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중앙선 | |
---|---|
종류 | 운행계통 |
구간 |
문산 ~ 지평·서울 임진강 ~ 문산 |
영업거리 | 총 130.5 km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개통일 | 2014년 12월 27일 |
시설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신호 | ATS |
경의·중앙선은 경기도 파주시 임진강역과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역 및 경기도 양평군 지평역 간을 운행하는 운행계통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경의·중앙선의 시초는 중앙선 계통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용산~성북(현재 광운대) 간 노선으로 당시에는 국철이라고 불렸다. 2000년 4월 1일부터 1호선과 국철 모두 1호선으로 표기하고 노선색도 군청색으로 통일했다. 용산~성북 계통은 청량리와 회기 사이에서 평면교차를 했기 때문에 운행 편수가 한정적이었다.
2005년 말, 용산~덕소 간 복선전철 개통으로 용산~성북 계통은 용산~덕소로 분리되었고 중앙선이란 명칭을 받았다. 하지만 완전히 정착되지는 않아 용산-덕소선이라고 표기되기도 했다. 또한 철도공사에서 1호선과 중앙선 차량을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차내 노선도에는 1호선과 중앙선이 함께 있었다. 이후 노선을 팔당으로 연장하고 열차 길이를 8량으로 줄이면서, 노선 및 차량이 완전히 분리되었고 이름도 중앙선으로 자리를 잡았다.
경의선은 통근열차 운행 등 일찍부터 근교화되었지만 통근형 전철이 운행한 건 2009년에 이르러서였다. 용산~문산 간 복선전철 사업 중 디지털미디어시티~문산 구간의 복선전철화가 완료되어, 서울~문산 구간에도 통근형 전동차을 운행했고 이 운행계통은 경의선이란 이름이 붙었다.
원래 경의선은 신분당선과, 중앙선은 신안산선과 직결할 계획이었지만 여건상 엎어졌고, 경의선과 중앙선의 직결은 용산선 지하화 및 복선전철화가 완료된 2014년 말에 이루어졌다.[1]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중앙선 연혁
- 1978년 12월 9일: 국철 용산~청량리 간 운행 시작(운행계통은 용산~성북).
- 1980년 4월 1일: 한남, 회기 개업.
- 1980년 7월 10일: 성수역 이름을 응봉으로 변경.
- 1985년 10월 18일: 옥수 개업.
- 2000년 4월 1일: 노선 이름을 1호선, 노선 색상을 군청색으로 통합.
- 2005년 12월 16일: 용산~덕소 간 복선전철 개통으로, 운행 구간을 용산~덕소로 변경하고 노선을 분리. 노선을 중앙선으로 명명. 노선 색상도 1호선과 다른 옥색을 적용.
- 2007년 12월 27일: 노선을 팔당까지 연장. 편성 길이를 10량에서 8량으로 단축.
- 2008년 12월 1일: 급행 운행 시작(상행 한정).
- 2008년 12월 29일: 노선을 국수까지 연장.
- 2009년 12월 23일: 노선을 용문까지 연장. 신원 개업.
- 2010년 12월 21일: 오빈, 상봉 개업.
- 2011년 10월 4일: 편성 길이를 8량에서 6량으로 단축.
- 2012년 5월 21일: 6량 계획 취소.
- 경의선 연혁
- 경의·중앙선 연혁
운행[편집 | 원본 편집]
안 그래도 선로용량이 헬게이트였던 중앙선이 경의선과 연결되면서 중앙선의 지연이 경의선으로 파급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경의·중앙선이 운행하는 철도 노선 구성은 다음 표와 같다.
노선 | 구간 |
---|---|
경의선 | 임진강 ~ 문산 ~ 가좌 ~ 서울 |
용산선 | 가좌 ~ 용산 |
경원선 | 용산 ~ 청량리 |
중앙선 | 청량리 ~ 용문 ~ 지평 |
경의선 계통[편집 | 원본 편집]
- 일반 [문산~서울] (K2200)
- 경의선만 이용하는 계통으로 문산과 서울 사이의 역에 모두 정차한다. 일부 열차는 주말 한정 대곡에서 착발한다. 서울~가좌 구간의 선로용량 탓에 일 20회 정도만 운행한다.
- 임진강 셔틀 [임진강~문산] (K2600)
- 임진강과 문산 사이의 역에 모두 정차한다. 2020년 3월부터 운행을 시작했는데 과거 통근열차나 관광열차(평화열차)로만 접근할 수 있었던 임진강역까지 전철을 타고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평일 왕복 2회, 휴일 왕복 4회 운행한다.
- 관광열차 [도라산~임진강] (K2650)
- 도라산에서 임진강까지만 운행하는 열차로 경의·중앙선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관광열차이기 때문에 별도의 운임 2,500원을 지불해야 하고 환승할인도 적용되지 않는다. 주말과 공휴일 한정으로 왕복 1편성 운행하며, 탑승 정원은 50명이고 임진강 셔틀을 타고 온 사람에게 탑승 우선권을 부여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2022년 2월에 운행 중단되었다.
- 서울역 급행 [문산~서울] (K2500)
- 정차역은 문산 - 금촌 - 운정 - 야당 - 탄현 - 일산 - 백마 - 대곡 - 행신 - 디지털미디어시티 - 가좌 - 신촌 - 서울이다. 평일 왕복 8회 운행한다. 아래의 경의선 급행과 달리 금릉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경의중앙선 계통[편집 | 원본 편집]
- 일반 [문산~지평] (K5000)
- 1호선의 경부장항선(약 130km) 다음으로 두 번째로 긴 수도권 전철 운행계통이다. 문산과 용문·지평 사이의 역에 모두 정차하는데, 지평에서 착발하는 열차는 매우 드물다. 일부 열차는 일산, 청량리, 덕소, 팔당 등에 착발한다.
- 경의선 급행 [문산~용산] (K7000)
- 경의선/용산선 구간에서만 급행으로 운행하며, 용산부터 용문까지의 구간은 일반 열차와 동일하게 운행한다. 경의선/용산선 급행 정차역은 문산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일산 - 백마 - 대곡 - 행신 - 디지털미디어시티 - 가좌 - 홍대입구 - 공덕 - 용산이다. 평일 하행 4회(용문행 1회/팔당행 3회), 상행 4회(용문발 2회/팔당발 1회/덕소발 1회) 운행한다.
- 원래 운정에는 일부 열차만 정차하고 야당에는 서지 않았지만 2021년 1월 5일부터 두 역에 모두 정차한다.
- 중앙선 급행 [용산~용문] (K5850)
- 경원선/중앙선 구간에서만 급행으로 운행하며, 문산부터 용산까지의 구간은 일반 열차와 동일하게 운행한다. 경원선/중앙선 급행 정차역은 용산 - 이촌 - 옥수 - 왕십리 - 청량리 - 회기 - 상봉 - 구리 - 도농 - 덕소 - 도심 - 양수 - 양평 - 용문이다. 평일 하행 2회(문산발 1회/일산발 1회), 상행 2회(수색행 2회) 운행한다.
차량[편집 | 원본 편집]
경의·중앙선 차량은 321000호대와 331000호대 번호를 사용하며 한 편성의 길이는 8량이다. 열차는 문산, 용문차량사업소에서 관리한다.
차량번호가 네 자릿수였을 때 도입한 차량은 번호가 다음처럼 바뀌었다.
- 5000호대: 일부 열차가 321000호대로 변경.
- 6000호대: 모두 321000호대로 변경.
차량 | 편성 | 도입 | 설명 |
---|---|---|---|
5000호대, 현대로템 2.5세대 | 586~592 | 2006 | |
6000호대, 현대로템 2.5세대 | 601~607 | 2006 | |
321000호대, 현대로템 2.5세대 | 32115~32118 | 2008 | |
321000호대, 현대로템 2.5세대 | 32119~32121 | 2009 | |
331000호대, 현대로템 2.5세대 | 33101~33113 | 2009 | |
331000호대, 현대로템 2.5세대 | 33114~33127 | 2012 | |
331000호대, 현대로템 3세대 | 33128 | 2024 |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문산 ~ 서울[편집 | 원본 편집]
- 용급: 문산 - 용산 급행
- 서급: 문산 - 서울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노선
|
번호 | km | 정거장 | 용급
|
서급
|
환승 | 소재지 | |
---|---|---|---|---|---|---|---|---|
K335 | 0.0 | 문산 | ● | ● | ● 임진강 셔틀 | 파주시 | ||
K334 | 4.4 | 파주 | ┃ | ┃ | ||||
K333 | 6.6 | 월롱 | ┃ | ┃ | ||||
K331 | 10.7 | 금촌 | ● | ● | ||||
K330 | 12.8 | 금릉 | ● | ┃ | ||||
K329 | 15.9 | 운정 | ● | ● | ||||
K328 | 17.4 | 야당 | ● | ● | ||||
K327 | 19.5 | 탄현 | ● | ● | 고양시 | |||
K326 | 21.2 | 일산 | ● | ● | ● 서해선 | |||
K325 | 23.1 | 풍산 | ┃ | ┃ | ● 서해선 | |||
K324 | 24.8 | 백마 | ● | ● | ● 서해선 | |||
K323 | 26.3 | 곡산 | ┃ | ┃ | ● 서해선 | |||
K322 | 28.1 | 대곡 | ● | ● | ● 3호선, ● 서해선,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코레일 일반열차 | |||
K321 | 29.9 | 능곡 | ┃ | ┃ | ● 서해선 | |||
K320 | 31.4 | 행신 | ● | ● | ||||
K319 | 32.3 | 강매 | ┃ | ┃ | ||||
K318 | 34.8 | 한국항공대 | ┃ | ┃ | ||||
K317 | 38.2 | 수색 | ┃ | ┃ | 은평구 | |||
K316 | 38.8 | 디지털미디어시티 | ● | ● | ● 6호선, ● 공항철도 | |||
K315 | 40.5 | 가좌 | 용산선 운행
|
● | ● 경의·중앙선 지평 방면 | 서대문구 | ||
P314 | 48.2 | 신촌 | ● | |||||
P313 | 51.3 | 서울[2] | ● | ■ KTX · 코레일 여객열차 ● 1호선, ● 4호선, ● 공항철도,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
중구 |
가좌 ~ 용산[편집 | 원본 편집]
- 아래 역들은 모두 서울특별시에 있다.
- 급: 문산 - 용산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노선
|
번호 | km | 정거장 | 급 | 환승 | 소재지 |
---|---|---|---|---|---|---|
K315 | 40.5 | 가좌 | ● | ● 경의·중앙선 서울역 방면 | 서대문구 | |
K314 | 42.2 | 홍대입구 | ● | ● 2호선, ● 공항철도 | 마포구 | |
K313 | 43.1 | 서강대 | ┃ | |||
K312 | 45.0 | 공덕 | ● | ● 5호선, ● 6호선, ● 공항철도 | ||
K311 | 45.7 | 효창공원앞 | ┃ | ● 6호선 | 용산구 | |
K110 | 47.5 | 용산 | ● | ■ KTX, ■ ITX-청춘, 코레일 일반열차 ● 1호선 ● 4호선 (신용산역, 환승 할인 없음) |
용산 ~ 지평[편집 | 원본 편집]
- 급: 용산 - 용문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노선
|
번호 | km | 정거장 | 급 | 환승 | 소재지 | |
---|---|---|---|---|---|---|---|
K110 | 47.5 | 용산 | ● | ■ KTX, ■ ITX-청춘, 코레일 일반열차 ● 1호선 ● 4호선 (신용산역, 환승 할인 없음) |
용산구 | ||
K111 | 49.4 | 이촌 | ● | ● 4호선 | |||
K112 | 51.1 | 서빙고 | ┃ | ||||
K113 | 53.0 | 한남 | ┃ | ||||
K114 | 54.6 | 옥수 | ● | ■ ITX-청춘 ● 3호선 |
성동구 | ||
K115 | 56.4 | 응봉 | ┃ | ||||
K116 | 57.8 | 왕십리 | ● | ■ ITX-청춘 ● 2호선, ● 5호선, ● 수인·분당선, ● 동북선 (예정) | |||
K117 | 60.2 | 청량리 | ● | ■ KTX, ■ ITX-청춘, 코레일 일반열차 ● 1호선, ● 경춘선, ● 수인·분당선 |
동대문구 | ||
K118 | 61.6 | 회기 | ● | ● 1호선, ● 경춘선 | |||
K119 | 63.4 | 중랑 | ┃ | ● 경춘선 | 중랑구 | ||
K120 | 64.2 | 상봉 | ● | ■ KTX, ■ ITX-청춘 ● 7호선, ● 경춘선 | |||
K121 | 64.8 | 망우 | ┃ | ■ KTX (상봉역) ● 경춘선 | |||
K122 | 66.5 | 양원 | ┃ | ||||
K123 | 69.7 | 구리 | ● | ● 8호선 | 구리시 | ||
K124 | 71.4 | 도농 | ● | 남양주시 | |||
K125 | 75.1 | 양정 | ┃ | ||||
K126 | 77.4 | 덕소 | ● | ■ KTX, 코레일 일반열차 | |||
K127 | 78.9 | 도심 | ● | ||||
K128 | 83.1 | 팔당 | ┃ | ||||
K129 | 89.5 | 운길산 | ┃ | ||||
K130 | 91.4 | 양수 | ● | 양평군 | |||
K131 | 96.1 | 신원 | ┃ | ||||
K132 | 99.0 | 국수 | ┃ | ||||
K133 | 103.1 | 아신 | ┃ | ||||
K134 | 105.9 | 오빈 | ┃ | ||||
K135 | 108.1 | 양평 | ● | ■ KTX, 코레일 일반열차 | |||
K136 | 113.9 | 원덕 | ┃ | ||||
K137 | 118.7 | 용문 | ● | 코레일 일반열차 | |||
K138 | 122.3 | 지평 | 코레일 일반열차 |
임진강 셔틀[편집 | 원본 편집]
번호 | km | 정거장 | 환승 | 소재지 |
---|---|---|---|---|
K337 | 0.0 | 임진강 | 경기도 파주시 | |
K336 | 2.3 | 운천 | ||
K335 | 6.0 | 문산 | ● 경의·중앙선 |
각주
수도권 전철 노선
| |||||
---|---|---|---|---|---|
서울 도시철도 및 연장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
인천 도시철도 | |||||
인천1 | 인천2 | ||||
일반철도 광역전철 |
|||||
경의중앙 | 경춘 | 수인분당 | 경강 | 서해 | |
공항철도 | 신분당 | GTX A | 신안산 | 동탄인덕원 | |
GTX B | GTX C | ||||
기타 | |||||
의정부 | 용인 | 김포 | 경기도 도시철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