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선 | |
---|---|
종류 | 일반철도(간선), 광역철도 |
번호 | 318 |
구간 | 왕십리 ~ 수원 |
영업거리 | 52.9 km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개통일 | 1994년 9월 1일 |
시설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2 |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
신호 | ATC |
분당선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역과 경기도 수원시 수원역을 연결하는 간선철도이다.
수원역과 인천역을 잇는 수인선 및 경원선 일부 구간과 직결운행하는데, 이 운행계통을 수인·분당선이라 부른다. 개통 당시에는 3호선의 부속 노선으로 간주하여, 노선 색상이 3호선과 같은 주황색이었으나, 2000년 4월 1일부터 현재의 색상을 사용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989년에 계획이 발표된 분당신도시의 교통 공급을 위해 추진된 노선이다.[1] 당초에는 왕십리~오리 구간만 계획되어 있었으나,[2] 1998년 수원으로의 연장이 확정되었다.[3] 하지만 비용 문제로 노선 건설이 지연되었고, 특히 왕십리~선릉 구간은 무기한 연장되다가 2004년 11월 1일에야 착공하였다.[4]
수인선과의 직결은 늦어도 1994년부터 계획되었으며,[5] 2020년 수인선 수원~한대앞 구간 재개통으로 직결운행이 성사되어 현재에 이른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1994년 9월 1일: 수서 ~ 오리 구간 개통[6]
- 1996년 11월 23일: 서울 지하철 8호선 개통과 함께 복정역 개업
- 2002년 9월 25일: 초림역과 백궁역의 역명을 각각 수내, 정자로 변경
- 2003년 9월 3일: 수서 ~ 선릉 구간 개통[7]
- 2004년 1월 16일: 야탑과 서현 사이에 이매역 개업[8]
- 2004년 9월 24일: 도곡과 개포동 사이에 구룡역 개업[9]
- 2004년 11월 26일: 보정역을 임시역사로 개업[10][11]
- 2007년 12월 24일: 오리와 보정 사이에 죽전 개업[12]
- 2011년 12월 28일: 죽전 ~ 기흥 구간 개통 및 보정역을 현위치로 이전하고 기존 임시역사를 폐쇄.[13] 경원대역 역명을 가천대로 변경[14]
- 2012년 9월 18일: 왕십리 ~ 선릉 구간 및 기흥 ~ 망포 구간 철도거리표 고시[15]
- 2012년 10월 6일: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15]
- 2012년 12월 1일: 기흥 ~ 망포 구간 개통[15]
- 2013년 10월 7일: 망포 ~ 수원 구간 철도거리표 고시[16]
- 2013년 11월 30일: 망포 ~ 수원 구간 개통. 급행열차 운행 개시
- 2018년 12월 31일: 경원선 청량리 ~ 왕십리 구간에 전동차 연장 운행 개시[17]
-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304에서 318로 변경[18]
운행[편집 | 원본 편집]

노선이 매우 길기 때문에 상당수 열차는 왕십리 ~ 죽전(또는 수인선 고색) 구간만 운행한다.
차량[편집 | 원본 편집]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많은 역으로 인한 낮은 표정속도
- 분당선은 성남, 판교, 죽전 등지와 서울을 연결하는 철도이지만, 설치된 역이 많아 빠른 이동이 불가능하다. 특히, 도곡역과 대모산입구역 사이 구간은 역간 거리가 1km도 되지 않을 정도이다. 이 때문에, 서울과 경기 동남부를 빠르게 잇는 신분당선과 GTX A선을 건설하는 중복투자를 발생시켰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급 ● 수인·분당선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 km | 정거장 | 급 | 연계 노선 | 소재지 | |
---|---|---|---|---|---|---|
K210 | 0.0 | 왕십리 | 전역 정차
|
경원선 (연결): ■ ITX-청춘 · ● 경의·중앙선 ● 2호선, ● 5호선, ● 동북선 (예정) |
성동구 | |
K211 | 2.2 | 서울숲 | ||||
K212 | 4.1 | 압구정로데오 | 강남구 | |||
K213 | 5.3 | 강남구청 | ● 7호선 | |||
K214 | 6.0 | 선정릉 | ● 9호선 | |||
K215 | 6.7 | 선릉 | ● 2호선 | |||
K216 | 7.7 | 한티 | ||||
K217 | 8.4 | 도곡 | ● 3호선 | |||
K218 | 9.0 | 구룡 | ||||
K219 | 9.7 | 개포동 | ||||
K220 | 10.3 | 대모산입구 | ||||
K221 | 13.3 | 수서 | 수서평택고속선: ■ SRT ● 3호선,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 |||
K222 | 16.5 | 복정 | ● 8호선 | 송파구 | ||
K223 | 18.9 | 가천대 | 성남시 | |||
K224 | 19.9 | 태평 | ||||
K225 | 20.8 | 모란 | ● 8호선 | |||
K226 | 23.1 | 야탑 | ||||
K227 | 24.8 | 이매 | ● 경강선 | |||
K228 | 26.2 | 서현 | ||||
K229 | 27.3 | 수내 | ||||
K230 | 28.9 | 정자 | ● 신분당선 | |||
K231 | 30.7 | 미금 | ● 신분당선 | |||
K232 | 31.8 | 오리 | 분당기지선 (연결) | |||
K233 | 33.6 | 죽전 | 분당기지선 (연결)[19] | 용인시 | ||
K234 | 34.9 | 보정 | ┃ | |||
K235 | 36.5 | 구성 | ┃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 ||
K236 | 38.1 | 신갈 | ┃ | |||
K237 | 39.5 | 기흥 | ● | ● 용인에버라인 | ||
K238 | 41.4 | 상갈 | ┃ | |||
K239 | 44.2 | 청명 | ┃ | 수원시 | ||
K240 | 45.3 | 영통 | ┃ | ● 동탄인덕원선 (예정) | ||
K241 | 46.8 | 망포 | ● | |||
K242 | 48.6 | 매탄권선 | ┃ | |||
K243 | 50.0 | 수원시청 | ● | |||
K244 | 51.4 | 매교 | ┃ | |||
K245 | 52.9 | 수원 | ● | 수인선 (연결) 경부선: ■ KTX · 코레일 여객열차 · ● 1호선 |
지선[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城南(성남)·盆唐(분당)·一山(일산)전철 92년완공, 경향신문
- ↑ 분당 전철 수원까지 안간다, 한겨레
-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02호
- ↑ 분당선 왕십리~선릉 복선전철 공사착공, 이데일리
- ↑ 水仁線(수인선) 협궤열차 단축운행 내달부터 수원~한대앞驛(역)만, 동아일보
- ↑ 철도청고시 제1994-46호
- ↑ 철도청고시 제2003-21호
- ↑ 철도청고시 제2004-2호
- ↑ 철도청고시 제2004-37호
- ↑ 철도청고시 제2004-41호
- ↑ 분당선 보정역 2004년4월 운행, 동아일보
-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592호
-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683호
-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749호
- ↑ 15.0 15.1 15.2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10호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585호
- ↑ 분당선 전철,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31일부터 평일 18회, 연합뉴스
- ↑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
- ↑ 실제로는 연결되지만 누락되어 있다. 이 노선을 통해 분당차량사업소와 연결되며,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오리역 대신 죽전역에서 분당기지선이 분기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대한민국 철도 노선
| |||||
---|---|---|---|---|---|
사업용철도 | |||||
고속 | 경부고속(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지선) | ||
준고속 | 경강(지선) (원주~강릉) |
서해(지선) (홍성~송산) |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
중부내륙 | 춘천속초 |
일반 | 경인(지선) | 경부(지선) | 경의(지선) | 호남(지선) | 경원 |
충북 | 경전(지선)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
동해(지선) | 중앙(지선) (안동~경주) |
영동(지선)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
안산(지선) | 과천 | 분당(지선) | 일산 | 신분당 | |
서해(지선) (대곡~원시) |
인천공항(지선) |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
진접선 | GTX A | |
동탄인덕원 | 신안산 | 남부내륙 | GTX B | GTX C | |
도시철도 | |||||
서울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위례신사 | ||
인천 | 1호선 | 2호선 | |||
부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사상하단 |
오륙도 | |||||
대구 | 1호선 | 2호선 | 3호선 | 엑스코 | |
광주 | 1호선 | 2호선 | |||
대전 | 1호선 | 2호선 | |||
경기도 | 하남 | 별내 | 도봉산옥정 | ||
기타 | 부산김해 | 의정부 | 용인 | 인천공항 자기부상 | 김포 |
양산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