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1호선 | |
---|---|
종류 | 도시철도(부산), 운행계통 |
구간 | 다대포해수욕장 ~ 노포 |
영업거리 | 40.4 km |
소유자 | 부산광역시 |
운영자 | 부산교통공사 |
개통일 | 1985년 7월 19일 |
시설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2 |
전기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
신호 | ATC/ATO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다대포해수욕장역과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있는 노포역을 잇는 부산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며, 노선색은 주황색이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 축포를 터트리던 80년에 착공해 85년에 최초 개통한 비수도권 최초의 도시철도. 68년에 폐지되었던 부산시 전차 노선을 따라가면서, 새로 개발이 진행된 금정구와 사하구를 커버하는 노선이다.
지방 현실에 맞는 규격을 도입하면서 현재의 "중형 전동차"로 불리는 차량 규격을 만들어냈으며, 불필요한 출입문을 삭제해 3비차로 생산하고 강철 차체가 아닌 스테인리스 차체로 제작하였다. 역 간격을 줄여 수요를 최대한 긁어모으고 이로 인한 표정속도 손실은 차량 성능 향상(6M 2T)으로 벌충하였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1974년: 부신직할시, 과학기술처에 지하철 건설 용역 의뢰[1]
- 1981년 6월 13일: 범내골~노포동 구간 착공[2]
- 1983년 7월 28일: 중앙동~범내골 구간 착공
- 1984년 8월 14일: 서대신동~중앙동 구간 착공
- 1985년 7월 19일: 범내골~범어사 구간 개통
- 1986년 12월 19일: 범어사~노포동 구간 개통
- 1987년 5월 15일: 중앙동~범내골 구간 개통
- 1988년 5월 19일: 토성동~중앙동 구간 개통
- 1990년 2월 28일: 서대신동~토성동 구간 개통
- 1990년 3월 22일: 전 편성 8량화
- 1990년 7월 24일: 신평~서대신동 구간 착공
- 1994년 6월 23일: 신평~서대신동 구간 개통
- 1998년 1월: 연제역 이름을 시청으로 변경
- 2009년 11월 20일: 다대포해수욕장~신평 구간 착공
- 2010년 2월 24일: 역명 개편. 서대신동역, 동대신동역, 토성동역, 남포동역, 중앙동역, 초량동역, 좌천동역, 범일동역, 부전동역, 연산동역, 명륜동역, 장전동역, 구서동역, 남산동역, 노포동역 15개역 이름에서 '동' 삭제, 교대앞역 이름을 교대로, 부산대학앞역 이름을 부산대로 변경
- 2017년 4월 20일: 다대포해수욕장~신평 구간 개통
운행[편집 | 원본 편집]
- 일반 [노포~다대포해수욕장] (1000, 2000)
- 독특하게도 다대포해수욕장행 열차번호는 1000번대 홀수, 노포행 열차번호는 2000번대 짝수를 사용한다.
- 일반 [신평->다대포해수욕장] (7900)
- 일반 [노포->신평] (7931)
- 막차이다.
- 일반 [신평->노포] (8900)
열차[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차량은 1000호대 번호를 사용한다. 한 편성의 길이는 8량이다. 열차는 노포, 신평차량사업소에서 관리한다.
차량 | 편성 | 도입 | 설명 |
---|---|---|---|
1000호대, 쵸퍼제어 | 101~145 | 1984~1994 | |
1000호대, 현대로템 2세대 | 146~151 101~105 |
2015~2017 | |
1000호대, 현대로템 3세대 | 106~111 | 2020 | |
1000호대, 우진산전 | 112~120 122~124 126~129 132 135~138 140~141 143~144 |
2023~2025 |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아래 역들은 모두 부산광역시에 있다.
번호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소재지 |
---|---|---|---|---|
095 | 0.0 | 다대포해수욕장 | 사하구 | |
096 | 1.6 | 다대포항 | ||
097 | 2.9 | 낫개 | ||
098 | 3.7 | 신장림 | ||
099 | 4.8 | 장림 | ||
100 | 6.3 | 동매 | ||
101 | 7.9 | 신평 | ||
102 | 9.5 | 하단 | ● 사상하단선 (예정) | |
103 | 10.3 | 당리 | ||
104 | 11.2 | 사하 | ||
105 | 12.1 | 괴정 | ||
106 | 12.9 | 대티 | ||
107 | 14.3 | 서대신 | 서구 | |
108 | 15.0 | 동대신 | ||
109 | 16.2 | 토성 | ||
110 | 17.2 | 자갈치 | 중구 | |
111 | 17.9 | 남포 | ||
112 | 18.8 | 중앙 | ||
113 | 19.9 | 부산역 | 경부선: ■ KTX, 코레일 일반열차 | 동구 |
114 | 20.7 | 초량 | ||
115 | 21.5 | 부산진 | 경부선 인입선 (연결) 경부선, 동해선, 우암선 | |
116 | 22.5 | 좌천 | ||
117 | 23.4 | 범일 | ||
118 | 24.2 | 범내골 | 부산진구 | |
119 | 25.4 | 서면 | ● 2호선 | |
120 | 26.0 | 부전 | ● 동해선: 코레일 일반열차 부전마산선 (예정) | |
121 | 27.4 | 양정 | ||
122 | 28.2 | 시청 | 연제구 | |
123 | 29.1 | 연산 | ● 3호선 | |
124 | 30.1 | 교대 | ● 동해선 | |
125 | 31.3 | 동래 | ● 4호선 | 동래구 |
126 | 32.1 | 명륜 | ||
127 | 33.1 | 온천장 | ||
128 | 34.2 | 부산대 | 금정구 | |
129 | 35.2 | 장전 | ||
130 | 36.3 | 구서 | ||
131 | 37.3 | 두실 | ||
132 | 38.3 | 남산 | ||
133 | 39.2 | 범어사 | ||
134 | 40.4 | 노포 | ● 양산 도시철도 (예정) |
각주
- ↑ 80년代初에 釜山에도 地下鐵, 매일경제, 1974.08.10
- ↑ 부산교통공사 연혁
부산·울산권 광역전철 노선
| |||||
---|---|---|---|---|---|
부산 도시철도 | |||||
1 | 2 | 3 | 4 | 5 | |
기타 | |||||
부산김해 | 동해 | 양산 | 오륙도 | 울산·경상남도 도시철도 |
대한민국 철도 노선
| |||||
---|---|---|---|---|---|
사업용철도 | |||||
고속 | 경부고속(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지선) | ||
준고속 | 경강(지선) (원주~강릉) |
서해(지선) (홍성~송산) |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
중부내륙 | 춘천속초 |
일반 | 경인(지선) | 경부(지선) | 경의(지선) | 호남(지선) | 경원 |
충북 | 경전(지선)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
동해(지선) | 중앙(지선) (안동~경주) |
영동(지선)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
안산(지선) | 과천 | 분당(지선) | 일산 | 신분당 | |
서해(지선) (대곡~원시) |
인천공항(지선) |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
진접선 | GTX A | |
동탄인덕원 | 신안산 | 남부내륙 | GTX B | GTX C | |
도시철도 | |||||
서울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위례신사 | ||
인천 | 1호선 | 2호선 | |||
부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사상하단 |
오륙도 | |||||
대구 | 1호선 | 2호선 | 3호선 | 엑스코 | |
광주 | 1호선 | 2호선 | |||
대전 | 1호선 | 2호선 | |||
경기도 | 하남 | 별내 | 도봉산옥정 | ||
기타 | 부산김해 | 의정부 | 용인 | 인천공항 자기부상 | 김포 |
양산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