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시철도는 대구광역시 교통국에서 관리하는 도시철도망으로, 대구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한다.
노선명
|
구간
|
거리
|
특징
|
1호선 하양 연장
|
안심
|
하양
|
8.7 km
|
대구선 폐선부지를 활용한다. 안심~하양 복선전철로도 불린다.
|
노선명
|
구간
|
거리
|
특징
|
3호선 혁신도시 연장
|
용지
|
신서혁신도시
|
13.0 km
|
|
엑스코선
|
수성구민운동장
|
이시아폴리스
|
12.4 km
|
3호선과 똑같은 차량을 사용한다.
|
순환선
|
큰고개
|
큰고개
|
25.8 km
|
|
아래 노선들은 2018년 '대구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서 제외된 노선들이다.
|
2호선 성주연장
|
문양
|
|
km
|
기존 노선을 연장할지, 별도 노선으로 건설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
3호선 동명연장
|
칠곡경대병원
|
|
km
|
|
- 순환선(구 4호선)은 파란색, 엑스코선(구 5호선)은 연두색,
6호선은 보라색으로 계획돼 있지만, 6호선은 구체적인 계획이 발표된 바 없다.
- 1호선 국가산단 연장 계획이 있었으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에 실패하여 좌절되었다. 대신 서대구역에서 분기하는 대구산업선 2019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발표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 사업으로 선정되었다.
- 3차 순환도로를 따라가는 순환선이 예정되어 있는데, 노선색이 파란색으로 발표된 것으로 보아 4호선이 될 듯하다. 성서산업단지 쪽으로 노선을 약간 뺀 안도 있었으나 예산 부족 및 선형의 악화를 이유로 폐기되었다. 대구 도시철도의 외곽-외곽간 이동에 불리하단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시내를 1cm도 지나지 않기에 공기만 열심히 실어나를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해당 구간에 트램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원래 10km당 600원의 구간요금 제도를 썼으나 현재는 전 구간 동일한 요금이 적용된다. 급행이 아닌 시내버스와 동일한 운임이나 일반 이용권은 청소년/성인 구분이 없다.
이용권은 동전처럼 생긴 토큰을 사용하며, 2시간의 제한시간이 있다. 이 시간을 넘길 경우 요금을 다시 내야 한다. 교통카드 단말기에 이 토큰을 찍으면 1회권이란 뜻인지 '1'이라고 뜬다. 나오면서 토큰을 반납하면 '0'이라 뜬다.
- 중장기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
- 대구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 대구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변경(안)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