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 | |
---|---|
![]() |
|
지역 정보 | |
종류 | 구 |
구청장 | 김영종 (더불어민주당) |
행정구역 | 17 행정동, 87 법정동 |
인구 | 155,695 명 (2015년 기준) |
면적 | 23.91 km2 |
상징 |
은행나무 (나무) 철쭉꽃 (꽃) 까치 (새) |
웹사이트 | 종로구청 |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지명 유래[편집 | 원본 편집]
종로라는 명칭은 지금의 종로1가 도성문의 개폐 시각을 알려주는 큰 종을 매달았던 종루에서부터 비롯된다. 아침의 ‘파루’와 저녁의 ‘인정’을 말하는데, 종루가 있다고 해서 운종가라도 불렸으며, 1943년 4월 1일 구제도를 실시할 때 ‘종루가 있는 거리’라는 뜻으로 종로구가 되었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종로구를 설치하였다.[1]
- 1946년 10월 1일 기존의 ~정(町)의 행정구역을 ~동(洞)으로 일괄 변경하였다.[2]
- 1947년 동회 제도 실시
- 1949년 서울특별자유시→서울특별시 개칭
- 1950년 경무대동회→경무동회 개칭
- 1955년 4월 18일 동제 실시로 36개 행정동이 설치되었다.[3]
- 1970년 5월 18일 명칭이 일치하지 않은 법정동과 동사무소의 명칭을 일치시키고 관내 행정동은 36개에서 25개로 통합조정되었다.
- 1975년 10월 1일 서대문구 중 평창동 등과 동대문구 중 창신동 등이 종로구로 편입되었다.[4]
- 1977년 9월 1일 누상동, 종로1가동, 종로5,6가동, 동숭동이 폐지되어 22개동으로 되었다.[5]
- 1980년 7월 1일 종로3가+종로4,5,6가→종로3,4가동, 5,6가동(충신동 합속).[6] (21행정동)
- 1980년 명륜3가동 관할 와룡동 1번지→종로1,2가동 관할 와룡동 합속
- 1998년 12월 1일 세종로동을 사직동에, 종로1·2가동과 종로3·4가동을 종로1·2·3·4가동으로 합동하였다.[7] (19행정동)
- 2008년 사직동 관할 세종로 일부→종로1,2,3,4가동 합속
- 2008년 11월 1일 청운동과 효자동을 청운효자동으로 합동하였다.[8] (18행정동)
- 2012년 8월 1일 명륜3가동과 혜화동을 혜화동으로 합동하고 종로1,2,3,4동 관할 와룡동 일부를 이에 합속.[9] (17행정동)
행정구역[편집 | 원본 편집]
종로구의 행정 구역은 87개의 법정동을 관리하는 1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로구의 면적은 23.91㎢이며, 인구는 2015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72,882세대, 155,695명이다.[10]
행정동 | 한자 | 면적 (㎢) | 세대 | 인구 (명) |
---|---|---|---|---|
청운효자동 | 淸雲孝子洞 | 2.57 | 6,023 | 15,449 |
사직동 | 社稷洞 | 1.23 | 4,574 | 10,477 |
삼청동 | 三淸洞 | 1.49 | 1,558 | 3,485 |
부암동 | 付岩洞 | 2.27 | 4,566 | 11,478 |
평창동 | 平倉洞 | 8.87 | 7,395 | 19,816 |
무악동 | 毋岳洞 | 0.36 | 3,220 | 8,598 |
교남동 | 橋南洞 | 0.35 | 4,091 | 8,342 |
가회동 | 嘉會洞 | 0.54 | 2,408 | 5,520 |
종로1.2.3.4가동 | 鍾路1.2.3.4街洞 | 2.36 | 5,276 | 8,984 |
종로5.6가동 | 鍾路5.6街洞 | 0.60 | 3,185 | 6,438 |
이화동 | 梨花洞 | 0.78 | 4,520 | 9,521 |
혜화동 | 惠化洞 | 1.11 | 9,246 | 18,303 |
창신제1동 | 昌信第1洞 | 0.31 | 3,500 | 8,307 |
창신제2동 | 昌信第2洞 | 0.26 | 4,937 | 12,120 |
창신제3동 | 昌信第3洞 | 0.23 | 3,087 | 9,311 |
숭인제1동 | 崇仁第1洞 | 0.23 | 3,256 | 7,406 |
숭인제2동 | 崇仁第2洞 | 0.35 | 4,817 | 9,593 |
종로구 | 鍾路區 | 23.91 | 72,882 | 155,595 |
특징[편집 | 원본 편집]
1394년 조선 왕조가 한양에 도읍을 정한 이래 중구와 함께 서울특별시의 원도심을 이루었고, 현재도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교육,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교통[편집 | 원본 편집]
철도[편집 | 원본 편집]
교육[편집 | 원본 편집]
관내 학교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 대학원대학교
- 특수학교
관광[편집 | 원본 편집]
주요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주요 기관[편집 | 원본 편집]
언론사[편집 | 원본 편집]
관공서[편집 | 원본 편집]
출신 인물[편집 | 원본 편집]

이야깃거리[편집 | 원본 편집]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종로구청 (공식)
각주
- ↑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1943년 6월 9일)
- ↑ 서울시헌장 제1조
- ↑ 서울특별시 조례 제66호 (1955년 4월 18일 공포)
- ↑ 대통령령 제7816호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년 9월 23일)
- ↑ 서울특별시 조례 제1181호 (1977년 8월 29일 공포)
- ↑ 시조례 제1413호
- ↑ 구조례 제383호 동사무소설치조례
- ↑ 구조례 제740호 동주민센터명칭과소재지및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8년 9월 19일)
- ↑ 구조례 제945호 동주민센터명칭과소재지및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12년 7월 20일)
- ↑ 《제28회 2013 종로통계연보》. 종로구청. 2013. 44쪽, 54쪽.
서울특별시의 기초자치단체 |
|
---|---|
자치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