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 |
---|---|
강남역 사거리 |
|
지역 정보 | |
구청장 | 조성명(국민의힘) |
행정구역 | 22 행정동, 14 법정동 |
인구 | 541,854 명 (2019년 기준) |
면적 | 39.5 km2 |
기타 정보 | |
상징 |
은행나무 (나무) 목련 (꽃) 까치 (새) |
웹사이트 | 강남구청 |
江南區 / Gangnam-gu
강남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남부에 있는 구이다. 동쪽으로 송파구와 접하고, 서쪽으로 서초구와 접하며, 남쪽으로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와 중원구, 북쪽으로 용산구[1], 성동구, 광진구와 접한다. 한강 이남에 위치하여 강남이란 이름이 붙었다. 1980년대 이전에는 영등포구의 동쪽이란 뜻으로 영동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원래는 광주군 언주면과 대왕면 일부였으나 1963년 서울특별시 성동구로 편입되었다.
- 1975년 10월 1일 성동구 명일동 등을 분리하여 강남구가 설치되었다.[2]
- 1979년 10월 1일 하일동, 상일동, 명일동, 고덕동, 암사동, 천호동, 성내동, 풍납동, 길동, 둔촌동, 거여동, 마천동, 방이동, 이동, 오금동, 송파동, 석촌동, 가락동, 문정동, 잠실동, 신천동과 삼성동, 삼전동, 수서동, 자곡동, 율현동 및 장지동 중 일부를 강남구에서 분리하여 강동구가 신설되었다.[3]
- 1980년 4월 1일 관악구 방배동 일원과 동작동 및 사당동 중 동작역-동작동 반포아파트를 잇는 선 서남측에 있는 한강지류 중심선과 남태령시계로 연결되는 동작대로 중심선의 이동지역이 강남구에 편입되었다.[3]
- 1982년 학동(鶴洞)을 논현동에 편입하였다.
- 1988년 1월 1일 아래 도표와 같이 강남구의 일부를 관할로 하여 서초구가 신설되었다.[4]
- 1989년 1월 1일 서초구 도곡동이 다시 강남구의 관할로 바뀌었고 포이동의 논현로 서쪽 지역이 서초구 양재동으로 편입되었다.[5]
- 2008년 1월 1일 포이동이 개포동에 편입되었다.[6]
행정구역[편집 | 원본 편집]
강남구의 행정구역은 14개의 법정동을 22개의 행정동으로 관리라고 있다. 강남구의 면적은 서울특별시 전체의 6.53%에 해당하는 39.50km²이며, 강남구의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230,755세대, 569,997명이다.[7]
행정동 | 한자 | 면적 (km²) | 세대 | 인구 (명) |
---|---|---|---|---|
신사동 | 新沙洞 | 1.89 | 8,602 | 20,306 |
논현1동 | 論峴1洞 | 1.25 | 14,999 | 26,651 |
논현2동 | 論峴2洞 | 1.46 | 10,811 | 22,658 |
압구정동 | 狎鷗亭洞 | 2.53 | 5,922 | 16,190 |
청담동 | 淸潭洞 | 2.33 | 14,120 | 32,721 |
삼성1동 | 三成1洞 | 1.94 | 6,046 | 20,603 |
삼성2동 | 三成2洞 | 1.24 | 10,586 | 22,315 |
대치1동 | 大峙1洞 | 0.79 | 20,436 | 36,194 |
대치2동 | 大峙2洞 | 2.00 | 14,367 | 35,480 |
대치4동 | 大峙4洞 | 0.73 | 8,443 | 22,978 |
역삼1동 | 驛三1洞 | 2.35 | 11,768 | 34,429 |
역삼2동 | 驛三2洞 | 1.15 | 8,940 | 23,353 |
도곡1동 | 道谷1洞 | 1.02 | 9,709 | 23,897 |
도곡2동 | 道谷2洞 | 1.02 | 7,642 | 23,210 |
개포1동 | 開浦1洞 | 1.27 | 7,736 | 18,954 |
개포2동 | 開浦2洞 | 2.51 | 7,345 | 19,212 |
개포4동 | 開浦4洞 | 1.49 | 7,545 | 16,831 |
일원본동 | 逸院本洞 | 2.58 | 4,917 | 14,400 |
일원1동 | 逸院1洞 | 0.92 | 11,269 | 29,630 |
일원2동 | 逸院2洞 | 1.24 | 12,781 | 31,791 |
수서동 | 水西洞 | 1.43 | 14,048 | 43,193 |
세곡동 | 細谷洞 | 6.36 | 12,723 | 34,999 |
강남구 | 江南區 | 39.50 | 230,755 | 569,997 |
관광[편집 | 원본 편집]
주요건물[편집 | 원본 편집]
- 주거단지 : 압구정 현대아파트, 한양아파트, 대치동 은마아파트, 개포주공아파트, 도곡동 타워팰리스, 도곡렉슬, 삼성동 아이파크 등
- 사무시설 : COEX(무역센터), 메리츠타워, 상제리제센터, 포스코센터, 하이마트사옥 등
- 쇼핑시설 : 갤러리아백화점, 그랑프리엔, 롯데백화점, 은마상가, 역삼이마트, 현대백화점, 코엑스몰 등
- 의료기관 : 삼성서울병원, 영동세브란스병원, 안세병원, 하나이비인후과병원 등
- 체육·문화시설 : 교육방송사옥, 윤당아트홀, 예림당아트홀, 인디플러스, 호림아트센터 등
지역명소[편집 | 원본 편집]
- 강남역 - 강남구에서 가장 많은 도시철도 승객이 승차를 하는 역이며, 지하상가와 함께 인근 강남대로를 따라서 점프밀라노, 강남CGV, 시티극장 등이 있다.
- 국기원 - 태권도 시범을 매주 月, 土 상오 11:30부터 12:00까지 무료로 공연하고 있다.
- 도산공원(島山公園) - 도산 안창호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29.947m² 규모의 근린공원. 웨딩 촬영 장소로 유명하다.
- 봉은사(奉恩寺) - 삼성동에 소재한 천년 사찰.
- 선정릉(宣靖陵) - 2호선 선릉역의 이름이 기원이 된 곳. 세계문화유산인 조선왕릉 中 하나이며 오랜 세월 동안 주변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있어주었다.
- 양재천(良才川) - 과천에서 발원한 하천으로 생태 하천으로서의 환경성과 자전거도로, 산책로 등 시민 도심 공원으로 잘 어우러져 있다. 한편 영동3교 밑에서 매주 금요일 저녁에는 색소폰연주회가 민간동호회 주최로 개최되고 있다.
- 한국종합전시관(COEX) - 2호선 삼성역근처에 위치해 있다. 전시장, 컨벤션센터, 아셈타워, 무역센터 등 대규모 국제적 전시, 회의 시설과 그랜드 인터콘티넨탈호텔, 오크우드 호텔 등의 국제 규모의 호텔, 현대백화점과 코엑스몰 등의 대규모 쇼핑 시설, 한국도심공항, 복합상영관, 대형 서점 등이 조성된 공간이다.
거리명소[편집 | 원본 편집]
- 가로수길 - 도산대로와 압구정동을 잇는 은행나무 가로수와 작은 2층집이 늘어선 700여m의 길로 길가에 음식점, 카페와 독창적인 개인의류매장들이 위치해 이국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최근에는 가로수길의 뒷골목인 세로수길도 유명하다.
- 논현동 가구거리 - 7호선 학동역과 논현역 사이에 조성된 가구거리.
- 메타세쿼이아 거리(양재천로) - 800여 그루의 메타세쿼이아가 심어진 거리로, 거리 옆에는 양재천이 있다. 서울시가 선정한 '단풍과 낙엽의 거리' 中 하나이다.
- 압구정동 - 조선의 문신 한명회의 호를 딴 이름의 동(洞)으로 먹거리, 패션, 쇼핑시설이 위치한 압구정 로데오 거리가 있으며 한강시민공원의 유람선, 역주변에는 다수의 성형외과가 성업중이다.
- 테헤란로 - 삼성역에서 강남역까지의 거리이며 1977년 이란의 수도 테헤란시의 자매결연을 기념하기 위해 테헤란로라는 이름이 붙었다. 1990년대 이후 주요기업 본사 및 벤처기업용 오피스텔 등 고층 빌딩이 많이 세워졌다.
- 청담동 패션거리 - 고급 의류 및 여성용품 매장이 위치해 있다. 이 거리에는 국내 최대 연예기획사 SM의 사옥이 있다.
문화재[편집 | 원본 편집]
- 서울 선릉과 정릉 - 사적 제199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전주이씨광평대군파묘역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호
- 봉은사선불당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4호
- 완남부원군 이후원 묘역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9호
- 일원동불국사석불좌상 -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36호
- 불교제중원오층석탑및표석,석등 -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42호
- 서울 안창호 묘소 - 등록문화재 제517호
극장과 공연장[편집 | 원본 편집]
- 강남CGV, 압구정CGV
- 메가박스 코엑스, 메가박스 강남
- LG아트센터
- 시티 극장
- 동영아트홀
- 뤼미에르 극장
- 브로드웨이시네마
- 스폰지하우스
- 씨너스 G 극장
- 씨네시티
- 씨어터 2.0
- 코엑스 아티움
교육 기관[편집 | 원본 편집]
고등학교[편집 | 원본 편집]
- 개포고등학교
- 경기고등학교
- 경기여자고등학교
- 국악고등학교
- 단국공업고등학교
-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 대진디자인고등학교
- 서울로봇고등학교
- 서울세종고등학교
-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 숙명여자고등학교
- 압구정고등학교
- 영동고등학교
- 은광여자고등학교
- 중동고등학교
- 중산고등학교
-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 진선여자고등학교
- 청담고등학교
- 현대고등학교
- 휘문고등학교
기타학교[편집 | 원본 편집]
도서관[편집 | 원본 편집]
대학교[편집 | 원본 편집]
-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
- CHA 의과학대학교 강남캠퍼스
학점은행제[편집 | 원본 편집]
대학원대학교[편집 | 원본 편집]
-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통[편집 | 원본 편집]
1960년대 후반부터 영동(강남) 토지 구획 정리 사업에 의해 계획적으로 개발되면서 교통문제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었다. 그래서 도심과 곧바로 이어지는 한남대교, 동호대교, 성수대교, 영동대교, 청담대교 등이 건설되었고, 강남대로, 영동대로와 올림픽대로, 남부순환로가 직교식으로 연결되어 바둑판 같은 도로망이 형성되었다.[8] [9]
철도[편집 | 원본 편집]
강남구에는 일반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 없으므로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의 일반 열차를 타려면 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 등지로 가야 하였으나 수서역에 SRT가 들어오면서 철도교통 접근선이 개선되었다.
사건사고[편집 | 원본 편집]
- 2021년 1월 26일 강남구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점주가 코로나 지원금 신청에 필요한 서류를 발급받기 위해 강남구보건소를 찾았는데 보건소 직원들이 마스크를 끼지 않고 근무하는 것에 대해 황당하여 동영상을 찍었고 이에 대해 직원들은 "동의 없이 왜 찍냐? 경찰 불러라", "왜 (카메라) 켜놓느냐? 우리가 동의 안했다. 지워라" 라며 날센 반응들을 보였으며 심지어 해당 점주를 공무집행방해로 신고하겠다는 황당한 반응까지 보였다.[10] 다음날인 27일도 해당 보건소를 찾아갔더니 그 날도 마스크 끼지 않고 근무하는 직원들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 시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이상을 적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모든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이 의무이며 위반 시 과태료 10만원을 물게 되어 있다.
자매 도시[편집 | 원본 편집]
역대 구청장[편집 | 원본 편집]
영상[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신사동과 한강을 경계로 약간 만난다
- ↑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제정 1975년 9월 23일 대통령령 제7816호)
- ↑ 3.0 3.1 서울특별시은평구등7개구설치및구관할구역조정에관한규정 (제정 1979년 9월 26일 대통령령 제9630호)
- ↑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제정 1987년 12월 31일 대통령령 제12367호)
- ↑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제정 1988.12.22 대통령령 12557호)
-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동 명칭 및 구역획정 조례 (제정 2007.11.09 조례 제716호)
- ↑ 《제28회 강남통계연보 2013》. 강남구청. 2013. 61쪽, 70쪽.
- ↑ 최완기 [1997년 3월 10일]. 《한양: 그곳에서 살고 싶다?》, 초판, 서울: (주)교학사, 405쪽
- ↑ 그러나 대로망은 격자형이지만 골목길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구불구불하다(...) - ↑ 하지만 공무집행방해라는 것은 (정당한) 직무를 집행하는 공무원에게 폭행 또는 협박 등 직무를 방해하여야 성립하는데 당시 보건소 직원들은 마스크를 쓰고 근무해야함에도 불구하고 마스크를 안 끼고 근무하였기에 정당한 직무를 집행하고 있다고 볼 수 없고 그것에 대해 문제삼으며 영상촬영을 통해 증거로 남기려는 민원인을 상대로 "경찰 부르겠다. 영상 지워라. 공무집행방해로 신고한다" 이런 것이 역으로 협박을 가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서울특별시의 기초자치단체 |
|
---|---|
자치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