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시철도 |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
---|---|
나라 |
![]() |
종류 | 도시철도(대구), 운행계통 |
구간 | 설화명곡 ~ 안심 |
영업거리 | 28.4 km |
역 수 | 32개 |
소유자 | 대구광역시 |
운영자 | 대구교통공사 |
개통일 | 1997년 11월 26일 |
차량기지 | 월배, 안심차량기지사업소 |
시설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2 |
전기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
신호 | ATC/ATO |
대구광역시 달성군 설화명곡역과 동구 안심역 사이를 잇는 대구 도시철도 노선.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89년 9월 1일 : 대구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
- 1991년 1월 : 대구 지하철 기본계획 확정
- 1991년 12월 7일 : 진천 - 안심 구간 착공
- 1997년 11월 26일 : 1단계 진천 - 중앙로 구간 14개 역 개통
- 1998년 5월 2일 : 2단계 중앙로 - 안심 구간 15개 역 개통, 전 구간 개통
- 2002년 5월 10일 : 3단계 대곡 - 진천 연장 구간 개통
- 2003년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 화재 사고, 이 여파로 신천 - 명덕 구간이 운행 중단
- 2003년 10월 21일 : 중앙로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형태로 전 구간 운행 재개
- 2003년 12월 31일 : 중앙로역 영업 재개, 1호선 완전 복구
- 2005년 10월 18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으로 반월당역 환승 개시
- 2008년 1월 1일 : 칠성역을 칠성시장역으로 역명 변경
- 2010년 7월 22일 : 화원읍 연장 구간 착공 (설화리, 천내리)
- 2015년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명덕역 환승 개시
- 2016년 9월 8일 : 4단계 화원읍 연장 구간 (화원역, 설화명곡역) 개통
- 2019년 5월 17일 : 안심 - 하양 구간 착공식 (실 공사 시작은 2019년 12월)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시종착역인 안심역을 제외한 역이 모두 상대식 승강장으로, 역에 따라서 역무원의 협조 없이 반대방향으로 넘어가는 것이 불가능한 역도 몇 개 있다. 반월당역의 경우 환승통로가 열리면서 통로를 따라 반대방향으로 건널 수 있게 되었다.
중앙로역에서 대구 지하철 참사가 일어난 적이 있으며, 사고 후 1년 가까이 제기능을 못했다. 중앙로역이 전소됨에 따라 중앙로역의 회차선을 쓸 수가 없게되어 동대구역 ~ 명덕역이 운행 중단되었고, 양 날개인 안심역 ~ 동대구역, 대곡역 ~ 교대역 간 운행만 하였다. 여기서 동대구역은 회차선이 없었으나 회차선이 있는 큰고개역에서 미리 반대방향으로 건너와 동대구역 ~ 큰고개역 간을 단선으로 간신히 운행했다.
연장 계획[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9월, 서쪽의 화원읍 설화리까지 연장되었고, 동쪽으로는 2021년 말까지 하양역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진행 중이며, 구 대구선이 있던 부지를 활용할 계획이다. 2015년 8월 24일, 광역철도 사업으로 지정되었고,[1] 2016년 1월 7일, 안심~하양 복선전철 기본계획 승인 고시가 나왔다.[2]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번호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소재지 | |
---|---|---|---|---|---|
115 | 0.0 | 설화명곡 | 달성군 | ||
116 | 1.2 | 화원 | |||
117 | 2.5 | 대곡(정부대구청사) | 달서구 | ||
118 | 3.5 | 진천 | |||
119 | 4.3 | 월배 | |||
120 | 5.0 | 상인 | |||
121 | 5.9 | 월촌 | |||
122 | 6.9 | 송현 | |||
123 | 7.7 | 서부정류장(관문시장) | 남구 | ||
124 | 8.5 | 대명 | |||
125 | 9.3 | 안지랑 | |||
126 | 10.0 | 현충로 | |||
127 | 10.7 | 영대병원 | |||
128 | 11.6 | 교대 | |||
129 | 12.3 | 명덕 (2·28민주운동기념회관) |
● 3호선 | 중구 | |
130 | 13.1 | 반월당 | ● 2호선 (연결) | ||
131 | 13.8 | 중앙로 | |||
132 | 14.5 | 대구역 | 경부선: 코레일 일반열차, ● 대구권 광역철도 (예정) | 북구 | |
133 | 15.3 | 칠성시장 | |||
134 | 16.5 | 신천(경북대입구) | 동구 | ||
135 | 17.4 | 동대구역 | 경부선: ■ KTX, ■ SRT, 코레일 일반열차, ● 대구권 광역철도 (예정) | ||
136 | 18.3 | 동구청(큰고개) | |||
137 | 19.1 | 아양교 (대구국제공항입구) |
|||
138 | 20.1 | 동촌(동촌유원지) | |||
139 | 21.1 | 해안 | |||
140 | 22.1 | 방촌 | |||
141 | 23.2 | 용계 | |||
142 | 24.4 | 율하 | |||
143 | 25.5 | 신기 | |||
144 | 26.5 | 반야월 | |||
145 | 27.5 | 각산 | |||
146 | 28.4 | 안심 (혁신도시·첨복단지) |
|||
147 | 사복 | ||||
148 | 대학 | 경상북도 경산시 | |||
149 | 하양 | 대구선: 코레일 일반열차 |
각주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
---|---|---|---|---|---|---|---|---|---|---|---|---|---|---|---|---|---|---|---|---|---|---|---|---|---|---|---|---|---|---|---|---|---|---|---|---|---|---|---|---|---|---|---|---|---|---|---|---|---|---|---|---|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 참조 |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및 광역전철 노선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