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 도시철도 4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종류 도시철도(서울), 운행계통광역전철
구간 도시철도: 불암산 ~ 남태령
광역전철: 진접 ~ 오이도
영업거리 31.7 km (도시철도)
85.7 km (광역전철)
소유자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운영자 서울교통공사 (도시철도, 광역전철 차량)
한국철도공사 (과천선·안산선, 광역전철 차량)
남양주도시공사 (진접선)
개통일 1985년 4월 20일 (도시철도)
1996년 4월 1일 (광역전철)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기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신호 ATC
진접선·과천선·안산선 구간의 시설 정보는 해당 문서 참고

서울 도시철도 4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불암산역서울특별시 서초구 남태령역을 잇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진접역불암산역을 잇는 진접선남태령역금정역을 잇는 과천선금정역오이도역을 잇는 안산선직결운행하는데, 이 운행계통수도권 전철 4호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직결운행 초기에는 노선도에 과천선안산선이 국철로 표기되고 노선색도 4호선과 달랐지만, 2000년 4월 1일부터 모두 합쳐 4호선으로 표기하고, 노선색도 통일하였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운행[편집 | 원본 편집]

일반 [불암산~사당] (K·S4000)
서울교통공사 차량만 투입되며 직류 전용 차량들이다. 사당역 이남 남태령역까지가 서울교통공사 관할이나 남태령의 안습한 수요로 인해 사당역에서 운행을 종료하고 회차하여 불암산 방면으로 운행한다. 특히 혼잡한 시간대에도 사당 출발 열차는 빈 열차로 들어오기 때문에 앉아서 가려는 사람들에겐 가뭄에 단비같은 존재이다.
일반 [불암산~오이도] (K·S4300, 4500)
코레일과 서울교통공사 모두 투입된다. 남태령역과 선바위역 사이 직교 절연구간 및 운행방향 전환을 위한 꽈배기굴을 경유하며 이 구간을 운행하는 차량들은 직류와 교류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컨버터를 장착했다. 일부 편성은 오이도가 아닌 중간 안산까지만 운행하는 계열도 소수 편성된다.
일반 [진접~사당] (K·S4000)
사당역에서 출발하여 진접역까지 운행하며, 일부 시간대 남태령역 착발이 소수 편성된다. 진접선 연장 구간에 코레일 차량은 투입하지 않으며, 서율교통공사에서 진접선 연장에 대비하여 5대의 신차를 구매한 바 있다. 이들 신차는 직류 전용이 아닌 직교류 겸용 열차이므로 사당 이남 운행 다이아로도 투입된다. 진접선 연장에 기존 창동차량사업소를 폐지하고 진접선 말단에 진접차량사업소를 신설하여 이전하는 조건이 있었지만 정작 차량사업소 건설은 2025년 완공 예정이기 때문에 그 이전까지는 창동에서 관리를 받는다. 따라서 진접선 개통이 이뤄진 이후에도 차량기지 입고 문제로 기존처럼 불암산 종착이 유지되며, 진접행과 불암산행의 비율은 약 1:3 정도로 책정되었다.
급행 [불암산역~오이도] (K·S4400)
평일 불암산행 5편성, 오이도행 3편성 운행한다. 과천선 및 서울 시내 구간은 마땅한 대피 시설이 없고 특히 서울 시내 구간은 사당 시종착 계통이 운행하기에 선로용량 문제로 실질적인 급행 운행은 선로용량에 여유가 있는 안산선 구간에서만 이뤄진다고 볼 수 있다.

차량[편집 | 원본 편집]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과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이 모두 운행하며, 한 편성의 길이는 10량이다. 서울교통공사 열차는 창동차량사업소에서, 한국철도공사 열차는 시흥차량사업소에서 관리한다.

서울교통공사 소속[편집 | 원본 편집]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은 4000호대 번호를 사용하며, 한국철도공사와 달리 번호를 재사용한다.

차량 편성 도입 설명
4000호대, 현대로템 1세대 401~426
451~471
1993~1994
4000호대, 현대로템 3세대 481~485 2020
4000호대, 다원시스 450~470 2023~2025
4000호대, 우진산전 401~426 2024~2025
퇴역 차량
4000호대, 쵸퍼제어 광폭형 401~441 1984~1990 이적.

한국철도공사 소속[편집 | 원본 편집]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은 341000호대 번호를 사용한다. 차량번호가 네 자릿수였을 때 도입한 차량은 번호가 다음처럼 바뀌었다.

  • 2000호대: 10량 편성은 341000호대, 6량 편성은 351000호대로 변경.
차량 편성 도입 설명
341000호대, 현대로템 3세대 34131~34137 2019
341000호대, 현대로템 3세대 34138~34155 2021~2022
퇴역 차량
2000호대, 현대로템 1세대 230~246
249
251~254
270~272
1993~1996
341000호대, 현대로템 2세대 277~281 1999

특징[편집 | 원본 편집]

꽈배기굴
1993년, 좌측통행인 안산선과 우측통행인 4호선을 잇는 과천선이 생기면서 통행방식에 문제가 생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입체교차터널인 꽈배기굴[9]을 뚫게 된다. 당연히 직선 산악터널 뚫는 것도 어려운데 산 중간에서 꽈배기를 뚫으려니 난공사도 난공사고, 거기에 절연구간도 설치해야 하니 막장 of 막장. 당연히 운행 초기에는 트러블도 많았고 때문에 욕도 많이 들어 먹었으나, 최근에는 그나마 나름 안정되어 그냥 불 꺼지는 구간 정도로 남게 되었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진접선, 과천선안산선 구간의 자세한 연계 노선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세요.
  • :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노선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불암산 진접
405 -14.2 0.0 진접
미운행
남양주시
406 -12.1 2.1 오남
408 -4.4 9.8 별내별가람 8호선 (예정)
409 0.0 14.2 불암산
모두 정차
진접선 (연결) 노원구
서울 도시철도 4호선
410 1.2 15.4 상계 동북선 (예정)
411 2.2 16.4 노원 7호선
412 3.6 17.8 창동 경원선: 1호선 도봉구
413 4.9 19.1 쌍문
414 6.4 20.6 수유(강북구청) 강북구
415 7.8 22.0 미아
(서울사이버대학)
416 9.3 23.5 미아사거리 동북선 (예정)
417 10.6 24.8 길음 성북구
418 12.0 26.2 성신여대입구(돈암) 우이신설선
419 13.0 27.2 한성대입구(삼선교)
420 13.9 28.1 혜화
(서울대학교병원)
종로구
421 15.4 29.6 동대문 1호선
422 16.7 30.9 동대문역사문화공원
(DDP)
2호선, 5호선 중구
423 17.4 31.6 충무로 3호선 (연결)
424 18.1 32.3 명동
425 18.8 33.0 회현(남대문시장)
426 19.7 33.9 서울역 경부선: KTX, 코레일 일반열차
경의선: 경의·중앙선
1호선, 공항철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용산구
427 20.7 34.9 숙대입구(갈월)
428 21.9 36.1 삼각지(전쟁기념관) 6호선
429 22.6 36.8 신용산 용산역 (환승 할인 없음)
430 23.9 38.1 이촌
(국립중앙박물관)
경원선: 경의·중앙선
431 26.6 40.8 동작(현충원) 9호선 동작구
432 28.4 42.6 총신대입구(이수) 7호선 (이수역)
433 29.5 43.7 사당 2호선
434 31.1 45.3 남태령 과천선 (연결) 서초구
435 33.1 47.3 선바위 과천시
436 34.1 48.3 경마공원
437 35.0 49.2 대공원
438 36.0 50.2 과천
439 37.0 51.2 정부과천청사
440 40.0 54.2 인덕원 경강선, 동탄인덕원선 (예정) 안양시
441 41.6 55.8 평촌
442 42.9 57.1 범계
443 45.5 59.7 금정 1호선 군포시
444 47.8 62.0 산본
445 48.9 63.1 수리산
446 51.5 65.7 대야미
447 53.5 67.7 반월 안산시
448 57.2 71.4 상록수
449 58.7 72.9 한대앞 수인·분당선
450 60.3 74.5 중앙 수인·분당선, 신안산선 (예정)
451 61.7 75.9 고잔 수인·분당선
452 63.2 77.4 초지 수인·분당선, 서해선, 신안산선 (예정)
453 65.0 79.2 안산 수인·분당선
454 67.2 81.4 신길온천 수인·분당선
455 70.1 84.3 정왕 수인·분당선 시흥시
456 71.5 85.7 오이도 수인·분당선

각주

  1. 서울특별시고시 제698호
  2. 신설 지하철역 이름 크게 바꿔, 한겨레
  3. 4호선 이수역, 총신대입구역으로 환원, 연합뉴스
  4.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211호
  5.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428호
  6. 서울특별시고시 제2013-469호
  7. 서울특별시고시 제2019-430호
  8. 서울특별시고시 제2024-521호
  9. 이전판에서는 세계에서 유일한 사례라고 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당장 프랑스만 하더라도 좌우측 통행이 섞여 있으며, 스웨덴도 남서부 말뫼 인근은 우측 통행, 나머지는 좌측 통행이라 이런 구조물들이 많다. 나라별로 통행 방식 바뀌는 곳도 많으며, 네덜란드는 심지어 고속선에도 이런 꽈배기 교차 지점이 있다. 물론 절연구간 꽈배기굴 이라고 하면 최초이긴 하다.
수도권 전철 노선
서울 도시철도
및 연장
1 2 3 4 5
6 7 8 9 우이신설
신림 동북 위례
인천 도시철도
인천1 인천2
일반철도
광역전철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경강 서해
공항철도 신분당 GTX A 신안산 동탄인덕원
GTX B GTX C
기타
의정부 용인 김포 경기도 도시철도
대한민국 철도 노선
사업용철도
고속 경부고속(지선) 호남고속 수서평택고속(지선)
준고속 경강(지선)
(원주~강릉)
서해(지선)
(홍성~송산)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중부내륙 춘천속초
일반 경인(지선) 경부(지선) 경의(지선) 호남(지선) 경원
충북 경전(지선) 장항(지선) 전라(지선) 경춘(지선)
동해(지선) 중앙(지선)
(안동~경주)
영동(지선) 경북(지선) 태백(지선)
안산(지선) 과천 분당(지선) 일산 신분당
서해(지선)
(대곡~원시)
인천공항(지선)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진접선 GTX A
동탄인덕원 신안산 남부내륙 GTX B GTX C
도시철도
서울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우이신설
신림 동북 위례 위례신사
인천 1호선 2호선
부산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사상하단
오륙도
대구 1호선 2호선 3호선 엑스코
광주 1호선 2호선
대전 1호선 2호선
경기도 하남 별내 도봉산옥정
기타 부산김해 의정부 용인 인천공항 자기부상 김포
양산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