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당선 | |
---|---|
종류 | 일반철도(간선), 광역철도, 운행계통 |
번호 | 320 |
구간 | 신사 ~ 광교 |
영업거리 | 33.5 km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
운영자 |
새서울철도 (용산~강남 BTO사업자) 신분당선 (강남~정자 BTO사업자) 경기철도 (정자~광교 BTO사업자) 네오트랜스 (위탁 운영사) |
개통일 | 2011년 10월 28일 |
시설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2 |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
신호 | IL-CBTC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경기도 수원시까지 운행 중인 수도권 전철 노선.
3기 지하철 계획의 11호선을 부분적으로 계승한 노선이다. 특히 강남리 마을 전철로 표정속도가 엉망인(...) 분당선의 급행 역할도 한다. 노선색은 심홍색을 사용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2010년 7월 29일: 2단계 구간 착공
- 2011년 10월 28일 : 개통식
- 2011년 10월 29일 : 강남역 - 정자역 구간 개통 (차량기지는 분당차량사업소에 위탁)
- 2015년 3월: 2단계 구간 시운전
- 2016년 1월 30일 : 정자역 - 광교역 구간 개통 (미금역 미개통) 및 광교차량사업소 개업
- 2016년 8월: 신사~강남 구간 착공[1]
- 2018년 4월 28일 : 미금역 개통
- 2019년 4월 17일 : 노선번호가 306에서 320으로 변경됨.[2]
- 2022년 5월 28일 : 신사~강남 구간 개통
운영[편집 | 원본 편집]
환승음악은 자체제작 음악이다.
요금[편집 | 원본 편집]
신분당선의 기본요금(10 km)은 2,250원인데, 수도권 전철 기본요금 1,250원에 추가요금 1,000원으로 구성된다. 구간요금이 있어서 강남~정자와 정자~광교를 오가면 300원을 추가 부과한다. 현행 전 구간인 강남역~광교역간 교통카드 기준 요금은 3,050원.
- 신분당선↔수도권 전철 환승시
- 출발지가 신분당선인 경우 승차 게이트에서 기본요금 2,250원이 부과되고 환승 게이트에서 구간요금(2구간 이용시)이 부과된다.
- 타 노선에서 환승해서 신분당선에서 내리는 경우 승차역에서 통상운임(1,250원)으로 기본료를 냈기 때문에 하차역에서 거리비례 요금과 추가 운임(1,000원~1,300원)을 함께 정산한다.
본래 타 노선처럼 노약자와 장애인 등에게는 운임을 징수하지 않았으나, 2017년 7월 7일, 신분당선(주)는 국토교통부에 운임 적용을 요청했다.[3] 이에 대하여 장애인 단체 등은 성명서를 내고 강하게 반발했다.[4] 검토 결과 실제로 폐지되진 않았다.
운행[편집 | 원본 편집]
- 일반 [신사~광교]
차량[편집 | 원본 편집]
신분당선, 경기철도 그리고 새서울철도 소속 차량이 모두 운행한다. 네오트랜스에서 모두 관리하기 때문에 신분당선 차량은 D000호대 번호를 사용하며 한 편성의 길이는 6량이다. 열차는 광교차량사업소에서 관리한다. 광교차량사업소가 완성되기 전에는 분당차량사업소에서 관리했다.
무인운행 열차라서 맨 앞에 타면 확 트인 앞을 볼 수 있다. CBTC 적용차량이라 완전 무인운전을 할 수 있으나 안전상 자동운전 상태에서 안전요원이 선두 오른편에 탑승한다.
소속 | 차량 | 번호 | 설명 |
---|---|---|---|
신분당선 | |||
D000호대, 현대로템 2세대 | D01~D12 | 2010~2011 | |
경기철도 | |||
D000호대, 현대로템 2세대 | D13~D20 | 2014~2015 | |
새서울철도 | |||
D000호대, 현대로템 3세대 | D21~D23 | 2020 |
연장 구간 논란[편집 | 원본 편집]
강남 이북[편집 | 원본 편집]
- 계획의 시초, 11호선
- 신분당선은 IMF로 엎어진 3기 지하철 11호선의 후계 노선으로, 11호선은 녹사평 - 시청 - 독립문으로 계획되었다. 2001년 용산~정자 노선으로 부활하였고,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운행을 도모하였다. 하지만 용산역 근처에 욱천배수펌프장이 있어서 직결이 불가능했다.
-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좌초
- 그럼에도 용산국제업무지구가 있기에 사업 타당성은 괜찮았으나,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로 계획이 크게 흔들렸다. 2013년 3월 13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자금난으로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졌고[5], 결국 동년 4월로 예정되었던 강남 ~ 용산 구간 착공이 무기한 연기되었다. 그럼에도 국토해양부에서는 '신분당선 노선은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을 논의하기 전에 이미 확정된 것'이라면서 용산 구간의 노선 변경을 검토하지 않는다고 하였다.[6] 그리고 2013년 9월 5일, 용산국제업무지구가 지정해제되었다.[7]
- 2013년 9월 4일, 감사원은 신분당선 용산연장에 대한 전면 재검토 지시를 내렸다. 용산국제업무지구 무산 이후 교통수요 예측 재조사를 기획재정부에 요청하지 않았기 때문이다.[8] 국토부는 수요 적정성을 재검토 중이라고 밝혔다.[9] 2014년 12월 KDI의 연구 결과, 수요 감소율은 16%로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성 검토를 다시 해야 하는 허용기준인 30%보다 적어 용산 연장이 재추진되었다.[10]
- 광화문 연장안 등장
- 한편, 2008년 포스코에서 용산 대신 광화문 연장을 서울특별시에 제안했다. 이는 많은 버스들이 오가는 강남과 도심을 빠르게 연결하기 때문에, 철도 동호회 내에서 단숨에 큰 지지를 얻었다. 하지만 2010년 1월 수립된 '2010년 민간투자 정책방향' 및 2013년 1월 1일 2013년 예산안 등 용산 연장은 계속 추진되었다.
- 2013년 7월 24일, 서울시는 동빙고에서 분기하여 삼송까지 연장하는 노선을 담은 '서울시 도시철도 종합발전방안'을 발표했다. 사업비 절감을 위해 GTX A 노선과 공용하자는 제안도 있었다.[11]
- 더 나아가 2014년 고양시에서는 신분당선을 삼송에서 식사동을 거쳐 KINTEX까지 연장하는 것을 정부에 건의하였고,[12]
신일산선??경기도의회에서 추진 촉구안이 통과되었다.[13]
정자 이남[편집 | 원본 편집]
- 광교역 역명 논란
- 역명에 차량기지 부지를 제공한 경기대를 넣어야 한다는 경기대 주장과 광교를 넣어야 한다는 광교신도시 주민 주장이 크게 맞붙었다.
- 광교 이남
- 3단계 구간은 광교중앙 ~ 호매실, 4단계 구간은 호매실 - 향남으로 계획되어 있다. 그런데 KDI가 3단계 구간의 예비타당성을 조사한 결과, BC(경제성분석) 이 0.57, AHP가 0.345로 나타나 탈락했다. 문제는 호매실지구 입주민들이 신분당선 교통 분담금을 냈다는 점이다! 청라국제도시 사건 2탄이 될 지경[14]
- 타당성이 낮게 나온 이유는 신분당선의 요금을 독립적인 요금제로 적용해 분석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토교통부가 수도권 통합 요금제로 재산정해서 타당성 조사를 다시 요청했고, 2020년 1월 15일 예비타당성을 통과하여 2023년쯤에 착공할 예정이다.[15]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SB06~SB09 구간의 정거장은 아직 개통하지 않았고, 이름도 정해지지 않았다. 또한 광교에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광교중앙에서 이어진다.
번호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소재지 | |
---|---|---|---|---|---|
D04 | 0.0 | 신사 | ● 3호선 | 강남구 | |
D05 | 0.7 | 논현 | ● 7호선 | ||
D06 | 1.5 | 신논현 | ● 9호선 | ||
D07 | 2.4 | 강남 | ● 2호선 | ||
D08 | 3.9 | 양재(서초구청) | ● 3호선 | 서초구 | |
D09 | 5.5 | 양재시민의숲(매헌) | |||
D10 | 8.4 | 청계산입구 | |||
D11 | 16.6 | 판교 (판교테크노밸리) |
● 경강선: ■ KTX | 성남시 | |
D12 | 19.7 | 정자 | 분당선 (연결): ● 수인·분당선 | ||
D13 | 21.6 | 미금 | 분당선: ● 수인·분당선 | ||
D14 | 23.2 | 동천 | 용인시 | ||
D15 | 25.3 | 수지구청 | |||
D16 | 27.0 | 성복 | |||
D17 | 29.1 | 상현 | |||
D18 | 31.5 | 광교중앙(아주대) | ● 신분당선 호매실(SB09) 방면 (예정) | 수원시 | |
D19 | 33.4 | 광교(경기대) | |||
33.5 | (종점) | ||||
SB06 | |||||
SB07 | |||||
화서 | 경부선: ● 1호선 | ||||
- | |||||
SB09 |
계획[편집 | 원본 편집]
- 용산 연장
- 용산 - 국립박물관 - 동빙고 - 신사로 계획되었으며, 착공시점은 미정이다. 2032년 개통 예정이다.
- 호매실 연장
- 광교중앙 - 수원월드컵경기장 - 동수원 - 화서 - 호매실로 계획되었으며, 2023년 착공 예정이다. 원래 계획은 단선이었지만, 복선으로 변경되었다.[16]
- 서북부연장 (동빙고~삼송)
- 동빙고에서 분기하여 삼송까지 연결하는 노선으로,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에 광역철도로 포함되었다. 하지만 사전 타당성 결과가 좋지 않아, 서울시는 용산에서 삼송으로 연장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 봉담 / 향남 연장
- 호매실에서 수인선 오목천역과 화성시 향남까지 연장하는 계획이다. 그런데 봉담 연장이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B/C=0.26으로 나타나 경제성이 없어 미래가 불투명하다.
각주
- ↑ 신분당선 '신사~강남 구간' 착공…2022년 개통, 뉴시스
- ↑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
- ↑ 신분당선, 무임승차 대상에 장애인 제외 추진, 에이블뉴스, 2017.07.12.
- ↑ 신분당선 장애인 무임승차 제외추진에 ‘반발’, 에이블뉴스, 2017.07.13.
- ↑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 결국 디폴트, 조선비즈
- ↑ 신분당선, 강남∼신사 먼저 착공…용산은 연기, 연합뉴스
- ↑ 용산국제업무지구 지정해제…6년 만에 종지부(종합), 연합뉴스
- ↑ 감사원 "신분당선 '용산~강남' 경제성 없다", 뉴시스
- ↑ 신분당선 용산~강남 구간 수요 적정성 재검토 중, 정책브리핑
- ↑ 신분당선, 용산~강남구간 재추진, 국토경제신문
- ↑ 시의원 요구자료 제출(요구번호 1094번, 남재경의원, 도시계획관리위원회), 서울특별시
- ↑ 고양시 '신분당선 서북부노선' 킨텍스 연장 추진, 연합뉴스
- ↑ 신분당선 삼송-식사-중산-킨텍스 구간 연장 건의안 경기도의회 통과, 아시아투데이
- ↑ 지하철 7호선이 청라지구로 연장될 예정이었고, 해당 입주민들이 이 분담금을 냈는데, LH가 제멋대로 7호선 연장을 취소하고 그 돈을 먹튀했었던 사건이다.
- ↑ 수원 호매실서 강남까지 47분…신분당선 연장선 추진, 연합뉴스TV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388호
수도권 전철 노선
| |||||
---|---|---|---|---|---|
서울 도시철도 및 연장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
인천 도시철도 | |||||
인천1 | 인천2 | ||||
일반철도 광역전철 |
|||||
경의중앙 | 경춘 | 수인분당 | 경강 | 서해 | |
공항철도 | 신분당 | GTX A | 신안산 | 동탄인덕원 | |
GTX B | GTX C | ||||
기타 | |||||
의정부 | 용인 | 김포 | 경기도 도시철도 |
대한민국 철도 노선
| |||||
---|---|---|---|---|---|
사업용철도 | |||||
고속 | 경부고속(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지선) | ||
준고속 | 경강(지선) (원주~강릉) |
서해(지선) (홍성~송산) |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
중부내륙 | 춘천속초 |
일반 | 경인(지선) | 경부(지선) | 경의(지선) | 호남(지선) | 경원 |
충북 | 경전(지선)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
동해(지선) | 중앙(지선) (안동~경주) |
영동(지선)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
안산(지선) | 과천 | 분당(지선) | 일산 | 신분당 | |
서해(지선) (대곡~원시) |
인천공항(지선) |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
진접선 | GTX A | |
동탄인덕원 | 신안산 | 남부내륙 | GTX B | GTX C | |
도시철도 | |||||
서울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위례신사 | ||
인천 | 1호선 | 2호선 | |||
부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사상하단 |
오륙도 | |||||
대구 | 1호선 | 2호선 | 3호선 | 엑스코 | |
광주 | 1호선 | 2호선 | |||
대전 | 1호선 | 2호선 | |||
경기도 | 하남 | 별내 | 도봉산옥정 | ||
기타 | 부산김해 | 의정부 | 용인 | 인천공항 자기부상 | 김포 |
양산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