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서울정부청사) | |
---|---|
![]()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지하130 |
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11.1 km |
관할 | 서울교통공사 |
개업일 | 1985년 10월 18일 |
번호 | 327 |
처음 1985년 개통 당시 역명은 중앙청역(中央廳驛)이었다. 이는 당시 경복궁 안에 중앙청 건물이 있었기 때문인데, 이 건물이 이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개조된 이후 중앙청이라는 이름으로 안 쓰이게 되면서 1987년 5월 1일 현재의 경복궁역으로 개명되었다.[1][2]
독립문역 출발 첫차가 유치선에서 나오는 방식이 아닌 지축차량사업소에서 회송하여 운행을 시작하는 관계로 이 역에서 독립문역 출발 첫차를 이용하게 되면 뜬금없이 "회송"으로 열차위치 안내판에 뜨다가 오금행으로 바뀐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83년 9월 13일: 역명을 중앙청으로 결정[3]
- 1985년 10월 18일: 3호선 독립문~양재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 1987년 5월 1일: 역명을 경복궁으로 변경[4]
- 1999년 12월 26일: 역명을 경복궁(정부중앙청사)로 변경[5]
- 2013년 1월 3일: 역명을 경복궁(정부서울청사)로 변경[6]
2014년 8월 16일 프란치스코 교황 방문으로 첫차부터 오후 12시 30분~1시 30분 동안 모든 열차가 광화문역, 시청역, 경복궁역을 무정차 통과하였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7개로, 5번 출구는 경복궁과 연결되어 있다. 역사는 공간건축의 작품 중 하나이다. 김수근 시대에 설계되었으며 설계 실무는 류춘수가 맡았다. 이 때문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중앙역과 구조가 비슷한 것.
상행
|
하행
|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 →
|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주변에는 경복궁, 정부서울청사, 서울지방경찰청, 배화여자대학교, 대림미술관, 통인시장 등이 있다.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지하철 3호선역 중앙청역을 경복궁역으로[이득렬]
- ↑ 중앙청 건물은 본래 해방 전 조선총독부 청사였던 곳이다(...) 광복 이후 중앙청이라는 정부 시설로 쓰이다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사용되다가 1995년 철거되었다.
- ↑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 ↑ 서울특별시고시 제136호
- ↑ 수유동 백운봉길→'4.19길', 한겨레
- ↑ 서울특별시고시 제2012-36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