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림선 | |
---|---|
![]() 노선도 |
|
종류 | 도시철도(서울), 경전철, 운행계통 |
구간 | 샛강 ~ 관악산(서울대) |
영업거리 | 7.53 km |
소유자 | 서울특별시 |
운영자 |
남서울경전철 (BTO사업자) 로템SRS (위탁 운영사) |
개통일 | 2022년 5월 28일 |
시설 정보 | |
궤간 | 1,700 mm (광궤) |
선로 | 2 |
전기 | 직류 750 V 제3궤조 |
신호 | KRTCS-1(RF-CBTC) |
서울 지하철 9호선 샛강역과 관악구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정문을 연결하는 경전철이다. 연선 도로망인 신림로 등이 출퇴근 시간마다 정체를 빚고 있었으며, 관악구와 동작구 내의 도시철도 노선은 횡축 노선밖에 없어 신규 종축 노선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신림선 개통으로 인해 해당 2개 자치구에 종축 노선이 공급되며 편리한 환승은 물론, 여의도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는 노선이 생겼다.[1] 그리고 2호선 서울대입구역에서 서울대 정문까지는 걸어서 30분 거리라 버스 환승이 필요하였는데, 신림선은 서울대학교 정문 바로 앞에 관악산역이 있어 통학이 한결 쉬워졌다.[2] 차량은 보라매차량사업소에서 관리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2015년 9월 7일: 기공식
- 2022년 5월 28일: 개통
운행[편집 | 원본 편집]
- 일반 [샛강~관악산(서울대)]
차량[편집 | 원본 편집]
신림선 차량은 SL300호대 번호를 사용한다. 한 편성의 길이는 3량이다. 열차는 보라매차량사업소에서 관리한다.
차량 | 편성 | 도입 | 설명 |
---|---|---|---|
SL000호대 | SL01~SL12 | 2020 |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아래 역들은 모두 서울특별시에 있다. 총 영업거리가 기본요금 기준 거리인 10km에 미달하는 7.53 km이기 때문에 전 구간 기본요금에 이용할 수 있다.
번호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소재지 |
---|---|---|---|---|
S401 | 0.0 | 샛강 | ● 9호선 | 영등포구 |
S402 | 0.6 | 대방(성애병원) | 경부선: ● 1호선 | |
S403 | 1.5 | 서울지방병무청 | ||
S404 | 2.1 | 보라매 | ● 7호선 | 동작구 |
S405 | 2.8 | 보라매공원 | ||
S406 | 3.4 | 보라매병원 (전문건설회관) |
||
S407 | 3.9 | 당곡 | 관악구 | |
S408 | 4.5 | 신림 | ● 2호선 | |
S409 | 5.4 | 서원 | ||
S410 | 6.4 | 서울대벤처타운 | ||
S411 | 7.5 | 관악산(서울대) |
지선 난곡선 계획[편집 | 원본 편집]
보라매공원역에서 분기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지만, 운행 계통은 정해지지 않았다.
서울대입구역 연장[편집 | 원본 편집]
서울대 인근까지 갔는데도 서울대입구역과 연결되지 못하다는 문제 때문에 서울대입구로의 연장 이야기가 나왔다. 현재는 이 구간을 서부선으로 연결하는 계획이 나왔다.
서울대학교 내부 연장[편집 | 원본 편집]
관악산(서울대)역이 서울대입구역보다야 가깝다만 여전히 서울대와는 거리가 제법 된다. 이에 서울대 측에서는 차량기지 부지까지 제공해 주겠다면서 서울대 내부로 신림선을 연장하자고 서울시 측에 제안했다. # 하지만 비용 부담에 대해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최종적으로 무산되었다.[3] 현재 서울대학교 측은 신림선은 포기하고 서부선을 학교 내부로 연장하려고 하는 중이다.
각주
- ↑ 물론 여의도 중심가인 여의도역까지는 샛강역에서 환승해서 한 정거장을 더 가야 한다.
- ↑ 단, 공학관까지는 정문하고 거리가 멀어 버스 환승이 필요하다. 애초에 서울대 부지가 넓기 때문에 시내버스와 관악구 마을버스가 캠퍼스 안으로 들어온다.
- ↑ "경전철 서부선 서울대 학내로 연장해야"…발등에 '불' 서울대: 2017.02.19 뉴스1
수도권 전철 노선
| |||||
---|---|---|---|---|---|
서울 도시철도 및 연장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
인천 도시철도 | |||||
인천1 | 인천2 | ||||
일반철도 광역전철 |
|||||
경의중앙 | 경춘 | 수인분당 | 경강 | 서해 | |
공항철도 | 신분당 | GTX A | 신안산 | 동탄인덕원 | |
GTX B | GTX C | ||||
기타 | |||||
의정부 | 용인 | 김포 | 경기도 도시철도 |
대한민국 철도 노선
| |||||
---|---|---|---|---|---|
사업용철도 | |||||
고속 | 경부고속(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지선) | ||
준고속 | 경강(지선) (원주~강릉) |
서해(지선) (홍성~송산) |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
중부내륙 | 춘천속초 |
일반 | 경인(지선) | 경부(지선) | 경의(지선) | 호남(지선) | 경원 |
충북 | 경전(지선)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
동해(지선) | 중앙(지선) (안동~경주) |
영동(지선)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
안산(지선) | 과천 | 분당(지선) | 일산 | 신분당 | |
서해(지선) (대곡~원시) |
인천공항(지선) |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
진접선 | GTX A | |
동탄인덕원 | 신안산 | 남부내륙 | GTX B | GTX C | |
도시철도 | |||||
서울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위례신사 | ||
인천 | 1호선 | 2호선 | |||
부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사상하단 |
오륙도 | |||||
대구 | 1호선 | 2호선 | 3호선 | 엑스코 | |
광주 | 1호선 | 2호선 | |||
대전 | 1호선 | 2호선 | |||
경기도 | 하남 | 별내 | 도봉산옥정 | ||
기타 | 부산김해 | 의정부 | 용인 | 인천공항 자기부상 | 김포 |
양산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