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시철도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
---|---|
![]() 화서역으로 진입하는 K416 열차 |
|
종류 | 도시철도(서울), 운행계통광역전철 |
구간 |
도시철도: 서울역 ~ 청량리 광역전철: 연천 ~ 인천 광운대 ~ 서동탄 광운대 ~ 신창 영등포 ~ 광명 |
영업거리 |
7.8 km (도시철도) 200.6 km (광역전철) |
소유자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
운영자 |
서울교통공사 (도시철도, 광역전철 차량) 한국철도공사 (나머지 노선, 광역전철 차량) |
개통일 | 1974년 8월 15일 (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
시설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2 (도시철도) |
전기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도시철도) |
신호 | ATS |
도시철도 이외 구간의 정보는 운행 문단에 연결된 문서를 참고 |
서울 도시철도 1호선(서울 지하철 1호선)은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역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역을 잇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국내 최초, 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개통한 지하철이다. 종로선이란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경인선 전 구간과 경원선, 경부선 및 장항선의 일부 구간과 직결운행하는데, 이 운행계통을 수도권 전철 1호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직결운행 초기에는 노선도에 서울 지하철 1호선과 국철(나머지 노선)로 표기하고 노선색도 적색과 군청색으로 서로 달랐지만, 2000년 4월 1일부터 모두 합쳐 1호선으로 표기하고, 노선색도 군청색으로 통일하였다.
경부선 구간은 과거 운행되던 경부·장항선 비둘기호의 역할을, 경원선 구간은 과거 운행되던 경원선 비둘기호 및 통근열차의 역할을 물려받아 운행되고 있다. 경인선 구간은 개화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경인권의 도시화와 맞물려, 개통 초기부터 광역철도의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928년 조선철도에서 현재 1호선과 동일한 노선을 출원했지만 이는 1927년에 출원한 중앙선[1]을 경성역(서울역)에 연결하기 위해서였다.[2] 경성~동대문 구간은 지하로 동대문~청량리 구간은 고가로 계획되었다.[3] 경쟁출원한 경성철도의 경로는 세종대로-청계천이었다.[4][5] 하지만 다음해 1929년 예산 긴축으로 두 노선과 중앙선 모두 허가가 중지되었다.[6]
이후 1930년대 경성의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경성부에서 지하철을 고려했고[7], 특히 중일전쟁이 한창인 1938년 방공을 위해 전차를 지하철로 만드는 계획을 발표했다.[8] 1939년에 청계천 노선을 기본방침으로 정하였다.[9][10] 이와 별개로 같은 해 경춘철도에서 경춘선의 종점인 성동역과 경성역 간의 지하철을 계획했고[11][12] 성동~동대문 구간의 부설을 허가받았다.[13] 하지만 전쟁 때문에 착공에 들어가지는 못했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열차 운행
-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과 함께, 경원선의 성북(현재 광운대)~청량리, 경부선의 서울~수원, 경인선의 구로~인천과 직결운행 개시.
- 1982년 9월 25일: 서울~수원간 직통열차(급행) 운행 시작.
- 1985년 4월 20일: 경원선 성북~창동 구간 연장 개통.
- 1986년 9월 2일: 경원선 창동~의정부 구간 연장 개통.
- 1987년 10월 5일: 경원선 의정부~의정부북부 구간 연장 개통.
- 1999년 1월 29일: 경인선 구로~부평간 복복선 개통 및 경인선 급행 열차 운행 시작.
- 2002년 3월 15일: 경인선 부평~주안간 복복선 개통 및 경인선 급행 열차 운행 연장.
- 2003년 4월 30일: 경부선 수원~병점 구간 연장 개통 및 급행 열차 운행 연장. 직통열차 이름을 급행으로 변경.[15]
-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병점~천안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용산~천안 급행 열차 운행 시작.
- 2005년 12월 21일: 경인선 주안~동인천간 복복선 개통 및 경인선 급행 열차 운행 연장.
- 2006년 12월 15일: 경원선 의정부~소요산 구간 연장 개통 및 동두천~인천 급행 열차 운행 시작. 같은 날 용산~광명 셔틀노선 운행 개시.
-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천안~신창 구간 연장 개통.
- 2010년 2월 26일: 병점기지선 병점~서동탄 구간 연장 개통.
- 2014년 8월 25일: 병점 급행 운행 시작.
- 2016년 12월 9일: 신창급행 계통 신설, 병점 급행 운행 종료.
- 2017년 7월 7일: 경인선 특급 운행 시작.
- 2019년 12월 30일: 경부선 급행전동차 체계 개편, 용산 급행 및 서울 급행 폐지.
- 2020년 1월 28일: 서울급행 운행 재개.
- 2023년 12월 16일: 경원선 소요산~연천 구간 연장 개통.
운행[편집 | 원본 편집]
1호선은 총 거리가 약 200km 이상에 달할 정도로 길며 구로역에서 노선이 갈라지기 때문에, 전동차 운행 구간이 다양하다. 크게 경인경원선 계통과 경부장항선 계통 두 개로 분류한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와 코레일 소속 전동차가 함께 운행하는데, 급행열차는 코레일에서 전담한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는 인천~양주(경인경원선), 광운대~서동탄(경부장항선) 구간을 운행하도록 협약을 맺었으며, 코레일의 파업 등 특수한 사정이 생기더라도 협약구간을 벗어나는 운행은 찾아보기 어렵다.
1호선이 운행하는 철도 노선 구성은 다음 표와 같다.
노선 | 구간 |
---|---|
경원선 | 연천 ~ 회기 |
서울 도시철도 1호선 | 청량리 ~ 서울역 |
경부선 | 서울 ~ 남영 ~ 구로 ~ 금천구청 ~ 병점 ~ 두정 |
경인선 | 구로 ~ 인천 |
장항선 | 천안 ~ 신창 |
시흥연결선, 경부고속선 | 금천구청 ~ 광명 |
병점기지선 | 병점 ~ 서동탄 |
천안직결선 | 두정 ~ 천안 |
경인경원선 계통[편집 | 원본 편집]
계통 | 번호 | 연천 | 동두천 | 광운대 | 서울(지하) | 용산 | 구로 | 부평 | 동인천 | 인천 |
---|---|---|---|---|---|---|---|---|---|---|
일반 | K·S0 | [16] | ||||||||
K800 | [16] | |||||||||
S900 | [16] | |||||||||
K950 | [16] | |||||||||
경원선 급행 | K1600 | |||||||||
경인선 급행 | K1000 | |||||||||
K1250 | ||||||||||
K1400 | ||||||||||
경인선 특급 | K1300 |
- 일반 [연천~인천] (K·S0, K800, S900, K950)
- 가장 대표적이며 편수가 가장 많은 계통 중 하나이다. 연천·동두천·양주·의정부와 인천 사이의 역에 모두 정차한다. 일부 열차는 서울(지하)이나 부평에서 착발하며, 입출고를 위해 동묘앞이나 구로에서 착발하기도 한다.
- 경원선 급행 [동두천~인천] (K1600)
- 광운대 이북 경원선 구간에서만 급행으로 운행하며, 광운대부터 인천까지는 일반 열차와 동일하게 운행한다. 경원선 급행 정차역은 동두천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양주 - 의정부 - 회룡 - 도봉산 - 창동 - 광운대이다. 평일에만 상행 7회, 하행 8회 운행한다.
- 2006년 12월 15일 소요산 연장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했으며 당시 운행횟수는 왕복 7회였다. 소요산에 정차하는 열차도 있었다.
- 경인선 급행 [용산~동인천] (K1000, K1250, K1400)
- 경인선 구간에서만 급행으로 운행하며, 용산부터 구로까지의 구간은 일반 열차와 동일하게 운행한다. 경인선 급행 정차역은 구로 - 개봉 - 역곡 - 부천 - 송내 - 부평 - 동암 - 주안 - 제물포 - 동인천이다. K1400번대 열차는 입출고를 위해 용산~구로 구간만 운행하는데, 이름만 급행이지 모든 역에 정차한다.
- 1999년 1월 29일 경인선 복복선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했으며, 2016년 2월 1일부터 개봉과 제물포에도 급행열차가 정차한다.
- 경인선 특급 [용산~동인천] (K1300)
- 급행보다 정차역이 적으며 용산부터 구로까지의 구간에서도 일부 역에만 정차한다. 특급 정차역은 용산 - 노량진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역곡 - 부천 - 송내 - 부평 - 주안 - 동인천이다.
- 2017년 7월 7일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2022년 6월 20일부터 영등포와 역곡에도 특급열차가 정차한다.
경부장항선 계통[편집 | 원본 편집]
계통 | 번호 | 광운대 | 서동탄 |
---|---|---|---|
일반 | K·S400 | [16][17] |
- 일반 [광운대~서동탄] (K·S400)
- 광운대와 서동탄 사이의 역에 모두 정차한다. 일부 열차는 서울(지하)이나 청량리에서 착발하며, 입출고를 위해 동묘앞, 구로 또는 병점에서 착발하기도 한다. 최초 개통했을 때는 청량리~수원 구간을 운행했으며, 복선 운행이었기에 4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등 반쯤 버려진 노선 취급을 받았었으나, 2003년 병점 연장 이후 점점 더 지분율을 높이고 있다. 2005년 말까지는 천안 계통과 같은 세부 계통을 가지고 있었으나, 경원선 용산~성북(광운대) 계통의 운행 분리와 함께, 운행 구간이 청량리에서 광운대로 연장됨에 따라[18] 세부 계통 분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이후 서동탄 방면 지선인 병점기지선이 여객 영업을 시작하면서 완전히 분리되었다.
계통 | 번호 | 광운대 | 청량리 | 서울 | 병점 | 천안 | 신창 |
---|---|---|---|---|---|---|---|
일반 | K600 | [16] | |||||
일반 | K750 | [19] | |||||
경부선 A급행 | K1900 | [20] | |||||
경부선 B급행 | K1900 |
- 일반 [광운대~신창] (K600, K750)
- 광운대와 신창 사이의 역에 모두 정차한다. 2005년 천안 연장으로 생긴 계통으로, 2008년 신창까지 연장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열차의 반 정도는 천안에서 착발하며, 반 정도만이 신창까지 운행된다. 일부 시간대에서 광운대까지 연장되던 것이 용산급행 확대 이후 광운대 착발로 고정되었다. 평시 기준 시간당 3회 운행된다. 그 중 절반(40분 간격)이 천안 종착이며, 나머지 절반(40분 간격)이 신창 종착 열차.
- 경부선 A급행 [청량리~천안·신창] (K1900)
- 경부선 구간에서만 급행으로 운행하며, 청량리부터 가산디지털단지까지의 구간은 일반 열차와 동일하게 운행한다. 경부선 급행 정차역은 가산디지털단지 - 금천구청 - 안양 - 금정 - 의왕 - 성균관대 - 수원 - 병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두정 - 천안이며, 천안~신창 구간 역시 일반 열차와 동일하게 운행한다.
- 흔히 A급행이라 불리던 용산급행을 청량리로 잡아늘린 계통이다. 천안 연장 이후 생긴 급행 열차로, 경부선 일반 열차 수요 중 구간 수요의 효과적인 흡수를 위해 생긴 계통이다. 과거에는 수원~안양 구간에서 여객용 1선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청량리 연장 및 금천구청역, 군포역의 대피용 측선 시설개량 이후에는 모두 2선을 사용한다. 이제 완행 전동차와 같은 선로를 쓰고 수원역 이북부터는 급행열차가 완행열차를 추월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선이 금천구청역, 군포역밖에 없기 때문에 앞서가는 열차가 대피할 공간이 없어서 급행임에도 불구하고 완행을 앞지르지 못해 졸졸 따라가는 답답함을 종종 연출하기도 한다. 또한 금천구청역, 군포역에서 급행열차가 완행열차를 추월할 때도 문제가 있는데, 급행이 맨 끝의 측선으로 분기해 통과하는 구조이고, 분기기 제한속도인 45km/h 이상을 낼 수 없어 서행 통과해야 한다.[21] 이러한 단점이 새로 생겼지만 환승 수요가 상당한 역인 금정역, 예전부터 배후 인구와 통학 수요가 상당했던 성균관대역에 급행열차가 상시 정차하게 된 이점도 있다.
- 경부선 B급행 [서울~천안·신창] (K1900)
- A급행과 달리 서울~가산디지털단지 구간에서도 일부 역에만 정차한다. 흔히 B급행 혹은 초록급행이라 불린다. 과거 차내 노선도에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어 그런 별명이 붙여졌는데, 2023년쯤 경인선 특급이 초록색을 사용하고 B급행은 주황색을 사용한다. 급행 정차역은 서울(지상) - 영등포(상행만) - 금천구청 - 안양 - 군포 - 의왕 - 성균관대 - 수원 - 병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두정 - 천안이다. 상행 1편성은 신창에서 출발하며 장항선 역에 모두 정차한다. 평일에만 상행 2회, 하행 1회 운행한다.
- 1982년 9월 25일 직통열차라는 이름으로 서울~수원간 운행한 것이 시초이다.[22] 처음에는 안양에만 정차했지만 나중에는 영등포, 시흥(현재 금천구청), 군포, 부곡(현재 의왕)에도 정차했다. 안양 민자역사가 공사하는 동안에는 관악에 대신 정차했다. 2003년 4월 30일 병점으로 연장하면서 일부 열차가 성균관대에 정차했다.[15] 이후 천안, 신창까지 연장했다. 2019년 12월 30일 시간표 개정으로 사라졌었다. 하지만 2020년 1월 8일 병점→서울 급행을 아침 출근시간대에 2회 추가했고, 1월 28일 이 열차를 천안까지 연장하고 하행 열차를 추가함으로써 B급행이 부활했다.[23]
계통 | 번호 | 영등포 | 광명 |
---|---|---|---|
광명 셔틀 | K7000 |
- 광명 셔틀 [영등포~광명] (K7000)
- 영등포와 광명 사이의 역에 모두 정차한다. 하루 상하행 각각 10회씩 운행한다. KTX 광명역의 좋지 않은 접근성으로 인하여 탄생한 계통이다. 일반 승객들에게 존재감은 미약하지만 엄연히 KTX 아래 위치한 등급을 부여받아 지연 등 특수한 상황에서 운전정리시 KTX 다음으로 우선순위를 부여받는다. 간선 급행인 ITX-새마을이나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보다 먼저 통과할 수 있는 등급이다. 출퇴근시간대 운좋게 광명셔틀을 탈 수 있다면 영등포~금천구청역 구간만큼은 붐비는 여타 1호선 열차와는 달리 여유있는 좌석을 즐길 수 있었으나, 최근 광명역세권 개발 및 배후 인구의 증가로 출퇴근시간에도 어느 정도 혼잡한 양상을 보인다.
- 도입 초기에는 용산역부터 광명역 구간에 10량짜리 풀스펙 전동차를 투입하였으나, 서울 시내에서 광명역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나올리 만무하여 텅텅 빈 상태로 운행하여 진정한 공기수송의 진가를 발휘했었으나 2008년 12월 1일부터 4량 1편성, 운행구간도 영등포로 단축되었으며, 2014년까지는 시간당 1~2편 정도 운행되던 것이, 최근에는 금천구청역 및 경부선의 처리 용량 부족으로 인해 대폭 감편되었으며, 시각표를 보고 타지 않으면 안 될 수준으로 운행되고 있다.
폐지된 계통[편집 | 원본 편집]
- 완행 [용산~성북]
- 경원선 서울 시내 구간 복선 전철화로 용산부터 성북(현재 광운대)까지 운행되던 계통이다. 회기역 직전에 평면교차로 진입했으며, 이 때문에 간격을 줄일 수 없어 간격이 들쭉날쭉 했었다. 용산~회기 구간은 중앙선 복선전철화 개통으로 경의·중앙선(당시 중앙선)으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으며, 성북역의 회차 용량은 병점 발착 열차가 사용하게 되었다.
- 급행 [영등포~병점]
- 광역버스 입석금지로 인하여 2014년 8월 25일에 새로 생겼던 급행으로, 정차역은 영등포역 - 안양역 - 수원역 - 병점역이다. 차량은 광명 셔틀에서 운행하던 4량 전동차가 운행한다. 2016년 12월 9일 시간표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차량[편집 | 원본 편집]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과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이 모두 운행하며, 한 편성의 길이는 10량이다. 단, 일부 셔틀 열차는 4량 및 6량으로 편성되어 있다. 서울교통공사 열차는 군자차량사업소에서, 한국철도공사 열차는 구로, 병점, 이문차량사업소에서 관리한다.
서울교통공사 소속[편집 | 원본 편집]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은 1000호대 번호를 사용하며, 한국철도공사와 달리 번호를 재사용한다.
또한 내구연한 만료로 구형 전동차를 대거 폐차하고 신차를 도입하는 코레일과 다르게, 서울교통공사는 1호선 차량들에 대한 마개조를 통해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주기로 유명하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저항제어 계열 전동차는 전두부를 VVVF와 유사하게 바꾸는 리모델링을 하였으나, 객실 내부는 70~80년대 전동차의 구조를 찾아볼 수 있으며, 여전히 내리닫이형 창문을 찾아볼 수 있다.
차량 | 편성 | 도입 | 설명 |
---|---|---|---|
1000호대, 현대로템 1세대 | 101~110 | ||
1000호대, 저항제어 개조 | 111~116 | ||
퇴역 차량 | |||
1000호대, 저항제어 | 101~116 |
한국철도공사 소속[편집 | 원본 편집]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은 310000호대 번호를 사용한다. 차량번호가 네 자릿수였을 때 도입한 차량은 번호가 다음처럼 바뀌었다.
- 1000호대: 퇴역할 때까지 그대로 유지.
- 5000호대: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 310000호대로 변경.
- 6000호대: 2007년 중앙선 계통이 1호선에서 완전히 분리될 때, 5000호대 일부 차량과 함께 중앙선으로 이적.
319000호대는 길이가 짧은 전동차를 따로 모아둔 번호대로, 도입 시기에 따라 그 용도가 다르다.
- 31901~31907편성
- 광명 셔틀의 수요가 부족하여, 중앙선 8량화 잔여차량과 5000호대 사고 편성을 개조한 4량 짜리 차량이다. 해당 구간 외에도 길이가 맞는 경의·중앙선(문산~서울 및 임진강 셔틀)에도 운행하며, 병점 급행에도 사용되었다.
- 31908~31910편성
- 원래 연천~광운대 간 셔틀로 운행하려고 도입한 6량 짜리 차량이다. 하지만 해당 구간 10량 전동차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여 현재는 길이가 맞는 수인·분당선에서 운행하고 있다.
차량 | 편성 | 도입 | 설명 |
---|---|---|---|
5000호대, 현대로템 1세대 | 501~542 | ||
5000호대, 현대로템 2세대 | 543~566 | ||
5000호대, 현대로템 2.5세대 | 567~592 | 일부 이적. | |
6000호대, 현대로템 2.5세대 | 601~607 | 이적. | |
310000호대, 현대로템 2.5세대 | 31183~31189 | ||
310000호대, 현대로템 2.5세대 | 31190~31191 | 경춘선에서 이적한 차량. | |
310000호대, 현대로템 2.5세대 | 31192~31194 | ||
310000호대, 현대로템 2.5세대 | 31195~31203 | ||
310000호대, 현대로템 3세대 | 31204~31207 | ||
310000호대, 현대로템 3세대 | 31208~31215 | ||
310000호대, 우진산전 | 31216~31256 | ||
319000호대, 현대로템 2.5세대 | 31901~31907 | ||
319000호대, 현대로템 3세대 | 31908~31910 | ||
퇴역 차량 | |||
1000호대, 저항제어 | 101~194 |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시청~종각 사이의 급곡선
- 서울 도시철도 1호선은 개착식 공법으로 건설되었고, 따라서 해당 구간의 곡선을 완만하게 하려면 그 위에 있는 동아일보 사옥을 허물 수밖에 없었다. 결국 그렇게 하지는 못하고, 반지름 140m 짜리 급곡선이 생겨버렸다. 해당 구간은 지금도 25km/h의 저속통과 구간이며, 철로의 마모 등 유지보수를 집중적으로 하며, 선로에 윤활유를 뿌려주는 장치까지 설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구간 통과시 차륜과 선로사이에서 발생하는 쇳소리는 근본적으로 선형개량이 이뤄지지 않는한 완벽히 없애기는 어렵다.
- 도시철도 1호선 복복선 계획
- 1호선 계획 당시에는 종각역~신설동역 구간을 5호선과 공용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1호선 개통식이 있던 1974년 8월 15일 육영수가 저격당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당시 서울특별시장 양택식이 사임하고 후임으로 들어온 구자춘 시장이 기존 계획을 대폭 수정하여 5호선 계획이 백지화되었다. 현재 복복선에 대비해 마련해놓은 공간은 환승통로 등 다른 목적으로 사용 중이다.
- 도시철도 1호선의 좁은 승강장
- 원조 지하철 구간인 지하 서울역~지하 청량리역 구간(일명 종로선)의 승강장 크기가 다른 노선의 지하역들에 비해 상당히 좁다. 게다가 안 그래도 좁은 승강장이 칙칙한 분위기덕에 더 작아 보인다. 몇몇 역은 리모델링하면서 좀 나아졌지만, 여전히 칙칙한 역은 칙칙하다. 근래 개량을 통해 조도가 높은 LED 등을 설치하고 역사 내부 도색을 화사하게 변경했다지만 심도가 낮은 관계로 천장 높이가 상당히 낮아 답답한 느낌이 배가 된다. 또한 종로선 건설 당시 기술을 제공한 1970년대 일본의 시공을 받아들였고, 노폭이 좁았던 서울 중심가의 도로 상부를 걷어내고 지하역을 건설한 개착식 공법이 적용된 한계에서 기인한다. 또한 서울의 인구 증가 및 도로 사정의 악화로 지하철 승객 증가 추이를 잘못 예상한데다가, 당시 5호선 계획이 복복선으로 1호선과 나란히 건설될 예정이었으므로 좁은 지하공간에 승강장 공간을 크게 할애 할 수 없었기 때문. 특히 동대문역과 동묘앞역[24]을 비교하면 차이가 확 난다.
- 직결운행과 절연구간
- 도시철도는 직류이지만, 직결하는 지상 구간은 모두 교류이기 때문에, 그 사이인 남영~지하 서울역, 지하 청량리~회기 지점에 절연구간이 있다.
- 여러 노선을 직결하면서 지연에 취약한데, 지상 구간이 상당히 길어 날씨 때문에 운행에 차질이 있을 때가 많다. 지상 구간 특징 상 추위에 약하다보니 고장이 잦기도 하고, 눈이나 비가 오면 점착력이 떨어져 미끄러지는 관계로 운행 지연이 잦을 수밖에 없다. 승객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대에는 사실상 서울 도심 구간은 열차 정차시간이 준수되기 어려워 지연이 일상화된다. 그나마 여러 노선이 집중적으로 거쳐가는 서울 도심구간은 열차들의 배차가 밀집되므로 지연에 대한 체감이 덜한 편.
- 질서 저해자 및 이동상인 문제
- 운행 구간이 길다 보니 차내에서 물건을 파는 이동상인, 구걸하는 사람이나 특정 종교를 홍보하는 전도자들을 타 노선에 비해 흔하게 접할 수 있다. 수도권에서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탑승하다보니 이른바 1호선 빌런[25]같은 밈이 인터넷상에서 코믹한 이미지로 떠돌고 있을 지경. 또한 장항선 연장으로 온양온천역 등 관광지를 이용하려는 노인 승객[26]도 많은 편.
- 높은 지상 구간의 비중과 이로 인한 지하화 추진
- 1호선은 지하 서울역~지하 청량리역 구간(일명 종로선) 구간을 제외하면 거의 전체가 지상 구간이다. 1974년 개통 당시에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경제가 발전하고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인해 지상 철도는 소음 발생과 도심을 단절시키는 장애물로 인식이 바뀌어갔다. 이로 인해 10년 넘게 1호선의 지상 구간을(특히 서울 시내의 지상 구간) 지하화하자는 논의가 대두되었다. 지난 10여년 간은 높은 건설 비용과 이로 인한 비용 부담을 누가 할 것인가를 두고 대립이 있었기 때문에 논의만 되는 선에서 그쳤다.
- 다만, 윤석열 정부 취임 이후 상황이 달라졌다. 윤석열 정부 들어 교통 격차 해소를 주제로 한 여섯 번째 민생 토론회에서 철도 지하화가 언급되었으며, 국토부 장관까지 입장을 선회하여 철도 지하화를 강력 시사하였다.[27] 또한, 철도 지하화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법안인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안이 통과되었다.[28]
- 2024년 10월 말 수도권 지역에서 일제히 국토부의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1차 선도사업"에 신청했다고 밝혔다. 대상 노선은 경인선의 전 구간, 경부선의 서울역~당정역, 경원선의 회기역~도봉산역 등이다.[29]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서울 도시철도 1호선 이외의 구간의 자세한 연계 노선은 해당 노선 문서를 참고하세요.
연천~회기[편집 | 원본 편집]
- 아래 역들은 모두 경기도에 있다.
- 급: 경원선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노선
|
번호 | km | 정거장 | 급 | 환승 | 소재지 |
---|---|---|---|---|---|---|
100-3 | 연천 | 미운행
|
연천군 | |||
100-2 | 전곡 | |||||
100-1 | 청산 | |||||
100 | 0.0 | 소요산 | 동두천시 | |||
101 | 2.5 | 동두천 | ● | |||
102 | 4.1 | 보산 | ┃ | |||
103 | 5.5 | 동두천중앙 | ● | |||
104 | 6.5 | 지행 | ● | |||
105 | 12.1 | 덕정 | ● | 양주시 | ||
106 | 15.0 | 덕계 | ┃ | |||
107 | 20.3 | 양주 | ● | |||
108 | 21.9 | 녹양 | ┃ | 의정부시 | ||
109 | 23.2 | 가능 | ┃ | |||
110 | 24.4 | 의정부 | ● | 코레일 일반열차 | ||
111 | 26.0 | 회룡 | ● | ● 의정부경전철 | ||
112 | 27.4 | 망월사 | ┃ | |||
113 | 29.7 | 도봉산 | ● | ● 7호선 | 도봉구 | |
114 | 30.9 | 도봉 | ┃ | |||
115 | 32.2 | 방학 | ┃ | |||
116 | 33.9 | 창동 | ● | ● 4호선 | ||
117 | 34.9 | 녹천 | ┃ | |||
118 | 36.3 | 월계 | ┃ | ● 동북선 (예정) | 노원구 | |
119 | 37.4 | 광운대 | ● | ● 경춘선 (출퇴근 2왕복) | ||
120 | 38.5 | 석계 | 모두 정차
|
● 6호선 | ||
121 | 39.9 | 신이문 | 동대문구 | |||
122 | 40.7 | 외대앞 | ||||
123 | 41.5 | 회기 | ● 경의·중앙선, ● 경춘선 |
청량리~서울 (서울 도시철도 1호선)[편집 | 원본 편집]
- 도시철도 역 목록은 반대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상·하행이 도시철도 1호선과는 반대이기 때문입니다.
- 아래 역들은 모두 서울특별시에 있다.
노선
|
번호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소재지 | |
---|---|---|---|---|---|---|
서울 | 소요산 | |||||
서울 도시철도 1호선
|
124 | 7.8 | 42.9 | 청량리 (서울시립대입구) |
동대문구 | |
125 | 6.8 | 43.9 | 제기동 | ● 동북선 (예정) | ||
126 | 5.9 | 44.8 | 신설동 | ● 2호선 성수지선 (연결) ● 우이신설선 | ||
127 | 5.2 | 45.5 | 동묘앞 | ● 6호선 | 종로구 | |
128 | 4.6 | 46.1 | 동대문 | ● 4호선 | ||
129 | 3.8 | 46.9 | 종로5가 | |||
130 | 2.9 | 47.8 | 종로3가 | ● 3호선, ● 5호선 | ||
131 | 2.1 | 48.6 | 종각 | |||
132 | 1.1 | 49.6 | 시청 | ● 2호선 | 중구 | |
133 | 0.0 | 50.7 | 서울역 | 경부선 (연결): ■ KTX, 코레일 일반열차 경의선: ● 경의·중앙선 ● 4호선, ● 공항철도,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
서울~구로[편집 | 원본 편집]
- 아래 역들은 모두 서울특별시에 있다.
- 특: 경인선 특급
- B: 경부선 B급행 (서울~천안·신창, 평일 운행)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상행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노선
|
번호 | km | 정거장 | 특 | B | 환승 | 소재지 |
---|---|---|---|---|---|---|---|
133 | 50.7 | 서울 (지상) (B급행만 운행) |
미운행
|
● | 상단 참고 | 용산구 | |
134 | 52.4 | 남영 | ┃ | ||||
135 | 53.9 | 용산 | ● | ┃ | ■ KTX, ■ ITX-청춘, 코레일 일반열차 ● 경의·중앙선 ● 4호선 (신용산역, 환승 할인 없음) | ||
136 | 56.5 | 노량진 | ● | ┃ | ● 9호선 | 동작구 | |
137 | 58.0 | 대방 | ┃ | ┃ | ● 신림선 | 영등포구 | |
138 | 58.5 | 신길 | ┃ | ┃ | ● 5호선 | ||
139 | 59.8 | 영등포 | ● | △ | ■ KTX, 코레일 일반열차 ● 1호선 광명셔틀 ● 신안산선 (예정) | ||
140 | 61.3 | 신도림 | ● | ┃ | ● 2호선 본선 · 신정지선, ● 1호선 광명셔틀 | 구로구 | |
141 | 62.4 | 구로 | ● | ┃ | ● 1호선 경인선 · 경부선 · 광명셔틀 |
구일~인천[편집 | 원본 편집]
- 특: 특급
- 급: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노선
|
번호 | km | 정거장 | 특 | 급 | 환승 | 소재지 | |
---|---|---|---|---|---|---|---|---|
142 | 63.8 | 구일 | ┃ | ┃ | 구로구 | |||
143 | 64.8 | 개봉 | ┃ | ● | ||||
144 | 66.1 | 오류동 | ┃ | ┃ | ||||
145 | 68.0 | 온수 | ┃ | ┃ | ● 7호선 | |||
146 | 69.3 | 역곡 | ● | ● | 부천시 | |||
147 | 70.8 | 소사 | ┃ | ┃ | ● 서해선 | |||
148 | 71.9 | 부천 | ● | ● | ||||
149 | 73.6 | 중동 | ┃ | ┃ | ||||
150 | 74.6 | 송내 | ● | ● | ||||
151 | 75.8 | 부개 | ┃ | ┃ | 부평구 | |||
152 | 77.3 | 부평 | ● | ● | ● 인천 1호선 | |||
153 | 79.0 | 백운 | ┃ | ┃ | ||||
154 | 80.5 | 동암 | ┃ | ● | ||||
155 | 81.7 | 간석 | ┃ | ┃ | 남동구 | |||
156 | 82.9 | 주안 | ● | ● | ● 인천 2호선 | 미추홀구 | ||
157 | 83.9 | 도화 | ┃ | ┃ | ||||
158 | 84.9 | 제물포 | ┃ | ● | ||||
159 | 86.3 | 도원 | ┃ | ┃ | 동구 | |||
160 | 87.5 | 동인천 | ● | ● | 중구 | |||
161 | 89.4 | 인천 | 미운행 | ● 수인·분당선 |
가산디지털단지~신창[편집 | 원본 편집]
- A: A급행 (청량리~신창)
- B: B급행 (서울~천안·신창)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일부 평일 열차 정차, △: 일부 상행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노선
|
번호 | km | 정거장 | A | B | 환승 | 소재지 | |
---|---|---|---|---|---|---|---|---|
P142 | 64.8 | 가산디지털단지 | ● | ┃ | ● 7호선, ● 1호선 광명셔틀 | 금천구 | ||
P143 | 66.8 | 독산 | ┃ | ┃ | ● 1호선 광명셔틀 | |||
P144 | 68.0 | 금천구청 | ○ | ● | ● 1호선 광명셔틀 | |||
P145 | 70.3 | 석수 | ┃ | ┃ | ● 신안산선 (예정) | 안양시 | ||
P146 | 72.2 | 관악 | ┃ | ┃ | ||||
P147 | 74.6 | 안양 | ● | ● | 코레일 일반열차 ● 경강선 (예정) | |||
P148 | 76.8 | 명학 | ┃ | ┃ | ||||
P149 | 78.2 | 금정 | ● | ┃ | ● 4호선 | 군포시 | ||
P150 | 80.4 | 군포 | ┃ | ● | ||||
P151 | 82.0 | 당정 | ┃ | ┃ | ||||
P152 | 84.6 | 의왕 | ○ | ● | 의왕시 | |||
P153 | 87.5 | 성균관대 | ● | ● | 수원시 | |||
P154 | 90.1 | 화서 | ┃ | ┃ | ● 신분당선 (예정) | |||
P155 | 92.2 | 수원 | ● | ● | ■ KTX, 코레일 일반열차 ● 수인·분당선 | |||
P156 | 95.1 | 세류 | ┃ | ┃ | ||||
P157 | 99.4 | 병점 | ● | ● | ● 1호선 서동탄 방면 | 화성시 | ||
P158 | 101.8 | 세마 | ┃ | ┃ | 오산시 | |||
P159 | 104.5 | 오산대 | ┃ | ┃ | ||||
P160 | 107.2 | 오산 | ● | ● | 코레일 일반열차 | |||
P161 | 111.2 | 진위 | ┃ | ┃ | 평택시 | |||
P162 | 115.0 | 송탄 | ┃ | ┃ | ||||
P163 | 117.2 | 서정리 | ● | ● | 코레일 일반열차 | |||
P164 | 122.2 | 평택지제 | ┃ | ┃ | ■ SRT | |||
P165 | 125.7 | 평택 | ● | ● | 코레일 일반열차 | |||
P166 | 135.1 | 성환 | ● | ● | 코레일 일반열차 | 천안시 | ||
P167 | 140.5 | 직산 | ┃ | ┃ | ||||
P168 | 144.3 | 두정 | ● | ● | ||||
P169 | 147.3 | 천안 | ● | ● | 코레일 일반열차 | |||
P170 | 148.8 | 봉명 | ▲ | △ | ||||
P171 | 150.3 | 쌍용(나사렛대) | ▲ | △ | ||||
P172 | 151.8 | 아산 | ▲ | △ | ■ KTX, ■ SRT (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 코레일 일반열차 (장항선) |
아산시 | ||
P173 | 153.6 | 탕정 | ▲ | △ | ||||
P174 | 156.7 | 배방 | ▲ | △ | ||||
P176 | 161.6 | 온양온천 | ▲ | △ | 코레일 일반열차 | |||
P177 | 166.7 | 신창(순천향대) | ▲ | △ |
병점~서동탄[편집 | 원본 편집]
번호 | km | 정거장 | 환승 |
---|---|---|---|
P157 | 99.4 | 병점 | ● 1호선 경부선 |
P157-1 | 101.6 | 서동탄 | ● 동탄인덕원선 (예정) |
광명셔틀[편집 | 원본 편집]
번호 | km | 정거장 | 환승 |
---|---|---|---|
139 | 59.8 | 영등포 | ■ KTX, 코레일 일반열차 ● 1호선 |
140 | 61.3 | 신도림 | ● 1호선, ● 2호선 본선 · 신정지선 |
141 | 62.4 | 구로 | ● 1호선 |
P142 | 64.8 | 가산디지털단지 | ● 1호선 경부선, ● 7호선 |
P143 | 66.8 | 독산 | ● 1호선 경부선 |
P144 | 68.0 | 금천구청 | ● 1호선 경부선 |
P144-1 | 72.7 | 광명 | ■ KTX ● 신안산선, ● 경강선 (예정) |
각주
- ↑ 청량리~충주~대구 노선으로 현재의 중앙선과는 많이 다르다.
- ↑ 出願(출원)한中央線(중앙선)과地下鐵(지하철) 朝鮮交通(조선교통)의大動脈(대동맥)이다, 조선일보
- ↑ 地下鐵敷設(지하철부설)은 利權獲得運動(이권획득운동)?, 조선일보
- ↑ 京城市交通(경성시교통)의變革(변혁) 地下(지하),高架鐵道敷設(고가철도부설), 조선일보
- ↑ 서울에"地下鐵(지하철)"出願(출원)은 十年前(십년전)에벌써두사람, 조선일보
- ↑ 豫算緊縮(예산긴축)으로 鐵道工事大削减(철도공사대삭감), 동아일보
- ↑ 大京城(대경성)의發展(발전)따라 地下鐵道(지하철도)가出現(출현)!, 동아일보
- ↑ 防空體制下(방공체제하)의大京城設計成案(대경성설계성안), 동아일보
- ↑ 地下鐵計畫(지하철계화)의 技術者會議(기술자회의), 조선일보
- ↑ 交通量(교통량)에허덕이는京城(경성) 緩和(완화)의百年大計完成(백년대계완성), 동아일보
- ↑ 祭基町京城驛間(제기정경성역간)의 都心貫通(도심관통)할地下鐵(지하철), 조선일보
- ↑ 서울에도地下鐵道(지하철도), 동아일보
- ↑ 城東驛(성동역)에서東大門(동대문)까지 地下鐵敷設(지하철부설)을許可(허가), 동아일보
- ↑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428호
- ↑ 15.0 15.1 수도권전철 병점까지 연장, 문화일보
- ↑ 16.0 16.1 16.2 16.3 16.4 16.5 중간 역에 착발하는 열차도 있다.
- ↑ 극소수 하행 열차가 의정부에서 출발한다.
- ↑ 청량리역이나 광운대역 모두 회차 용량이 1선으로 부족한 탓에 분산을 위해서 떨어트려 놓은 것이다.
- ↑ 천안에서 착발하기도 한다.
- ↑ 구로나 천안에서 착발하기도 한다.
- ↑ 단, 선행 열차가 없을 경우 2선 본선으로 고속 통과한다.
- ↑ 20일부터 하루3회 서울驛(역)~水原(수원) 직통電鐵(전철)운행, 동아일보
- ↑ 1호선 전동열차 운행시각 일부 조정 알림, 레츠코레일 공지사항
- ↑ 아예 초기 계획상 복복선이 될 예정이었던 5호선 공간까지 다 쓴 케이스.
- ↑ 박쥐맨부터 황금장군까지… 1호선은 어쩌다 ‘빌런’ 성지 됐나, 조선일보, 2022년 4월 9일
- ↑ 경로우대 무료승차 제도를 활용하는 분들이 많다.
- ↑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 여섯 번째, 출퇴근 30분 시대 교통격차 해소 2024.01.25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수도권 30분시대)③철도·도로 지하화 속도낸다…재구조화로 '공간 혁신' 2024.01.25 아시아경제
박상우 국토부 장관 "기찻길 위 예쁜 빌딩…철도지하화 속도 내겠다" 2024.02.05 데일리안 - ↑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안
- ↑ (기자설명회) 길이 68㎞ 제2연트럴파크 생긴다… 서울시, 지상철도 全구간 지하화 본격 추진: 2024.10.23 서울특별시 보도자료
경기도,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선도사업’에 안산선·경인선·경부선 신청: 2024.10.23 경기도 뉴스포털
인천시, 경인전철 지하화 본격 추진: 2024.10.24 인천광역시 인천소식
수도권 전철 노선
| |||||
---|---|---|---|---|---|
서울 도시철도 및 연장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
인천 도시철도 | |||||
인천1 | 인천2 | ||||
일반철도 광역전철 |
|||||
경의중앙 | 경춘 | 수인분당 | 경강 | 서해 | |
공항철도 | 신분당 | GTX A | 신안산 | 동탄인덕원 | |
GTX B | GTX C | ||||
기타 | |||||
의정부 | 용인 | 김포 | 경기도 도시철도 |
대한민국 철도 노선
| |||||
---|---|---|---|---|---|
사업용철도 | |||||
고속 | 경부고속(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지선) | ||
준고속 | 경강(지선) (원주~강릉) |
서해(지선) (홍성~송산) |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
중부내륙 | 춘천속초 |
일반 | 경인(지선) | 경부(지선) | 경의(지선) | 호남(지선) | 경원 |
충북 | 경전(지선)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
동해(지선) | 중앙(지선) (안동~경주) |
영동(지선)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
안산(지선) | 과천 | 분당(지선) | 일산 | 신분당 | |
서해(지선) (대곡~원시) |
인천공항(지선) |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
진접선 | GTX A | |
동탄인덕원 | 신안산 | 남부내륙 | GTX B | GTX C | |
도시철도 | |||||
서울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위례신사 | ||
인천 | 1호선 | 2호선 | |||
부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사상하단 |
오륙도 | |||||
대구 | 1호선 | 2호선 | 3호선 | 엑스코 | |
광주 | 1호선 | 2호선 | |||
대전 | 1호선 | 2호선 | |||
경기도 | 하남 | 별내 | 도봉산옥정 | ||
기타 | 부산김해 | 의정부 | 용인 | 인천공항 자기부상 | 김포 |
양산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