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시철도

(3기 지하철 계획에서 넘어옴)
서울 도시철도
대중교통망 정보
나라 대한민국
지역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광명시, 부천시, 성남시)
종류 도시철도
소유자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부천시
운영자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남서울경전철, 로템SRS
노선 11개
정거장 336개
영업거리 350.5 km

서울 도시철도서울특별시 도시교통실에서 관리하는 도시철도망이다. 서울 지하철로도 불린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노선[편집 | 원본 편집]

색상 노선명 기점 종점 역 수 거리 운영자
1 1호선 서울역 청량리
(서울시립대입구)
10개 7.8 km 서울교통공사
2 2호선 시청 시청 44개 48.8 km
성수 신설동 5개 5.4 km
신도림 까치산 5개 6.0 km
3 3호선 지축 오금 34개 38.2 km
4 4호선 당고개 남태령 26개 31.7 km
5 5호선 방화 상일동, 마천 52개 52.3 km
6 6호선 응암 신내 39개 36.4 km
7 7호선 장암 온수(성공회대입구) 42개 46.9 km
8 8호선 암사 모란 17개 17.7 km
9 9호선 개화 중앙보훈병원 38개 40.8 km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교통공사
우이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 신설동 13개 11.0 km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신림 신림선 샛강 관악산(서울대) 11개 7.5 km 남서울경전철
로템SRS

건설 중[편집 | 원본 편집]

노선명 구간 거리 개통시기
동북선 왕십리 상계 13.34 km 2025년
위례선 마천 복정
남위례
5.4 km 2025년
9호선 중앙보훈병원 샘터공원 4.1 km 2028년

계획[편집 | 원본 편집]

제2차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망구축계획(안).jpg
노선명 구간 거리 특징
면목선 청량리 신내 9.05 km
서부선 새절 서울대입구 15.77 km 급행 운행, 남부연장 있음
우이신설연장선 솔밭공원 방학 3.5 km
목동선 신월동 당산 10.87 km
난곡선 보라매공원 난향동 4.1 km
위례신사선 위례내부 신사 14.8 km
강북횡단선 목동 청량리 25.72 km 급행 운행
서부선 남부연장 서울대입구 서울대 정문 1.72 km
신림선 북부연장 샛강 서부선 0.34 km 서부선 역과 환승 가능
4호선 급행화 당고개 남태령 기존선 급행화
5-5호선 직결화 둔촌동 굽은다리 해당 구간에 신선을 건설하여 직결 운행
9호선 4단계 추가연장 샘터공원 강일 1.5 km (조건부 노선)[1]
난곡선 금천연장 (후보 노선)
7호선 급행화 (후보 노선) 기존선 급행화
화곡~홍대입구선 화곡 홍대입구 11.79 km 후보 노선이었으나 광역철도 사업으로 전환
DMC선 사업성 부족으로 제외되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기 지하철[편집 | 원본 편집]

  • 1974년 1호선(종로선) 개통
  • 1984년 2호선 완전 개통
  • 1985년 3호선 완전 개통(지축~양재)
  • 1985년 4호선 완전 개통(당고개~사당)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인 종로선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서울 도시철도 역사를 시작하였다. 종로선은 경부선 및 경원선과 직결하여 광역철도 노선으로 개통하였고, 수도권 확장과 인구 증가에 따라 2024년 현재 경인선 계통은 인천광역시, 경부선 계통은 천안시, 장항선 계통은 아산시, 경원선 계통은 연천군까지 노선이 확장되었으며, 완행 열차들은 대부분 서울 도시철도 1호선 구간인 종로선을 경유한다.

2호선은 서울 도심과 부도심을 연결하는 순환선 형태로 건설되었으며, 타 노선들과 환승이 편리하여 수요가 매우 높은 노선이다. 3호선은 일산신도시 건설과 함께 국철 구간인 일산선과 직결되면서 광역철도로 변화했으며, 4호선 역시 남쪽으로는 과천선, 안산선과 직결되었고, 북쪽으로는 진접선과 직결되어 광역철도로 운영중이다.

1기 지하철은 2호선을 제외하면 모두 서울 시계 외부와 직결되는 광역철도라는 특징이 있으며, 전 노선이 10량 1편성 장대열차가 투입되어 운행중이다.

1985년 1기 지하철 개통이 마무리되어 가자 거리비례제였던 지하철 운임제도를 도심-외곽 2구역 구간제도로 바꾸어 운임제도를 간소화했다.[2] 이때 국철은 그대로 거리비례로 두었다. 이후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적용되면서 저렴한 요금으로 광역철도와 도시철도, 버스간 환승이 가능해졌다.

2기 지하철[편집 | 원본 편집]

  • 1996년 5호선 완전 개통
  • 1999년 8호선 완전 개통
  • 2000년 7호선 완전 개통
  • 2000년 6호선 완전 개통

1989년 서울시가 국토개발연구원에 의뢰한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기존 1기 지하철 일부 구간 연장 및 5~9호선을 신설하는 계획이 확정되었으며, 이 계획을 2기 지하철이라고 언급하여 명칭이 굳어졌다. 해당 용역 결과에서 2가지 안이 제안되었는데, 1안은 서울 시계 외곽으로 확장성을 고려한 노선 설정이었고, 2안은 철저히 도시철도 성격을 고려하여 서울 변두리에서 도심으로 이동이 편리하도록 노선을 설정한 것이었다. 서울시는 수익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 2안을 채택하여 본격적인 노선 설계에 착수하였다. 최종적으로 노선안을 확정한 결과 2호선 신정지선, 4호선 상계~당고개 연장 및 현 5~8호선 선형이 확정되었고, 국비 지원을 받아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이 노선들 중에서 기존 1기 지하철 연장 구간을 제외한 신설 노선인 5~8호선을 2기 지하철로 언급하고 있다.

2기 지하철은 크게 2단계로 시기를 나누어 착공하였으며, 1기 지하철 건설 당시보다 발전한 건설공법을 적극 적용하여 5호선은 한강을 2번 건너면서도 모두 하저터널로 시공되었다. 1기 지하철 건설 당시 흔히 적용되었던 상부 개착식이 아닌 NATM과 같은 신공법을 적극 적용하여 상부 도로 통행에 지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건설되었다. 또한 2기 지하철은 대심도로 건설되어 지상 구간도 최소화 되었다.[3]

또한 설계시 차후 신설될 노선들을 고려하여 미리 환승통로를 건설한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여의도역, 논현역의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2기 지하철끼리 만나는 환승역은 동선이 최소화 되도록 건설된 경우가 많고, 1기 지하철과도 환승을 고려하여 적절한 설계를 적용한 역들도 있지만 대심도로 건설된 특성상 억지로 지상구간과 연계 또는 복잡한 도심 지하 구간에 우겨넣은 역들도 많아 환승이 불편한 역들도 상당수 존재한다.[4]

1995년 2기 지하철이 속속 개통함에 따라, 기존 5구역에 강서·강동구역을 추가하여 도심구역(1구역)과 외곽 6개구역, 국철구간으로 나누어 권역내이동 또는 인접권역 이동시 1구간, 그 외 2구간 요금으로 책정했으며 국철구간은 거리비례제도를 그대로 적용했다.[5]

이후[편집 | 원본 편집]

3기 지하철이라는 계획이 있었으나, IMF 위기로 2기 지하철 공사도 간신히 진행하는 마당에 3기 지하철을 추진할 여력은 없어서 계획이 완전 무산되었다. 다만 2기 지하철 당시 3기 지하철 환승역 구축을 위해 일부 지하구조물을 먼저 시공한 게 있어서, 이걸 토대로 신규 노선이 3기 지하철의 선형을 일부 따라가는 형태로 남게 되었다. 이후 경제상황이 회복되면서 3기 지하철 계획에서 유일하게 9호선이 부활하여 건설되었으며, 9호선이 개통한 뒤로는 음영지역을 가리기 위한 경전철 위주의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망구축계획[편집 | 원본 편집]

도시철도법 제5조에 의해 도시철도를 건설ㆍ운영하려면 10년 단위의 도시철도망구축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2007년 6월 26일 '서울시 10개년 도시철도 계획안'이 발표되었고, 2008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이 고시되었다.[6]

2013년 7월 24일 2008년의 기본계획에서 수정한 '서울시 도시철도 종합발전방안'을 공개하였고,[7] 2015년 6월 30일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구축계획<변경>'이 고시되었다.[8]

2019년 2월 20일 '제2차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망구축계획(안)'이 공개되었고[9][10], 2020년 11월 17일 국토교통부의 심의를 통과하였다.[11]

각주

  1. 2021년 광역철도 지정 전제 하
  2. 본격 지하철시대始発시발 <10> 3.4號線 특징과 이용방법, 매일경제, 1985.10.18.
  3. 2기 지하철 5~8호선 노선들 중에서 영업구간에 지상으로 나오는 구간은 7호선 청담역~자양역을 경유하는 청담대교 하부, 도봉차량사업소 구내에 건설된 장암역 구간, 8호선 복정역~산성역 구간뿐이다. 5호선은 차량기지 인입선을 제외하면 전부 지하구간이며, 6호선 역시 차량기지 부지에 신설된 신내역을 제외하면 마찬가지로 전부 지하구간이다.
  4. 복잡한 도심 지하 구간에 건설된 종로3가역, 대심도와 지상구간을 억지로 이어붙인 노원역, 대림역, 신길역
  5. 2기 지하철 요금 2구간 이상 450원, 조선일보, 1994.05.04.
  6.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673호
  7. '서울 어디서나 도시철도 10분' - 철도 중심시대가 열립니다, 서울특별시 교통 새소식
  8.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423호
  9. 서울시, 제2차 서울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 발표, 서울특별시 보도자료
  10. ‘지역균형발전’ 강북횡단선 등 서울도시철도 10개 확충, 서울특별시 내 손안에 서울
  11. 국토교통부고시제2020-82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