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및 연계 전철노선 |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부산김해경전철 | 동해선 |
부산-김해경전철 | |
---|---|
노선 정보 | |
나라 | ![]() |
종류 | 도시철도, 경전철, 운행계통 |
구간 | 사상 ~ 가야대 |
영업거리 | 23.4 km |
역 수 | 21개 |
소유자 | 부산광역시, 김해시 |
운영자 | 부산-김해경전철 |
개통일 | 2011년 9월 16일 |
시설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2 |
전기 | 직류 750 V, 제3궤조 |
신호 | ATP/ATO |
차량기지 | 신명차량사업소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사상역과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에 있는 가야대역을 잇는 부산-김해경전철 주식회사의 도시 철도(경전철) 노선이며, 노선색은 보라색이다.
1992년에 처음 사업이 가시화된 이후로 민간 사업자 선정, 차량 구매, 주민 갈등, 마라톤 도중 회사 초대대표 사망, 괘법역 조망권 침해 소송 등 온갖 난항을 겪으며 2006년에 착공하여 2012년에 개통한 우여곡절 많은 노선이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부산 도시철도와 유사한 구간요금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구간 산정방식이 다소 다르다. 양단에서 중심구간(평강~김해대학)을 왕복하는 것은 1단계, 양단을 왕복하는 건 2단계 요금을 매긴다.
승차권으로 RF토큰을 채택하였다. 또한 간접환승을 채택하여 교통카드로만 환승이 가능하다. 부산-김해-양산 광역환승할인의 영향을 받아 환승시 500원을 차감한다.
현대로템에서 납품한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전동차는 2량 1편성의 무인운전 전동차로, 총 25편성이 재적중이다.
2015년 12월 24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 코코몽 열차와 터닝메카드 열차가 운행 중이다. 코코몽 열차는 매주 월요일, 터닝메카드 열차는 매주 목요일에 운행하지 않는다. 시간표는 링크 참조.
운임[편집 | 원본 편집]
2017년 기준 성인 운임은 1구간 1,300원, 2구간 1,500원이다. 구간요금제로 운영되는데, 노선을 3개 구간으로 쪼개어 인접한 구간을 오가는 것은 1구간, 끝에서 끝으로 가는 것을 2구간으로 한다.
외곽 구역 | 중심 구역 | 외곽 구역 |
---|---|---|
가야대~인제대 | 김해대학~평강 | 대저~사상 |
1구간 | ||
1구간 | ||
2구간 |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1992년: 하남선과 함께 경전철 시범 구간으로 선정, 타당성 조사 착수[1]
- 1994년: 민간투자사업 선정[2]
- 2002년: 민간사업자에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 선정[3]
- 2006년: 착공[4]
- 2011년 9월 16일: 전구간(가야대↔사상) 개통
- 2017년 4월 1일: 최소수입보장(MRG) 방식을 폐지하고, 비용보전(MCC) 방식으로 전환[5]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번호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소재지 | |
---|---|---|---|---|---|
1 | 0.0 | 사상(서부터미널) | 경부선: 코레일 일반열차 부전마산선 (예정) ● 2호선, ● 사상하단선 (예정) |
사상구 | |
2 | 0.8 | 괘법르네시떼(강변공원) | |||
3 | 3.1 | 서부산유통지구 (금호마을·에어부산) |
강서구 | ||
4 | 4.0 | 공항 | |||
5 | 5.3 | 덕두 | |||
6 | 7.2 | 등구 | |||
7 | 9.2 | 대저 | ● 3호선 | ||
8 | 10.2 | 평강 | |||
9 | 11.4 | 대사 | |||
10 | 12.5 | 불암 | 김해시 | ||
11 | 13.2 | 지내 | |||
12 | 14.0 | 김해대학(안동) | |||
13 | 15.3 | 인제대(활천) | |||
14 | 16.3 | 김해시청 | |||
15 | 16.9 | 부원 | |||
16 | 17.9 | 봉황 (김해여객터미널) |
|||
17 | 18.6 | 수로왕릉(김해보건소) | |||
18 | 19.4 | 박물관 | |||
19 | 20.5 | 연지공원 | |||
20 | 21.7 | 장신대(화정) | |||
21 | 22.6 | 가야대(삼계) |
각주
- ↑ 대도시지역에 경전철 운영, 연합뉴스, 1992.08.13
- ↑ 영종도 신공항 등 민자유치SOC사업 선정, 연합뉴스, 1994.09.27
- ↑ 김해 경전철사업 협상 타결 .. 요금 1천원 수준, 2002.06.13
- ↑ 오늘 부산-김해 경전철 건설 착공, SBS, 2006.02.14
- ↑ 부산-김해경전철 최소운임수입보장 폐지…3천억 원 절감,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노선 참조 |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및 광역전철 노선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