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하단선 | |
---|---|
노선 정보 | |
나라 | ![]() |
종류 | 도시철도(부산), 경전철, 운행계통 |
구간 | 사상 ~ 하단 |
영업거리 | - km |
역 수 | 6개 |
소유자 | 부산광역시 |
운영자 | 부산교통공사 |
개통일 | 2023년 (예정) |
시설 정보 | |
궤간 | 1,700 mm |
선로 | 2 |
전기 | 직류 750 V, 제3궤조 |
사상역과 하단역을 잇는 부산 도시철도. 2000년에 입안한 4호선[1]에 기반한다. 부산시는 기계획대로 가덕도까지 끌고가려고 하나 동남권 신공항이 좌초되면서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계획서 등에서 역 번호가 500번대로 발표되었다. 완공되면 5호선을 부여받을 가능성이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2000년: 부산 도시철도 4호선(사상-가덕) 계획 입안[2]
- 2010년 2월: 1단계 구간(사상~하단)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3]
- 2016년: 1단계 구간(사상~하단) 착공[4]
- 2021년 11월 12일: 502 정거장과 차량기지의 위치를 변경하고 502-1 정거장을 추가[5]
- 2022년 6월 30일: 하단녹산선 예비타당성 통과[6]
이야기[편집 | 원본 편집]
엄궁동 지역 지하화[편집 | 원본 편집]
원래 이 노선은 전체 구간이 고가로 예정되어 있었다. 3공구에 해당하는 엄궁동 주민들이 지하화를 요구해온 것. 예산이 빠듯한 시 정부와 부산교통공사는 당연히 어렵다고 고사했다.[7]
그런데 입찰 과정에서 한진중공업 컨소시엄이 지상고가 지을 돈(732억원)으로 지하화를 해주겠다고 제안했다.[8] 예산 안에서 선뜻 해주겠다는 사업자가 나타나니, 입찰 주관자인 교통공사도 고민을 하기 시작했다. 의뢰한 용역에서는 지하화에 300억원이 더 필요하다는 결과를 받았으나,[9] 입찰 무효화 후 재공고를 하여 지하화를 확정지었다. 하지만 용역에서 산출된 300억원은 반영되지 않은채로 나와 수익성을 고려한 업체들이 입찰을 꺼려 입찰자가 나오지 않아 유찰되었다.[10]
최종적으로 한진중공업 컨소시엄과 728억원에 수의계약을 채결했다.[11] 공사는 시작할 수 있게 되었지만, 시공의 어려움으로 공기가 다소 늘어났다.
연장 계획[편집 | 원본 편집]
- 2단계 하단 ~ 녹산
- 1단계 종점인 하단역을 출발해 명지지구와 녹산공단을 잇는 노선. 서부산 특유의 대중교통난으로 인해 사업 시작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이며 1단계가 완공되는 시점에 착공한다.[12]
- 3단계 녹산 ~ 가덕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환승역을 제외한 역의 역명은 모두 가칭이다.
- 아래 역들은 모두 부산광역시에 있다.
번호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소재지 |
---|---|---|---|---|
501 | 사상 | 경부선: 코레일 일반열차 부전마산선 (예정) ● 2호선, ● 부산김해경전철 |
사상구 | |
502 | 새벽시장 | |||
503 | 사상스마트시티 | |||
504 | 학장 | |||
505 | 엄궁 | |||
506 | 동아대 | 사하구 | ||
507 | 하단 | ● 1호선 |
각주
- ↑ 당시 제안된 4호선은 사상 ~ 가덕으로, 3호선의 연장격인 현재 4호선과 다르다.
- ↑ 부산시, 21세기 쾌적한 교통도시건설 계획 발표, 매일경제, 2000.09.26
- ↑ 사상~하단간 도시철도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보고서, KDI
- ↑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6월 15일 착공, 부산교통공사 블로그, 2016.06.13
-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고시 제2021-08호
- ↑ 30일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국토교통부 설명·반박자료
- ↑ "부산 '사상~하단 도시철도' 지하화 어렵다", 2012.07.09
- ↑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 지하화 논란, 건설경제신문, 2014.03.03
- ↑ 사상~하단선 3공구 지하화 땐 당초 예산보다 300억 더 들어, 국제신문, 2014.06.26
- ↑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 3공구 턴키공사 유찰, 건설경제신문, 2015.03.17
- ↑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3공구 건설공사 계약정보, 부산교통공사
- ↑ 서부산권의 가장 큰 민원 교통문제 한번에 해결할 도시철도 하단-녹산선 본격 추진, KNN, 2016.05.18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노선 참조 |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및 광역전철 노선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