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김해경전철

부산-김해경전철
종류 도시철도, 경전철, 운행계통
구간 사상 ~ 가야대
영업거리 23.4 km
소유자 부산광역시, 김해시
운영자 부산-김해경전철
개통일 2011년 9월 16일

부산김해경전철 공식 홈페이지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사상역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에 있는 가야대역을 잇는 부산-김해경전철 주식회사의 도시 철도(경전철) 노선이며, 노선색은 보라색이다. 차량기지는 신명차량사업소이다.

1992년에 처음 사업이 가시화된 이후로 민간 사업자 선정, 차량 구매, 주민 갈등, 마라톤 도중 회사 초대대표 사망, 괘법역 조망권 침해 소송 등 온갖 난항을 겪으며 2006년에 착공하여 2011년에 개통한 우여곡절 많은 노선이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특징 및 운행 차량[편집 | 원본 편집]

부산 도시철도와 유사한 구간요금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구간 산정방식이 다소 다르다. 양단에서 중심구간(평강~김해대학)을 왕복하는 것은 1단계, 양단을 왕복하는 건 2단계 요금을 매긴다.

승차권으로 RF 토큰을 채택하였다. 또한 간접환승을 채택하여 선·후불 교통카드로만 환승이 가능하다. 부산-김해-양산 광역환승할인의 영향을 받아 환승 시 기본요금을 새로 낼 필요 없이 500원만 추가 차감한다.

현대로템에서 납품한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전동차는 2량 1편성의 무인운전 전동차로, 총 25편성이 재적중이다.

2015년 12월 24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 코코몽 열차와 터닝메카드 열차가 운행하였다. 코코몽 열차는 매주 월요일, 터닝메카드 열차는 매주 목요일에 운행하지 않았다.

운임[편집 | 원본 편집]

2024년 기준 성인 운임은 교통카드 기준 1구간 1,600원, 2구간 1,800원이다. 구간요금제로 운영되는데, 노선을 3개 구간으로 쪼개어 인접한 구간을 오가는 것은 1구간, 끝에서 끝으로 가는 것을 2구간으로 한다. 또한 민자사업으로 운영되는 철도 노선이기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와 더불어 부산김해경전철 역시 65세 이상 고령자의 무임승차가 허용되지 않는 유이한 노선이다. 대신 장애인, 국가유공자, 5.18민주화운동유공자는 장애인복지카드와 국가보훈등록증을 이용한 우대권 발급으로 무임승차가 가능하다.

12세 미만 어린이는 2023년 요금 조정부터 어린이용 교통카드 이용 시 부산 도시철도 1~4호선과 더불어 무임승차가 가능하다.[6][7]

운임 구간
김해 외곽 구역 김해 중심 구역 부산 구역
가야대~인제대 김해대학~평강 대저~사상
1구간
1구간
2구간

운행[편집 | 원본 편집]

노선 환경[편집 | 원본 편집]

정거장 목록[편집 | 원본 편집]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1 0.0 사상(서부터미널) 경부선: 코레일 일반열차
부전마산선 (예정)
2호선, 사상하단선 (예정)
사상구
2 0.8 괘법르네시떼(강변공원)
3 3.1 서부산유통지구
(금호마을)
강서구
4 4.0 공항
5 5.3 덕두
6 7.2 등구
7 9.2 대저 3호선
8 10.2 평강
9 11.4 대사
10 12.5 불암 김해시
11 13.2 지내
12 14.0 김해대학(안동)
13 15.3 인제대(활천)
14 16.3 김해시청
15 16.9 부원
16 17.9 봉황
(김해여객터미널)
17 18.6 수로왕릉(김해보건소)
18 19.4 박물관
19 20.5 연지공원
20 21.7 장신대(화정)
21 22.6 가야대(삼계)

각주

  1. 대도시지역에 경전철 운영, 연합뉴스, 1992.08.13
  2. 영종도 신공항 등 민자유치SOC사업 선정, 연합뉴스, 1994.09.27
  3. 김해 경전철사업 협상 타결 .. 요금 1천원 수준, 한국경제, 2002.06.13
  4. 오늘 부산-김해 경전철 건설 착공, SBS, 2006.02.14
  5. 부산-김해경전철 최소운임수입보장 폐지…3천억 원 절감,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6. 부산시, 어린이 대중교통 무료화 '전국 최초', TV CHOSUN, 2023.10.09
  7. 당초에는 보호자를 동반한 5세 이하에 한해 가능하였으나, 2020년대 들어 어린이 대상 교통복지 확대 기조 및 초저출산의 영향으로 요금을 걷어 정산하는 비용이 더 많이 들기에 무료화한 것으로 추측된다. 부산 뿐만 아니라 비수도권 일부 지자체나 농어촌 지역도 마찬가지로 청소년, 어린이에게 교통복지 확대 명분으로 시내버스 요금을 1,000원 혹은 500원, 100원 등으로 단일화하거나 아예 무료화하는 추세이다.
부산·울산권 광역전철 노선
부산 도시철도
1 2 3 4 5
기타
부산김해 동해 양산 오륙도 울산·경상남도 도시철도
대한민국 철도 노선
사업용철도
고속 경부고속(지선) 호남고속 수서평택고속(지선)
준고속 경강(지선)
(원주~강릉)
서해(지선)
(홍성~송산)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중부내륙 춘천속초
일반 경인(지선) 경부(지선) 경의(지선) 호남(지선) 경원
충북 경전(지선) 장항(지선) 전라(지선) 경춘(지선)
동해(지선) 중앙(지선)
(안동~경주)
영동(지선) 경북(지선) 태백(지선)
안산(지선) 과천 분당(지선) 일산 신분당
서해(지선)
(대곡~원시)
인천공항(지선)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진접선 GTX A
동탄인덕원 신안산 남부내륙 GTX B GTX C
도시철도
서울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우이신설
신림 동북 위례 위례신사
인천 1호선 2호선
부산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사상하단
오륙도
대구 1호선 2호선 3호선 엑스코
광주 1호선 2호선
대전 1호선 2호선
경기도 하남 별내 도봉산옥정
기타 부산김해 의정부 용인 인천공항 자기부상 김포
양산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