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국토해양부에서 「철도건설법」 제4조에 따라 2011년 4월 4일에 고시한 두 번째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다. 전체적인 기조는 1차 계획에서 이어지지만, 고령화와 도시로의 인구 집중을 좀 더 고려하였다.

제1차 계획의 추진현황 및 평가[편집 | 원본 편집]

총액을 기준으로 계획 대비 111% 투자가 이루어졌으며, 이 중 국고는 107%를 차지한다. 이는 2009년 글로벌 경제위기의 극복을 위해 SOC투자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고속철도[편집 | 원본 편집]

  • 경부고속철도 2단계 사업(대구~부산)이 차질 없이 개통하였으며, 호남고속철도 사업도 계획대로 추진 중이다.
  • 수도권 고속철도 사업은 기본계획 수립 이후, 설계착수 등 본격 추진 중이다.

일반철도[편집 | 원본 편집]

  • 전반기('06 ~ '10) 완공 총 13개 사업 중 4개 사업[1]이 계획대로 완공되었으며, 9개 사업은 지연 추진 중이다.
  • 후반기('11 ~ '15) 완공 총 4개 사업 중 1개 사업[2]이 계획대로 완공 예정이며, 3개 사업은 완공 지연 예정이다.
  • 9개 계속사업(ʹ16년 이후)은 계획대로 추진 중이다.
  • 전반기('06 ~ '10) 착수 총 10개 사업 중 7개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었으나, 3개 사업[3]은 미착수했다.
  • 후반기('11 ~ '15) 착수 총 8개 사업 중 ʹ10년까지 1개 사업[4]을 제외하고 모두 미착수 상태이다.

광역철도[편집 | 원본 편집]

  • 전반기('06 ~ '10) 완공 총 6개 사업 중 2개 사업[5]이 계획대로 완공되었으며, 4개 사업은 지연 추진 중이다.
  • 후반기('11 ~ '15) 완공 총 3개 사업 중 1개 사업[6]은 계획대로 추진 중이나 2개 사업은 지연 추진되고 있다.
  • 3개 계속사업(ʹ16년 이후)은 계획대로 추진 중이다.
  • 전반기('06 ~ '10) 착수 사업인 대곡~소사 복선전철 사업은 일반철도 사업으로 전환되고, 민간투자(BTL) 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문제점[편집 | 원본 편집]

철도투자 부족에 따른 철도네트워크 부족
  • 지난 5년간 교통 SOC 투자 중 철도투자는 24%에 불과하며, 지난 20년간 지역간 철도연장도 287km 증가에 불과한 실정이다.
철도의 속도경쟁력 부족
  • 고속철도를 제외하고는 투자부족에 따른 시설낙후로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철도의 속도경쟁력 취약하고, 일반철도의 평균속도가 고속도로의 평균속도보다 느리다.
  • 열차운행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급경사·급곡선 구간이 많다.
철도물류 경쟁력 부족
  • 철도운송이 화물차 운송에 비해 수송시간, 수송비용 측면에서 불리하고, 화물열차가 야간시간대에 편중되어 있다.
  • 주요 교통거점 시설인 공항·항만·산업단지 등에 철도가 연결되지 않아 연계수송이 곤란하다.
철도 수송분담률 정체
  • 철도 여객 수송분담률은 2001년 13.6%에서 2007년 15.6%로 증가하는 데에 그쳤으며, 화물 수송 분담률은 정체되었다.
철도시설 수준의 일관성 미확보
  • 동일 노선에서 시설 수준이 상이하여 선로 용량 및 차량운영에 차이가 발생하는 등 효율성이 저하된다.
  • 도시계획 저해, 민원 등으로 신설 철도역이 도심 외곽 지역에 설치되어, 접근성이 떨어져 철도이용 불편을 초래한다.

목표와 추진과제[편집 | 원본 편집]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국 주요거점을 일상 통근시간대인 1시간 30분대로 연결하여, 하나의 도시권으로 통합'하는 목표를 세웠으며, 목표를 이루기 위해 4개의 추진과제를 선정했다.

전국 주요거점을 고속 KTX망으로 연결[편집 | 원본 편집]

국토 최단 연결 X자형과 해안권 연결 □자형을 결합한 국가철도망을 구축한다.

  • 경부·호남·수도권 고속철도를 중심으로 X자형의 국가 철도망의 대골격을 구성하고, 고속철도망 보완을 위해 충북선, 중앙선, 원주~강릉선, 남부내륙선을 통해 기능 분담한다.
  • 서해선, 동해선, 경춘선, 춘천~속초선, 경전선을 통해 □자형으로 연결한다.
  • 경부·호남 등 추진 중인 고속철도 사업을 적기에 완공시킨다.
  • 일반철도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존 건설선 고속화를 추진하고, 고속철도와 연계운행을 통해 KTX 서비스지역을 확대한다.
    • 일반철도를 신호, 전차선 등 일부 시설 개량을 통해 선형조건에 따라 230km/h[7] 또는 250km/h[8] 내외로 고속화한다.
    • 전라선, 경전선, 동해남부선 등을 경부·호남 고속철도와 연계하여 KTX 서비스 지역을 확대한다.
  • 고속철도 요금부담을 줄이고 수요창출을 위해 고속철도 서비스 및 요금구조 다양화 등 차별화된 고속서비스를 제공한다.
    • 경춘선에 2층 좌석형열차를 도입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 높은 수송효율로 가격인하가 가능한 2층 KTX 도입을 추진한다.

대도시권 30분대광역·급행철도망 구축[편집 | 원본 편집]

광역철도 운영체계를 급행 위주로 재편하고, 시설 확충 등을 통해 도심 접근 30분대 광역철도망을 구축한다.
  • 광역철도의 운영체계를 급행위주로 재편한다.
    • 거점역 정차, Skip&Stop 등 운행방식 다양화를 통해 기존 운영노선의 고속화를 추진한다.
    • 이용편의 제고를 위해 운행간격이 긴 노선은 수요맞춤형 열차(8량→4~6량)를 운행하여 급행열차 운행을 확대한다.
    • 중장기적으로 고속화 차량(110→150~180㎞/h) 도입하고, 대피선 설치 등 시설 개선을 통해 대부분의 광역철도를 급행화한다.
  • 대도시 교통난 해소를 위한 광역철도망을 지속적으로 확충한다.
    • 경춘선, 경의선, 분당선 등 진행 중인 광역철도 사업을 적기에 완공시킨다.
    • 월곶~판교, 인덕원~수원 등 5+2 광역경제권 특성화 발전 지원을 위한 광역교통기능 철도망을 확충한다.
    • 도심 접근 30분대 광역철도망 구축을 목표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추진을 본격화한다.

녹색 철도물류체계 구축[편집 | 원본 편집]

산업·물류거점간 대량·고속 철도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한다.
  • 경부 및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기존 경부선·호남선을 주요 화물 발생 거점과 연계한 화물 중심 노선으로 전환한다.
    경부선은 충청권, 대경권, 동남권과 연계, 호남선은 충청권, 호남권과 연계 운영한다.
  • 화물수송비율이 높은 주요 선로·구간의 선로용량 증대를 통해 철도의 수송능력을 확충한다.
    • 강원·충청지역의 양회수송 능력 증대: 태백선 제천~쌍용, 중앙선 제천~도담 복선전철화 등 추진
    • 광양항·평택항 물동량의 원활한 수송: 경전선 동순천~광양, 포승~평택 노선 등 건설 추진
  • 핵심 물류거점인 항만·산업단지·내륙화물기지를 간선 철도망과 연결하는 인입철도를 지속적으로 확충한다.
  • KTX 화물전용칸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 소량화물을 운송한다. (도시내 당일배송을 전국 당일배송으로 전환)
  • 대량수송체계 도입을 통해 철송의 경쟁력을 제고한다.
    • 수송효율이 높은 2단적재열차를 경전선에 도입하고, 이후 성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 유효장 확장 등 시설 개선을 통해 장대열차를 도입한다.

편리한 철도이용환경 조성[편집 | 원본 편집]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역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이용 편의시설 지속적으로 확충한다.
  • KTX역, 전철역, 터미널 등에 상업·문화·업무 등이 결합된 복합환승센터 본격적으로 개발한다.
  • 철도·대중교통 연계를 위해 택시베이, 버스베이 등 교통광장을 설치한다.
  • 고속철도역 접근 편의를 위해 광역직행버스, 리무진 버스, 셔틀버스를 도입 및 확대한다.
  • 엘리베이터 등 편의시설를 확충하고, barrier free 역사 지정 등 교통약자의 이용편의를 제고한다.
  • 역사내 자전거 보관시설, 경사로 설치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사업 계획[편집 | 원본 편집]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도

고속철도[편집 | 원본 편집]

사업명 사업구간 총사업비(억원) 연장(km) 사업기간 현황
경부고속철도 2단계 대전·대구 도심구간 79,454 40.9 ∼2014 개통('15)
호남고속철도 오송~광주 121,016 230.9 ∼2014 개통('15)
광주~목포 ∼2017 공사중
수도권 고속철도 수서~평택 37,231 61 ∼2014 개통('16)

일반철도[편집 | 원본 편집]

기 시행중인 사업[편집 | 원본 편집]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현황
경춘선 금곡~춘천 복선전철화 64.2 20,731 개통('10)
중앙선 덕소~원주[9] 복선전철화 90.4 21,611 개통('12)
중앙선 원주~제천 복선전철화 37.7 14,774 개통('21)
중앙선 제천~도담 복선전철화 17.4 3,200 개통('11)
중앙선 도담~영천 복선전철화 150 43,842 일부 개통(도담~안동)
중앙선 영천~신경주 복선전철화 22.5 5,017 개통('21)
영동선 동백산~도계 철도이설 17.8 5,442 개통('12)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인천공항 복선전철 61.7 42,184 개통('10)
경전선 부전~마산 복선전철 32.6 15,091 건설중
경전선 동순천~광양 복선전철화 10.9 3,965 개통('11)
경전선 삼랑진~진주 복선전철화 95.5 22,588 개통('12)[10]
경전선 진주~광양 복선화 51.5 10,060 개통('16)
경전선 보성~임성리 단선철도 79.5 12,979 건설중
전라선 순천~여수 복선전철화 32.4 7,334 개통('15)
전라선 익산~순천 복선전철화 154.2 12,335 개통('15)
태백선 제천~쌍용 복선전철화 13.9 3,773 개통('13)[11]
동해남부선 울산~포항 복선전철화 76.6 23,289 개통('21)
동해선 포항~삼척 단선전철 165.8 29,521 일부 개통(포항~영덕)
대곡-소사선 대곡~소사 복선전철 19.5 14,468 개통('23)
소사-원시선 소사~원시 복선전철 23.1 17,636 개통('18)
경원선 신탄리~철원[12] 철도복원 5.6 443 개통('12)
부산신항 배후철도 한림정~부산신항 복선전철 38.8 9,361 개통('10)
수도권북부내륙
화물기지인입철도
문산역 구내 단선철도 3.2 386 개통('18)
성남-여주선 판교~여주 복선전철 57 18,443 개통('16)
여주-문경선 여주~문경 단선전철 95.8 17,206 일부 개통(부발~충주)[13]
대구선 동대구~영천 복선전철화 34.9 9,880 개통('21)
장항선 익산~대야 복선전철화 11 5,143 개통('20)
포승-평택선 포승~평택 단선철도 30.3 5,773 일부 개통(창내~평택)
장항선 신성~주포 복선전제 단선개량 33.1 7,870 건설중
남포~간치 개통('21)
경원선 동두천~연천 단선전철 20.3 3,498 개통('23)
서해선 송산~홍성 복선전철 98.3 40,946 건설중
원주-강릉선 원주~강릉 복선전철 111.2 37,327 개통('17)
광양항 인입철도 광양~초남 복선전철화 5.6 736 기본계획 완료
울산신항 인입철도 망양~울산신항 단선철도 9.4 1,955 개통('20)
포항영일신항 인입철도 포항~포항신항 단선철도 11.2 2,050 개통('19)
군장산단 인입철도 대야~군장산단 단선철도 27.9 5,430 개통('20)
인천공항철도 활성화 - 신경의선 연결 2.9 3,800 개통('14)
철도종합시험선로 오송~조치원 - 14.5 2,426 개통('19)
이단적재열차 경전선 개량 - 866 개통(추정)

신규사업[편집 | 원본 편집]

전반기('11 ~ '15) 착수 사업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수서-용문선 수서~용문 복선전철 44.1 14,971
장항선 신창~대야 복선전철화 122.1 5,692
월곶-판교선 월곶~판교 복선전철 35.8 26,501
여주-원주선 여주~원주 복선전철 21.9 6,329
인덕원-수원선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35.3 24,733
경전선 진주~광양 전철화 51.5 1,674
천안-청주공항선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 -
춘천-속초선 춘천~속초 복선전철 91.8 30,379
동해항 인입철도 동해~동해항 단선철도 1.3 262
여수율촌산단 인입철도 덕양~여수율촌산단 단선철도 7.1 1,379
후반기('16 ~ '20) 착수 사업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남부내륙선 김천~진주 복선전철 186.3 67,907
진주~거제 단선전철
충청권 철도 논산~청주공항 2복선전철화 106.9 11,708
충북선 조치원~봉양 고속화 115 1,474
교외선 능곡~의정부 단선전철 35.9 8,886
경전선 광주송정~순천 단선전철 113 29,515
이단적재열차 경부선 개량 - 11,873
마산신항 인입철도 마산~마산신항 단선철도 14.2 3,106
구미산단 인입철도 사곡~구미산단 단선철도 11 4,061
아산산단 인입철도 합덕~아산산단 단선철도 32.6 7,058

광역철도[편집 | 원본 편집]

기 시행중인 사업[편집 | 원본 편집]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현황
경의선 용산~문산 복선전철화 48.6 21,533 개통('09)
분당선 왕십리~선릉 복선전철 6.8 7,447 개통('12)
분당선 오리~수원 복선전철 19.5 13,967 개통('13)
경춘선 망우~금곡 복선전철 17.9 5,964 개통('10)
신분당선 용산~강남 복선전철 7.5 14,031 일부 개통(신사~강남)
신분당선 강남~정자 복선전철 18.5 15,808 개통('11)
신분당선 정자~광교 복선전철 12.8 15,343 개통('16)
신분당선 광교~호매실 복선전철 11.1 7,490 설계중
수인선 수원~인천 복선전철 52.8 13,513 개통('20)
동해남부선 부산~울산 복선전철화 65.7 22,689 개통('21)
신안산선 안산~여의도 복선전철 41.2 33,179 건설중
신안산선 여의도~서울역 복선전철 5.7 7,802 미정
별내선 암사~남양주 복선전철 11.4 7,988 건설중
진접선 당고개~진접 복선전철 14.5 10,990 개통('22)
대구권 광역철도 구미~경산 - - 77 건설중

신규사업[편집 | 원본 편집]

전반기 착수사업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일산~수서(동탄) 복선전철 46.2 46,031
송도~청량리 복선전철 48.7 46,337
의정부~금정 복선전철 45.8 38,270

추가 검토대상 사업[편집 | 원본 편집]

노선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사업비(억원)
경부고속선 평택~오송 2복선전철화 47.5 30,604
용문-춘천선 용문~춘천 복선전철 49 16,633
동해선 강릉~제진 단선전철 110.2 27,675
문경선 문경~점촌 단선전철 17.4 1,393
평택-부발선 평택~부발 복선전철 58.7 19,321
새만금-대야선 새만금~대야 복선전철 45.4 11,183
동해선 동해~강릉 복선전철화 49.2 15,493
동해선 포항~동해 복선전철화 173.8 33,051
신분당선 호매실~향남 복선전철 17.3 12,704
의정부-철원선 의정부~철원(포천) 복선전철 54.2 26,571
경원선 용산~청량리 2복선전철 12.7 8,486
김천-전주선 김천~전주 복선전철 108.1 27,541
서해산업선 인주~안흥 단선전철 78.3 20,567
대구-광주선 대구~광주 단선전철 191.6 48,987
수도권고속선 수색~서울~시흥 복선전철 31.3 18,211
제2공항철도 인천공항~인천 복선전철 14.1 20,805
대산항 인입철도 당진~대산항 단선철도 18.5 7,572
인천남외항 인입철도 시흥차량기지 내 단선철도 1.5 536
녹산산단 인입철도 녹산역[14] 구내 단선철도 1.5 560
반월산단 인입철도 안산역 구내 단선철도 1.5 635

각주

  1. 경부선 조치원~대구 전철화, 장항선 천안~온양온천 복선전철화, 장항선 온양온천~군산 복선전제 단선개량, 인천공항 활주로구간 복선전철
  2. 경전선 삼랑진~진주 복선전철화
  3. 장항선 온양온천~군산 복선전철화, 동해선 강릉~제진 단선철도, 경춘선 청량리~망우 2복선전철화
  4. 경전선 동순천~광양 전철화
  5. 중앙선 청량리~덕소 복선전철화, 경원선 의정부~동안 복선전철화
  6. 분당선 오리~수원 복선전철
  7. 경춘선 금곡~춘천, 중앙선 덕소~원주~제천~도담, 장항선 신창~대야, 장항선 익산~대야, 동해선 포항~삼척, 경전선, 충북선 등
  8. 원주~강릉, 서해선 홍성~송산, 중앙선 도담~영천~신경주, 수서~용문 등
  9. 서원주
  10. 삼랑진~낙동강은 단선전철
  11. 제천~입석리로 단축
  12. 백마고지
  13. 부발~문경으로 노선 변경
  14. 현재 부산신항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