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

(신용산역에서 넘어옴)
용산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 55
번호  135   K110 
노선 경부선 3.2 km
경원선 0.0 km
효창선[1] 0.0 km
용산선 0.0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개업일 1900년 7월 8일
코드 AFC: 1003
일반철도: 104 (발매), 010032 (통계)
승강장 7면 13선
관련역 4호선 신용산역

용산역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경부선 및 경원선의 철도역이다.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열차의 시종착역 역할은 맡는다. 본 문서에서는 근처에 있는 4호선 역인 신용산역도 함께 다룬다.

KTX 개통 이전에는 비둘기호통일호 같은 완행열차 일부, 그리고 군 병력을 수송하는 전세열차 정도만 시종착하는 역에 불과하였다. PP-DHC로 운행하는 새마을호나 CDC열차가 용산차량기지로 회송하는 정도가 특이한 정도. 그러나 KTX가 개통하면서 서울역의 처리능력이 부족하게 됨에 따라, 용산역이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시종착역으로 개편되면서 KTX및 일반열차의 주요 거점역이 되었다. 이에 조금 앞서 민자역사가 건립되면서 그야말로 상전벽해 수준의 발전을 하게 되었다. 철도공사의 모든 열차, 차량을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역 중 하나.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900년 7월 8일, 한강철교의 건설과 함께 경인선의 시종착역이 연장되며 개통한 역이다. 1905년에는 경의선 본선(현재의 용산선)이 개업했고, 남대문 방면 연장이 이루어졌다. 1911년에 이르러서 경원선이 개통되며 현재와 같은 노선 목록이 정착된다.

철도 초창기인 1905년에 용산에 철도공장이 설치되었으며, 이후 이 공장은 조선총독부 철도국의 경성공장의 기원이 되었다. 1919년에는 현 서울역이 되는 남대문역에 입지했던 기관차고를 용산역으로 이전하였다. 또한, 철도리원양성소(철도 종사자 학교)가 1907년에, 조선총독부 철도국 청사가 1912년 용산역 인근에 설치되고, 이후 운전의 거점이자 차량 등의 거점으로서 용산역은 철도운행의 중추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경의선의 두단식 영업이 부담스러웠던지 이후 속칭 서소문선이라고 불리는 경의선의 신촌 ~ 서울 구간이 완공되었고, 북한 방면의 터미널역 역할을 맡았던 용산역은 이후 단순 통과역 같은 기능으로 줄어들기 시작했다.

이후 용산역은 서울역에서 취급하기 애매한 완행 열차의 착발과 화물영업 위주로 전환되었으며, 1974년에는 수도권 전철의 개통도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입지는 2004년 확 바뀌는데, 서울역의 착발 용량 부족으로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방면의 열차가 시종착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다시 터미널역으로 복귀하기 시작한다. 이후, 경의·중앙선의 개통이나 ITX-청춘의 운행 연장으로 현재와 같은 위상을 차지하게 된다.

한동안 경부선, 동해선, 경전선 KTX는 서울역이, 호남선, 전라선 KTX는 용산역이 시/종착을 분담하던 구조를 유지해오다 2016년 12월 9일, 경쟁노선인 SRT가 개통하면서 시각표가 바뀌어 용산역에서도 경부선, 동해선, 경전선 KTX 일부편성들이 시/종착하게 되었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신용산역 연혁

  • 1983년 9월 13일: 역명을 신용산으로 결정[2]
  • 1985년 10월 18일: 4호선 삼선교~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시설[편집 | 원본 편집]

경원선, 용산선을 포함한 전철선 쪽의 승강장은 상대식 승강장 3개가 들어가 있다. 때문에 환승이 필요한 경우 다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구조. 또한 입체교차를 위해 여객선 쪽의 승강장보다 지표가 높게 되어있고, 구내에 경사가 져있다. 경원선-용산선 쪽은 꼴랑 2면 2선과 가운데 통과선 하나만이 놓여있는데, 이 때문에 여객 취급에 상당한 애로사항이 꽃핀다. 일단 전동차만 가능하기도 하고, 용량 자체가 후달리는 편.

광역전철 취급 승강장이 6개로 구로역의 9개 다음으로 많다. 2개 노선이 접속하는 데다, 경인선경부선 급행 전동열차와 경춘선 ITX-청춘 열차의 시종착 취급을 하고 있어 그야말로 광역전철의 최대 거점 중 하나.

여객선 쪽은 전철선과 붙은 승강장이 있으나 쓰지 않고 번호 역시 붙어있지 않으며, 경부선 본선 하행 열차가 통과한다. 여객선은 섬식 승강장 3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9/10번 승강장과 12/13번 승강장 사이에 경부선 본선 상행 열차가 통과하는 선로가 있다.

이외에 과거에는 역사 서쪽에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이 있었으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 진행과 맞물려 철거되었다. 하지만 모종의 사정으로 사업이 부진한 탓에 점점 자연림처럼 되어가는 중이다...

지상 승강장[편집 | 원본 편집]


신용산역[편집 | 원본 편집]

신용산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112
번호  429 
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22.6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1985년 10월 18일
승강장 2면 2선

신용산역서울 지하철 4호선의 철도역이다. 용산역이 코 앞에 있지만 환승은 불가능하다. 신분당선이 용산으로 연장되면 신분당선 역사를 통해 환승이 가능해질 예정이다.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용산역과 신용산역 간의 환승 정보는 무의미하므로 제외하였다.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목적지
1호선 경의·중앙선
청량리
방면
구로
방면
급행선 문산
방면
지평
방면
출발지 1호선 청량리 방면 - 10-1
구로 방면 6-2 - 6-2
급행선 2-4 - 2-4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1-4 모든 문 - 1-4
지평 방면 1-2 -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본래 2004년 KTX가 개업함과 동시에 용산역 민자역사가 신축되기 전만 하더라도 이 역은 낡은 전철역 수준이었다. 거기다가 이 근처에 홍등가까지 있어서 그야말로 어둡다면 어두운 동네. 애초에 기차역 주변 치안 자체가 좋은 경우가 많이 없다지만, 청량리역, 용산역, 영등포역 이 세 개 역이 정말 상태가 안 좋은 편이었다.

또한 용산전자상가의 관문역이었다. 서부역 출구가 생긴것도 용산전자상가 및 구 관광터미널과의 연계를 위해서 설치되었던 것. 지금은 상가 자체가 쇠락해서 의미가 줄었다.

그러다가 민자역사가 신축되고 주변 지구가 재개발되면서 비교적 깔끔해지고 있다. 용산 역세권 개발사업 덕으로 주변에 아파트나 주상복합이 들어서고 있으나, 역 앞의 홍등가 등이 있던 지역은 개발추진을 위해 철거된 상태로 사업 추진이 지연되는 상황이다. 그래도 현재 수준이면 꽤 많이 나아진 상태.

철도청 초기이던 1980년대까지 철도고등학교[3], 철도공무원 교육원, 철도병원이 입지해 있어서 그야말로 철도의 메카였으나, 현재는 철도회관과 홍익회 등의 사무소만 남아 있다. 그 외에 용사의 집 등 군 관련 시설이나 기타 관변단체가 여럿 입지하고 있다.

이곳도 과거 민자역사 건너편 골목에 집창촌이 위치해 있었다. 2011년 부터 철거에 들어갔고 2012년엔 철거된 자리에 잠시 포장마차들이 영업하다 지금은 빌딩이 들어서게 되었다. 지금의 신축빌딩 자리가 집창촌 골목들이였다고 보면 된다.

과거에 용산민자역사내에 조이맥스 용산점 오락실이 존재하였으나 해당 오락실이 펀잇 용산점 오락실로 바뀐후 몇년을 더 영업하다가 폐업하였다. 또한 용산 전자랜드내에 위치했던 랜드시네마 로비에 용산 랜드시네마 오락실이 존재하였으나 폐업하고 랜드시네마가 롯데시네마 용산점으로 바뀌고 새로 인앤인 용산점 오락실이 입점하였다. 또한 애니메이트 용산 1호점이 용산 민자역사 4층 영화관 연결통로 앞에 있었으나 얼마간 휴점공지를 띄우고 4층 애니파크겸 대원미디어 신규 사무실로 이전하였다. (구 대원미디어 용산 사옥은 매각함) 이후 2021년 즈음에 애니메이트 용산 2호점이 폐업후 같은자리에 용산 TCG 스테이션이라는 유희왕&뱅가드 전문 TCG 매장이 생겼다. 또한 아이파크몰 꼭대기 층에 용산 이스포츠 스타디움이 존재하였으나 온게임넷이 OGN으로 바뀌는등 여러 변경겸 넷마블을 제외한 모든 CJ 그룹계열사의 사옥 통합으로 인하여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내 상암동 OGN E스타디움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버스[편집 | 원본 편집]

용산역은 간선도로인 한강대로가 아니라 한강대로23길이라는 조그만 가지길에 놓여있다. 때문에 버스 이용이 불편하다.

주변 버스 승강장 정보
승강장 행선지
용산역광장앞 [한강대로23길 건너편]
03-760
03-258
서울 간선버스 400 숭례문 방면·서울 지선버스 5012 가산동 방면·공항버스 공항버스 6030 공항 방면
용산역 [한강대로29길]
03-759
03-255
서울 간선버스 400 염곡동 방면, 502 월암 방면
서울 지선버스 0017 이촌동 방면·공항버스 6030 서빙고 방면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서울 방면
남영 1.5 km
용산 부산 방면
노량진 2.6 km
(기점) 용산 백마고지 방면
이촌 1.9 km
(기점) 용산 효창[4] 방면
효창 1.8 km
(기점) 용산 가좌 방면
효창공원앞 1.5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시·종착)  135  용산
 특급  ·  급행 
동인천 방면
 136  노량진
청량리 방면
소요산 방면
 134  남영
 135  용산
천안·신창급행
완행
신창 방면
인천 · 신창 방면
 136  노량진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K312  공덕
 K110  용산
경의선 급행
용문 방면
 K111  이촌
문산 방면
 K311  효창공원앞
 K110  용산
완행 · 중앙선 급행
용문 · 지평 방면
 K111  이촌
4호선
당고개 방면
 428  삼각지
 429  신용산 오이도 방면
 430  이촌

여객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KTX 호남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호남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전라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전라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ITX-청춘 경춘선 용산 - 옥수 - 왕십리 - 청량리 - 상봉 - 퇴계원 - 사릉 - 평내호평 - 마석 - 청평 - 가평 - 강촌 - 남춘천 - 춘천
ITX-마음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전라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ITX-새마을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몽탄 - 일로 - 목포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
전라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새마을호 장항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광천 - 대천 - 웅천 - 서천 - 장항 - 군산 - 익산
무궁화호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
전라선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장항선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도고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광천 - 청소 - 대천 - 웅천 - 판교 - 서천 - 장항 - 군산 - 대야 - 익산
서해금빛열차 용산 - 영등포 - 수원 - 아산 - 온양온천 - 예산 - 홍성 - 광천 - 대천 - 장항 - 군산 - 익산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이야기[편집 | 원본 편집]

  • 경의·중앙선 하행 방향에 '백빈건널목'이라는 건널목이 있다. 철도 표지 상으로는 용산역 구내에 위치하며, 용사의집 방향의 주택가로 도보 5분 거리에 있다.

각주

  1. 실제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2.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3.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의 전신이다.
  4. 역 이름의 변경이 적용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