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내륙선 | |
---|---|
종류 | 일반철도 |
구간 | 김천 ~ 거제 |
영업거리 | 177.9 km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개통일 | 2027년 예정 |
시설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1 |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
남부내륙선은 경상북도 김천시의 김천역과 경상남도 거제시의 거제역(예정)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철도 소외지역인 경상남도 중서부를 종단하는 노선으로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해당지역 연선 주민들 및 정치인들의 숙원 사업이다. 연선지역에 이렇다할 대도시는 없어서 단선전철로 건설된다. 계획대로 완공되면 수서광주선~중부내륙선~경북선~남부내륙선이 하나의 노선으로 연결되어 대한민국 중부를 종단하는 주간선으로서 중요한 노선이 될 전망이다.
이외에 통영대전고속도로도 장기적으로 종점을 거제시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잡혀있어서 남부내륙선과 고속도로 종점 연장이 실현될 경우 거제시의 교통환경은 크게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거가대로를 경유하여 부산광역시의 부산신항과도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어서 화물철도로서 기능도 상당히 중요한 노선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남부내륙선은 일제강점기에 착공에 들어갔지만 태평양전쟁 등으로 중단된 대삼선과 1965년 철도 건설 7개년 계획으로 추진된 김삼선을 기원으로 한다. 김삼선 역시 건설하다가 좌초되었다.
1999년 국가기간교통망계획 후반기계획에 김천~진주 철도가 실리면서 부활하였으나, 2017년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B/C=0.72, AHP=0.429로 사업성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당시 도지사 없는 경남도 입장에서 정치적으로 밀어붙일 재간이 없었기에 사업 추진은 민자사업 초기심사로 넘어갔다.[1] 하지만 2019년 국가균형발전사업에 남부내륙선이 선정되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되었고, 2022년 기본계획이 발표되어 차차 진행중이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1999년 12월: 건설교통부의 국가기간교통망계획 후반기 계획으로 김천~진주 단선전철이 포함
- 2006년 3월: 건설교통부의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추가 검토대상 사업으로 대전~거제, 김천~진주 단선철도가 포함
- 2011년 1월: 국토해양부의 국가기간교통망계획 2차 수정계획에 남북내륙선(김천~거제) 복선전철이 포함
- 2011년 4월 3일: 국토해양부의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후반기 착수 사업에 포함
- 2016년 6월: 국토교통부의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
- 2017년 5월 2일: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B/C=0.72, AHP=0.429로 사업성이 없다고 결론
- 2019년 1월 29일: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로 선정되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 2022년 1월 13일: 기본계획 고시[2]
- 2027년: 개통 예정
경유지 분쟁[편집 | 원본 편집]
창원시에서 선형이 좀 더 양호하면서 창원·거제·진주가 모두 혜택을 볼 수 있는 군북역 근처를 경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 마산(창원)발 KTX는 밀양 경유로 소요시간이 3시간 가량 걸리는 데, 군북역 정차시 마산발 KTX의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경남도와 진주시는 이에 대해 부정적이며, 원안을 고수하는 입장.[4] 김경수 경남도지사 또한 원안 고수를 분명히 했다.[5]
남부내륙선의 원래 목적인 경남서부지역 개발에도 어긋나고, 열차 운행계통이 창원, 진주, 거제로 쪼개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차량[편집 | 원본 편집]
여객 대응은 KTX-이음 준고속 열차 투입이 유력하다. 비록 단선으로 개통할 예정이긴 하지만 고속운행에 최적화된 선형으로 건설되기 때문이다.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르면 신설되는 노선들은 대부분 150~200 km/h 수준의 준고속 운행을 상정하는 이유도 생각할 수 있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소재지 | |
---|---|---|---|---|
0.0 | 김천 | 경부선, 경북선 (연결) | 김천시 | |
성주 | 성주군 | |||
합천 | 합천군 | |||
진주 | 경전선 (연결) | 진주시 | ||
고성 | 고성군 | |||
통영 | 통영시 | |||
177.9 | 거제 | 거제시 |
각주
- ↑ 남부내륙철도, 민간.정부 공동투자 추진, 한국일보, 2017.05.11.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22-18호
- ↑ 창원상의·시의회 “남부내륙고속철도 ‘함안 군북’ 경유해야”, 경향신문, 2020.05.27.
- ↑ 창원시 “함안 경유” vs 진주시 “변경 불가”…서부경남 KTX 노선 놓고 지자체간 갈등, 문화일보, 2020.01.30.
- ↑ 2020.6.24
대한민국 철도 노선
| |||||
---|---|---|---|---|---|
사업용철도 | |||||
고속 | 경부고속(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지선) | ||
준고속 | 경강(지선) (원주~강릉) |
서해(지선) (홍성~송산) |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
중부내륙 | 춘천속초 |
일반 | 경인(지선) | 경부(지선) | 경의(지선) | 호남(지선) | 경원 |
충북 | 경전(지선)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
동해(지선) | 중앙(지선) (안동~경주) |
영동(지선)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
안산(지선) | 과천 | 분당(지선) | 일산 | 신분당 | |
서해(지선) (대곡~원시) |
인천공항(지선) |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
진접선 | GTX A | |
동탄인덕원 | 신안산 | 남부내륙 | GTX B | GTX C | |
도시철도 | |||||
서울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위례신사 | ||
인천 | 1호선 | 2호선 | |||
부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사상하단 |
오륙도 | |||||
대구 | 1호선 | 2호선 | 3호선 | 엑스코 | |
광주 | 1호선 | 2호선 | |||
대전 | 1호선 | 2호선 | |||
경기도 | 하남 | 별내 | 도봉산옥정 | ||
기타 | 부산김해 | 의정부 | 용인 | 인천공항 자기부상 | 김포 |
양산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