 | ● 6호선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 |||
322 | 4.8 | 24.0 | 불광 | ● 6호선 | |||
323 | 5.9 | 25.1 | 녹번 | ||||
324 | 7.5 | 26.7 | 홍제 | 서대문구 | |||
325 | 8.4 | 27.6 | 무악재 | ||||
326 | 9.5 | 28.7 | 독립문 | ||||
327 | 11.1 | 30.3 | 경복궁(정부서울청사) | 종로구 | |||
328 | 12.2 | 31.4 | 안국 | ||||
329 | 13.2 | 32.4 | 종로3가 | ● 1호선, ● 5호선 | |||
330 | 13.8 | 33.0 | 을지로3가 | ● 2호선 | 중구 | ||
331 | 14.5 | 33.7 | 충무로 | ● 4호선 (연결) | |||
332 | 15.4 | 34.6 | 동대입구 | ||||
333 | 16.1 | 35.3 | 약수 | ● 6호선 | |||
334 | 16.9 | 36.1 | 금호 | 성동구 | |||
335 | 17.7 | 36.9 | 옥수 | 경원선: ● 경의·중앙선, ■ ITX-청춘 | |||
336 | 19.8 | 39.0 | 압구정 | 강남구 | |||
337 | 21.3 | 40.5 | 신사 | ● 신분당선 | |||
338 | 22.2 | 41.4 | 잠원 | 서초구 | |||
339 | 23.4 | 42.6 | 고속터미널 | ● 7호선, ● 9호선 | |||
340 | 25.0 | 44.2 | 교대(법원·검찰청) | ● 2호선 | |||
341 | 25.9 | 45.1 | 남부터미널(예술의전당) | ||||
342 | 27.7 | 46.9 | 양재(서초구청) | ● 신분당선 | |||
343 | 28.9 | 48.1 | 매봉 | 강남구 | |||
344 | 29.7 | 48.9 | 도곡 | 분당선: ● 수인·분당선 | |||
345 | 30.5 | 49.7 | 대치 | ||||
346 | 31.3 | 50.5 | 학여울 | ||||
347 | 32.2 | 51.4 | 대청 | ||||
348 | 33.4 | 52.6 | 일원 | ||||
349 | 35.2 | 54.4 | 수서 | 수서평택고속선: ■ SRT 분당선: ● 수인·분당선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 |||
350 | 36.6 | 55.8 | 가락시장 | ● 8호선 | 송파구 | ||
351 | 37.4 | 56.6 | 경찰병원 | ||||
352 | 38.2 | 57.4 | 오금 | ● 5호선 마천지선 |
연장 계획[편집 | 원본 편집]
- 파주 연장
- 송파하남선
각주
- ↑ 구파발 ~ 오금 구간은 가공강체가선 사용
- ↑ 서울특별시고시 제136호
- ↑ 3호선 화물터미널·교대역 다음달부터 이름바꾸기로, 한겨레
- ↑ 서울특별시고시 제38호
- ↑ 신설 지하철역 이름 크게 바꿔, 한겨레
- ↑ 수유동 백운봉길→'4.19길', 한겨레
- ↑ 서울특별시고시 제2012-369호
- ↑ 직류와 교류를 전환시키는 컨버터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 ↑ 서울시-철도청 건설방식 이견 일산선 전철 완공 지연, 한겨래, 1992년 8월 6일
- ↑ 대표적으로 일산과 서울역을 이어주는 1000번, 일산에서 당산을 거쳐 영등포를 이어주는 870번 등이 있다.
- ↑ 차량사업소 이전 조건으로 연장이 성사된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진접선 사례와 유사하게 진행될 가능성도 높다.
- ↑ 「송파하남선」광역철도 건설 첫 걸음, 국토교통부 설명자료
수도권 전철 노선
| |||||
---|---|---|---|---|---|
서울 도시철도 및 연장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
인천 도시철도 | |||||
인천1 | 인천2 | ||||
일반철도 광역전철 |
|||||
경의중앙 | 경춘 | 수인분당 | 경강 | 서해 | |
공항철도 | 신분당 | GTX A | 신안산 | 동탄인덕원 | |
GTX B | GTX C | ||||
기타 | |||||
의정부 | 용인 | 김포 | 경기도 도시철도 |
대한민국 철도 노선
| |||||
---|---|---|---|---|---|
사업용철도 | |||||
고속 | 경부고속(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지선) | ||
준고속 | 경강(지선) (원주~강릉) |
서해(지선) (홍성~송산) |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
중부내륙 | 춘천속초 |
일반 | 경인(지선) | 경부(지선) | 경의(지선) | 호남(지선) | 경원 |
충북 | 경전(지선)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
동해(지선) | 중앙(지선) (안동~경주) |
영동(지선)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
안산(지선) | 과천 | 분당(지선) | 일산 | 신분당 | |
서해(지선) (대곡~원시) |
인천공항(지선) |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
진접선 | GTX A | |
동탄인덕원 | 신안산 | 남부내륙 | GTX B | GTX C | |
도시철도 | |||||
서울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위례신사 | ||
인천 | 1호선 | 2호선 | |||
부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사상하단 |
오륙도 | |||||
대구 | 1호선 | 2호선 | 3호선 | 엑스코 | |
광주 | 1호선 | 2호선 | |||
대전 | 1호선 | 2호선 | |||
경기도 | 하남 | 별내 | 도봉산옥정 | ||
기타 | 부산김해 | 의정부 | 용인 | 인천공항 자기부상 | 김포 |
양산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