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보 | |
---|---|
종류 | 간선철도 |
운행 국가 |
![]() |
노선 번호 | 201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서울역 |
종점 | 부산역 |
역 수 | 90 |
운영 | |
개통일 | 1905년 1월 1일 |
소유자 | 한국철도시설공단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KORAIL) |
시설 | |
영업 거리 | 441.7 km |
궤간 | 표준궤 1,435 mm |
선로 수 |
6 (서울 ~ 구로) 4 (구로 ~ 두정) 2 (천안 ~ 부산)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
신호 방식 | ATP · ATS |
영업최고속도 | 160 km/h |
설계최고속도 | 160 km/h |
경부선
京釜線 / Gyeongbu Line
대한민국 철도의 핵심 간선
목차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철도에서 가장 중요한 노선으로,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 서울특별시부터 제2의 도시이자 항구 도시, 대표적 물류 관문인 부산광역시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경부선이라는 명칭은 서울[1]을 뜻하는 경(京)과 부산의 부(釜)를 합친 것이다.
정확한 노선명은 경부본선(京釜本線)으로, 경부선은 본선을 포함한 지선군을 묶어둔 선로부에 해당된다. 하지만 일상 용어로는 경부선이 더 선호되므로, 표제명도 경부선을 사용한다.
2 역사[편집]
3 운행[편집]
높은 이동 수요 탓에 전 구간에 걸쳐서 여객 · 화물 가릴 것 없이 많은 열차가 운행된다. 여기서는 여객 열차 위주로 서술한다.
대한민국 철도의 특성상, 서울로 들어갈 수 있는 경로가 제한되어 있어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 간을 잇는 열차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등의 열차도 사용한다. 이외에도 경전선 방면 열차 역시 말단부에서 경부선을 사용하여 운행한다. 때문에 들어오는 계통이 상당히 다양하며, 여기서는 경부선 열차로 불리는 노선들에 대해서만 기재해둔다.
3.1 고속철도[편집]
KTX는 최초 운행 시부터 경부선 기존선을 활용하고 있다. 서울 ~ 금천구청의 경우 모든 서울 · 용산 경유 고속열차가 사용하며, 이 외에도 접근성으로 인한 기존선 경유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열차에 대해서는 KTX를, 병행 고속선은 경부고속선을 참조하기 바라며, 기존선 경유 열차는 다음과 같다.
- KTX (300): (경부고속본선 경유 ←) 동대구 - 밀양 - 구포 - 부산 (1일 약 10왕복 운행)
- KTX (350): 서울 - 영등포 - 수원 - 대전 (→ 경부고속본선 경유) (1일 4왕복 운행)
또, 경전선 경유 열차 역시 동대구 ~ 밀양 구간에서는 경부선을 이용해 운행한다. 자세한 사항은 마찬가지로 KTX 문서를 참조.
3.2 ITX-새마을 · 새마을호[편집]
ITX-새마을은 새마을호를 전신으로 하는 열차로, 이 등급의 열차는 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현재 경부선 열차는 전부 ITX-새마을로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는 장항선 경유 열차로만 운행된다.
3.3 무궁화호 · 누리로[편집]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로, 누리로는 차후 무궁화호를 대체해 나갈 예정이다. 현재 운행되는 경부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ITX-새마을 (1000)의 정차역에 더해 더 많은 역을 정차하나 정차역의 패턴은 일정치 않다.
- 무궁화 (1200): 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 밀양 - 구포 - 부산 (약 1시간에 1대 정도 운행)
- 일부 구간 운행(1300) 열차도 운행된다.
- 무궁화 (1230): 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 밀양 - 구포 (→ 동해본선 직결) (1일 2회 운행)
- 누리로 (1280): 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전의 (→ 충북선 직결) (1일 1회)
- 누리로 (1730): 서울 - 용산 - 안양 - 수원 - 오산 - 평택 - 천안 (→ 장항선 직결) (1일 5~8회 운행)
3.4 수도권 전철[편집]

수도권 전철 1호선 | |||||
경원본선 | 소요산 ~ 청량리 | 42.9 km | 장항선 | 천안 ~ 신창 | 19.4 km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서울역 ~ 청량리 | 7.8 km | 병점기지선 | 병점 ~ 서동탄 | 2.2 km |
경부본선 | 서울역 ~ 두정 | 93.6 km | 경부고속선 | 금천구청 ~ 광명 | 4.6 km |
천안직결선 | 두정 ~ 천안 | 3.1 km | 경인선 | 구로 ~ 인천 | 27.0 km |
최초에 수도권 전철이 개통할 당시부터 서울과 수원간의 지역 통근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역간 거리를 좁혀 역을 신설하여 국철로써 운행된 것이 경부선에서의 수도권 전철 운행의 시작이었다. 대한민국이 발전하면서 서울과 부산간의 이동 수요가 크게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호남선, 전라선 등의 열차도 이 노선을 쓰는 탓에 서울부터 천안까지의 선로가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때문에 1990년대부터 수도권 전철을 천안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시작되었으며, 2005년부터 해당 구간에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3.5 관광열차[편집]
경부선 열차 외에도 직결 열차가 많다보니 많은 관광 열차가 경부선을 경유한다.
4 역 목록[편집]
- K / KTX, 새 / ITX-새마을 및 새마을, 무 / 무궁화 및 누리로, 전 / 전동열차
- ● / 필수 정차역, ■ / 일부 열차 통과역, ▲ / 일부 열차 정차역, | / 통과역
4.1 서울–천안[편집]
km | 역명 | K | 새 | 무 | 전 | 접속 노선 | |
---|---|---|---|---|---|---|---|
0.0 | 서울 | [2] | ● [3] |
● [3] |
● [3] |
● [4] |
경의본선 · ● 수도권 경의·중앙선 ● 수도권 1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 수도권 4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 공항철도 |
1.7 | 남영 | 南營 | | | | | | | ■ | |
3.2 | 용산 | 龍山 | ● [3] |
● [3] |
● [3] |
■ | 용산선 · 경원본선 · ● 수도권 경의·중앙선 ● 수도권 4호선 (신용산역, 수도권 전철간 환승 할인 없음) |
4.0 | (분기점) | | | | | | | | | 용산삼각선 (경원본선 방면) | |
5.8 | 노량진 | 鷺梁津 | | | | | | | ■ | ● 서울 9호선 |
7.3 | 대방 | 大方 | | | | | | | ■ | |
8.1 | 신길 | 新吉 | | | | | | | ■ | ● 서울 5호선 |
9.1 | 영등포 | 永登浦 | ▲ | ● | ● | ■ | |
10.6 | 신도림 | 新道林 | | | | | | | ■ | ● 서울 2호선 본선 · 신정지선 |
11.7 | 구로 | 九老 | | | | | | | ■ | ● 수도권 1호선 (경인선) 구로기지선 |
13.0 | (분기점) | | | | | | | | | 구로삼각선 (경인선 방면) | |
14.1 | 가산디지털단지 | 加山디지털團地 | | | | | | | ■ | ● 서울 7호선 |
16.1 | 독산 | 禿山 | | | | | | | ■ | |
17.3 | 금천구청 | 衿川區廳 | | | | | | | ■ | ● 수도권 1호선 (광명셔틀) |
17.7 | (분기점) | | | | | | | | | 시흥연결선 (경부고속본선 광명 방면) | |
19.6 | 석수 | 石水 | | | | | | | ■ | |
21.5 | 관악 | 冠岳 | | | | | | | ■ | |
23.9 | 안양 | 安養 | | | | | ▲ | ■ | |
26.1 | 명학 | 鳴鶴 | | | | | | | ■ | |
27.5 | 금정 | 衿井 | | | | | | | ■ | ● 수도권 4호선 (과천선 · 안산선) |
29.7 | 군포 | 軍浦 | | | | | | | ■ | |
31.3 | 당정 | 堂井 | | | | | | | ■ | |
33.9 | 의왕 | 義王 | | | | | | | ■ | 남부화물기지선 |
36.8 | 성균관대 | 成均館大 | | | | | | | ■ | |
39.4 | 화서 | 華西 | | | | | | | ■ | |
41.5 | 수원 | 水原 | ● | ● | ● | ● | ● 분당선 |
44.4 | 세류 | 細柳 | | | | | | | ■ | |
48.7 | 병점 | 餠店 | | | | | | | ■ | ● 수도권 1호선 (병점기지선) |
51.1 | 세마 | 洗馬 | | | | | | | ■ | |
53.8 | 오산대 | 烏山大 | | | | | | | ■ | |
56.5 | 오산 | 烏山 | | | | | ▲ | ■ | |
60.5 | 진위 | 振威 | | | | | | | ■ | |
64.3 | 송탄 | 松炭 | | | | | | | ■ | |
66.5 | 서정리 | 西井里 | | | | | ▲ | ■ | |
71.3 | 지제 | 芝制 | | | | | | | ■ | SR 수서평택고속본선 |
71.8 | (분기점) | | | | | | | | | 평택삼각선 | |
74.7 | (분기점) | | | | | | | | | 평택직결선 | |
75.0 | 평택 | 平澤 | | | ▲ | ● | ● | 평택선 |
84.4 | 성환 | 成歡 | | | | | ▲ | ■ | |
89.8 | 직산 | 稷山 | | | | | | | ■ | |
93.6 | 두정 | 斗井 | | | | | | | ● | 천안직결선 |
96.6 | 천안 | 天安 | | | ■ | ● | ● | 천안직결선 · 장항선 · ● 수도권 1호선 |
4.2 천안–부산[편집]
km | 역명 | K | 새 | 무 | 접속 노선 | |
---|---|---|---|---|---|---|
96.6 | 천안 | 天安 | | | ■ | ● | 천안직결선 · 장항선 · ● 수도권 1호선 |
107.4 | 소정리 | 小井里 | | | | | ▲ | |
114.9 | 전의 | 全義 | | | | | ▲ | |
122.6 | 전동 | 全東 | | | | | | | |
126.1 | 서창 | 瑞倉 | | | | | | | 오송선 (충북선 방면) |
129.3 | 조치원 | 鳥致院 | | | ▲ | ● | 충북선 |
134.9 | 내판 | 內板 | | | | | | | |
139.8 | 부강 | 芙江 | | | | | ▲ | 부강화물선 |
144.4 | 매포 | 梅浦 | | | | | | | |
151.9 | 신탄진 | 新灘津 | | | | | ■ | |
157.5 | 회덕 | 懷德 | | | | | | | |
161.6 | 대전조차장 | 大田操車場 | | | | | | | 경부고속본선 호남본선 |
166.3 | 대전 | 大田 | ● | ● | ● | 경부고속본선 대전선 (호남본선 방면) ● 대전 1호선 |
173.6 | 세천 | 細川 | 경부고속본선 경유 | | | | | |
182.5 | 옥천 | 沃川 | | | ■ | ||
190.8 | 이원 | 伊院 | | | ▲ | ||
196.4 | 지탄 | 地灘 | | | ▲ | ||
200.8 | 심천 | 深川 | | | ▲ | ||
204.6 | 각계 | 覺溪 | | | | | ||
211.6 | 영동 | 永同 | ▲ | ● | ||
226.2 | 황간 | 黃澗 | | | ▲ | ||
234.7 | 추풍령 | 秋風嶺 | | | ▲ | ||
240.7 | 신암 | 新岩 | | | | | ||
246.2 | 직지사 | 直指寺 | | | | | ||
253.8 | 김천 | 金泉 | ● | ● | 경북선 | |
263.5 | 대신 | 大新 | | | | | ||
269.2 | 아포 | 牙浦 | | | | | ||
276.7 | 구미 | 龜尾 | ● | ● | ||
281.3 | 사곡 | 沙谷 | | | ▲ | ||
289.5 | 약목 | 若木 | | | ▲ | ||
296.0 | 왜관 | 倭館 | ▲ | ● | ||
302.2 | 연화 | 蓮花 | | | | | ||
305.9 | 신동 | 新洞 | | | ▲ | 신동화물선 | |
313.3 | 지천 | 枝川 | | | | | ||
323.1 | 대구 | 大邱 | ● | ● | ● 대구 1호선 | |
326.3 | 동대구 | 東大邱 | ● | ● | ● | 경부고속본선 ● 대구 1호선 |
331.8 | 고모 | 顧母 | | | | | | | |
333.4 | 가천 | 佳川 | | | | | | | 대구선 |
338.6 | 경산 | 慶山 | ▲ | ▲ | ■ | |
345.7 | 삼성 | 三省 | | | | | | | |
353.1 | 남성현 | 南省峴 | | | | | ▲ | |
361.8 | 청도 | 淸道 | | | ▲ | ■ | |
367.4 | 신거 | 新巨 | | | | | | | |
372.2 | 상동 | 上東 | | | | | ■ | |
381.6 | 밀양 | 密陽 | ■ | ■ | ● | |
392.6 | 미전 | 美田 | | | | | | | 미전선 (경전본선 방면) |
394.1 | 삼랑진 | 三浪津 | | | | | ■ | 경전본선 |
403.2 | 원동 | 院洞 | | | | | ▲ | |
412.4 | 물금 | 勿禁 | | | ▲ | ■ | 양산화물선 |
421.8 | 화명 | 華明 | | | | | ▲ | |
425.2 | 구포 | 龜浦 | ● | ● | ● | ● 부산 3호선 |
430.3 | 사상 | 沙上 | | | | | ▲ | 가야선 ● 부산 2호선 ● 부산-김해 경전철 |
439.9 | 부산진 | 釜山鎭 | | | | | ▲ | 동해본선 · 우암선 ● 부산 1호선 |
441.7 | 부산 | 釜山 | ● | ● | ● | 경부고속본선 ● 부산 1호선 |
5 지선[편집]

제1간선이다보니 아무래도 지선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몇몇 지선은 꽤 긴 수준이다. 독립 문서에 대해서는 일반 지선 문단을, 나머지 자잘한 연결선 등에 대해서는 경부선/지선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5.1 일반 지선[편집]
6 폐역 목록[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