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시철도 8호선 | |
---|---|
종류 | 도시철도(서울), 운행계통광역전철 |
구간 |
도시철도: 암사 ~ 모란 광역전철: 별내 ~ 모란 |
영업거리 |
17.7 km (도시철도) 30.2 km (광역전철) |
소유자 | 서울특별시 |
운영자 | 서울교통공사 |
개통일 | 1996년 11월 23일 |
시설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2 |
전기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
신호 | ATC-ATO |
서울 도시철도 8호선(서울 지하철 8호선)은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역과 경기도 성남시 모란역을 잇는 길이 17.7 km의 도시철도 노선이다.
암사역과 별내역을 잇는 별내선과 직결운행하는데, 이 운행계통의 명칭은 따로 없다.[1]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990년 2기 지하철 계획이 시작되자 착공하여, 1996년 11월 23일 모란역-잠실역 구간이 1단계로 개통하였으며, 1999년 7월 2일 남은 잠실-암사 간 2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90년 12월 29일: 잠실~모란 구간 착공.
- 1994년 1월 8일: 암사~잠실 구간 착공.
- 1996년 11월 23일: 잠실~모란 구간 개통.
- 1998년 10월 1일: 남한산성역 이름을 산성으로, 단대역 이름을 남한산성입구(성남법원·검찰청)으로 변경.[2]
- 1999년 7월 2일: 암사~잠실 구간 개통.
- 2015년 10월 6일: 별내선 암사~별내 구간 착공.
- 2021년 12월 18일: 남위례역 개업.
- 2024년 8월 10일: 별내선 개통 및 직결.
특징[편집 | 원본 편집]
다른 지하철 노선들이 서울 도심 혹은 강남 등 주요 지역을 통과하는 것과 다르게, 8호선은 서울 강동구 및 송파구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보조 노선에 가까우며, 별내선 개통 이전에는 광역철도가 아님에도 성남 구간의 역 숫자가 꽤 많았던 특이한 노선이었다. 특히 8호선이 포함된 2기 지하철 노선들 중에서 서울 시계를 벗어난 경기도 지자체 영역에 이 노선만큼 많은 역이 배정된 사례[3]가 없었으니.
성남시 구역은 사실 광주대단지 사건에 따라 많은 이주민들이 성남 지역으로 정착하였는데, 이에 대한 보상 측면에서 지하철 노선을 약속했고 2기 지하철 건설에 반영되면서 8호선이 그러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8호선 선형이 성남에서 송파구로 직선이 아닌 성남 시가지 주요 지점을 모두 거치느라 노선이 휘어있는 점도 최대한 성남시민들에게 교통 편의를 제공한다는 측면이 고려된 것. 2기 지하철 이후 분당신도시 등 성남에 대규모 신도시가 설치되었으나 해당 지역은 분당선이 건설되면서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8호선의 선형이 성남 구시가지를 거치느라 굴곡이 심하므로 분당선을 타고 서울 동부로 가고자 한다면 모란역[4]이 아닌 복정역에서 8호선을 타는 것이 시간 절약에 유리하다. 8호선 건설 목적상 경기도 성남시 영역에 서울 지하철이 건설되었으며, 이는 광역철도가 아닌 순수 서울 지하철 노선으로 건설비 또한 서울시가 모두 부담했다. 따라서 2025년 현재 서울시 안에서만 승하차 처리가 가능한 기후동행카드를 8호선은 성남시 영역에서도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8호선이 건설된 당시에 송파구나 강동구는 본격적인 도시 개발이 이뤄지기 전이라서 다소 한산한 편이었으나, 2020년대 이후로 위례신도시 및 강동구의 대규모 재개발이 이뤄지면서 인구가 폭증하였고, 하남시의 미사강변도시 등 서울 동부로 5호선이 연장되면서 자연스럽게 천호역에서 8호선을 타고 잠실역으로 이동하여 2호선을 이용하려는 환승 수요도 크게 늘어났다.
또한 2024년에 개통한 별내선 역시 서울 동북부 별내신도시, 다산신도시, 구리시[5]의 이용객들이 강남권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8호선의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현행 6량 1편성의 전동차가 수요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을지 지켜볼 대목이다.
운행[편집 | 원본 편집]
- 일반 [별내~모란]
차량[편집 | 원본 편집]
8호선 차량은 8000호대 번호를 사용하며 한 편성의 길이는 6량이다. 열차는 모란차량사업소에서 관리한다.
차량 | 편성 | 도입 | 설명 |
---|---|---|---|
8000호대, 현대로템 1세대 | 801~815 | 1996 | |
8000호대, 현대로템 1세대 | 816~822 | 1999 | 821~822편성은 7호선으로 이적. |
8000호대, 우진산전 | 821~829 | 2023~2024 |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별내선 구간의 자세한 연계 노선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세요.
노선
|
번호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소재지 | ||
---|---|---|---|---|---|---|---|
암사 | 별내 | ||||||
804 | -12.5 | 0.0 | 별내 | ● 경춘선 | 남양주시 | ||
805 | -9.4 | 3.0 | 다산 | ||||
806 | -7.6 | 4.8 | 동구릉 | 구리시 | |||
807 | -6.5 | 6.0 | 구리 | ● 경의·중앙선 | |||
808 | -4.6 | 7.8 | 장자호수공원 | ||||
809 | -1.1 | 11.4 | 암사역사공원 | 강동구 | |||
810 | 0.0 | 12.5 | 암사 | 별내선 (연결) | |||
서울 도시철도 8호선
| |||||||
811 | 1.3 | 13.8 | 천호(풍납토성) | ● 5호선 | |||
812 | 2.2 | 14.7 | 강동구청 | ||||
813 | 3.8 | 16.3 | 몽촌토성(평화의문) | 송파구 | |||
814 | 4.6 | 17.1 | 잠실(송파구청) | ● 2호선 | |||
815 | 5.8 | 18.3 | 석촌 | ● 9호선 | |||
816 | 6.7 | 19.2 | 송파 | ||||
817 | 7.5 | 20.0 | 가락시장 | ● 3호선 5호선 연결선 (연결) | |||
818 | 8.4 | 20.9 | 문정 | ||||
819 | 9.3 | 21.8 | 장지 | ||||
820 | 10.2 | 22.7 | 복정 | 분당선: ● 수인·분당선 | |||
821 | 11.7 | 24.2 | 남위례 | 성남시 | |||
822 | 12.9 | 25.4 | 산성 | ||||
823 | 14.2 | 26.7 | 남한산성입구 (성남법원·검찰청) |
||||
824 | 15.0 | 27.5 | 단대오거리 (신구대학교) |
||||
825 | 15.8 | 28.3 | 신흥 | ||||
826 | 16.7 | 29.2 | 수진 | ||||
827 | 17.7 | 30.2 | 모란 | 분당선: ● 수인·분당선 |
연장 계획[편집 | 원본 편집]
- 별내별가람 연장
- 진접선와 연계될 수 있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인해 단절된 별내신도시의 북부 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제공한다는 개념이다.
각주
- ↑ 다른 위키에서는 '수도권 전철 8호선'이라고 부른다.
- ↑ 8호선 남한산성·단대역명 산성·남한산성입구로 변경, 경향신문
- ↑ 5호선과 6호선은 서울 시계 외로 나가지 않았고, 7호선은 남쪽에 광명시를 살짝 거쳐가면서 역들이 있지만 이는 천왕차량사업소가 광명시 영역에 설치된 것에 대한 보상 성격이 강하고, 북쪽 장암역이 있지만 이 역시 도봉차량사업소가 의정부시에 설치되어 이에 대한 보상 측면이다.
- ↑ 모란역은 8호선의 시종착 역이라서 착석이 용이하지만, 전체적인 운행 시간은 훨씬 늘어난다.
- ↑ 구리역에서 경의중앙선 환승이 가능하므로 양평이나 덕소 등의 배후 수요도 크게 늘어날 것이다.
수도권 전철 노선
| |||||
---|---|---|---|---|---|
서울 도시철도 및 연장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
인천 도시철도 | |||||
인천1 | 인천2 | ||||
일반철도 광역전철 |
|||||
경의중앙 | 경춘 | 수인분당 | 경강 | 서해 | |
공항철도 | 신분당 | GTX A | 신안산 | 동탄인덕원 | |
GTX B | GTX C | ||||
기타 | |||||
의정부 | 용인 | 김포 | 경기도 도시철도 |
대한민국 철도 노선
| |||||
---|---|---|---|---|---|
사업용철도 | |||||
고속 | 경부고속(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지선) | ||
준고속 | 경강(지선) (원주~강릉) |
서해(지선) (홍성~송산) |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
중부내륙 | 춘천속초 |
일반 | 경인(지선) | 경부(지선) | 경의(지선) | 호남(지선) | 경원 |
충북 | 경전(지선)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
동해(지선) | 중앙(지선) (안동~경주) |
영동(지선)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
안산(지선) | 과천 | 분당(지선) | 일산 | 신분당 | |
서해(지선) (대곡~원시) |
인천공항(지선) |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
진접선 | GTX A | |
동탄인덕원 | 신안산 | 남부내륙 | GTX B | GTX C | |
도시철도 | |||||
서울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위례신사 | ||
인천 | 1호선 | 2호선 | |||
부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사상하단 |
오륙도 | |||||
대구 | 1호선 | 2호선 | 3호선 | 엑스코 | |
광주 | 1호선 | 2호선 | |||
대전 | 1호선 | 2호선 | |||
경기도 | 하남 | 별내 | 도봉산옥정 | ||
기타 | 부산김해 | 의정부 | 용인 | 인천공항 자기부상 | 김포 |
양산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