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X-새마을

ITX-새마을 열차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중인 간선 여객 열차 등급. 2014년 5월 12일 첫 여객 영업을 시작했다.

상세[편집 | 원본 편집]

새마을호의 후신으로, 여객 요금도 기존 새마을호 일반실 요금을 받고 있다. 장기적으로 한국철도공사는 무궁화호 등급 폐지를 추진하고 있는데, 무궁화 등급이 폐지된다면 재래선 간선 여객열차 등급은 ITX-새마을로 통일될 것으로 보인다. 열차 등급으로 ITX-청춘과 같은 등급이라 보기 쉬운데, ITX-청춘은 열차가 20분 이상 지연되었을 때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준고속 취급이나 ITX-새마을은 열차가 40분 이상 지연되었을 때 열차 지연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일반열차 취급이다. 이를 의식해서인지 차량의 영업 최고속도도 기존선 스펙에 충실한 150 km/h로 설정되었다.

엄밀하게 따지자면 현 새마을호의 등급이 무궁화호와 비슷한 간선급행급이라면, ITX-새마을은 그보다는 미묘하게 상위급으로 묶는듯 하다. 당초 새마을호 대체 열차는 최고시속 180km의 '비츠로(Vitzro)'라는 프로젝트로 추진되었으나 무산되었다.[1]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차량[편집 | 원본 편집]

2016년 현재 ITX-새마을 등급은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가 전담으로 투입되어 운행중이다. 리미트 개수형 객차는 새마을호 등급으로 운행하므로 그쪽 문서를 보자. 장기적으로 무궁화호 등급을 폐지하고 간선열차를 모두 전동차로 변환하려는 기조에 따라 EMU-150 신형 전기동차 도입이 진행중이며 이 열차 역시 ITX-새마을 등급으로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210000호대 기준 일단 좌석 공간 자체는 무궁화호보다 훨씬 넓어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구형 새마을호의 안락한 레그시트에 익숙하던 사람이라면 ITX-새마을의 좌석은 좀 딱딱하다고 덜 안락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래도 뒤쪽에 목베게(?) 역할을 해 주는 것이 있는 것 정도에 위안을 삼도록 하자. 2017년부터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계통[편집 | 원본 편집]

과거 새마을호가 운행했던 노선을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장거리 노선의 핵심축인 경부축과 호남축은 이미 KTX가 여객수요를 담당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ITX-새마을이 투입되는 횟수는 적은 편이다. 무엇보다도 고질적인 금천구청역 이북의 선로용량 포화상태 문제로 쉽사리 해당 축선에 증차를 하기도 어렵기 때문. 포항행 새마을호는 동해선 KTX 개통과 함께 폐지되었다.

ITX-새마을은 전기 동차이므로 비전화 구간은 운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장항선은 계속 객차형 새마을호(깔맞춤은 해둠)으로 운용한다.

  • 2022년 7월 31일 시간표 기준
  • 굵은 글자: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역

경부선 계열[편집 | 원본 편집]

경부선 (1000번대, 1020번대)
1000번대는 서울~부산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020번대는 서울~신해운대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2016년 12월 9일 신설되었다.
경전선 (1030번대)
서울~진주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로, 새마을호 시절에는 PP동차 도입과 함께 마산역으로 단축되었던 것을 다시 원상복구한 형태. 16년 12월 시각표 개정으로 1왕복이 더 추가되었다.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경부선 1000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 하루 7왕복
경부선 1020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영동[6] - 김천 - 구미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구포 - 부전 - 신해운대 평일 1왕복
휴일 2왕복
경전선 1030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7] - 청도[8]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 하루 2왕복

호남선 계열[편집 | 원본 편집]

호남선 (1060번대, 1070번대)
1060번대는 용산~목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070번대는 용산~광주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전라선 (1080번대)
용산~여수엑스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전라선 계통 역시 KTX가 투입되면서 새마을 때보다 운행횟수가 대폭 감편되었다.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호남선 106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9]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10]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하루 2왕복
호남선 107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 하루 4왕복
전라선 108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11] - 천안 - 조치원[12]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하루 2왕복

폐지된 계통[편집 | 원본 편집]

중앙선 (1070번대)
청량리 ~ 영주 구간을 운행했던 계통으로, 열차번호는 1070번대였다. 2021년 1월 5일 상위 열차인 KTX-이음으로 대체되었다.

각주

  1. 코레일, 무궁화호 대체 친환경열차 운행, 연합뉴스, 정찬욱
  2. 간선형 전기동차 열차명 공모전 선정결과 알림, 한국철도공사
  3. "신형 새마을호 'ITX-새마을'로 불러주세요", 연합뉴스, 이은중
  4. 코레일, 'ITX-새마을' 첫 시험 운행 돌입, 뉴시스, 박희송
  5. 새마을호 열차 대체 'ITX-새마을' 첫 운행, 연합뉴스, 정찬욱
  6. 평일 상행 1편성(1022)만 정차
  7. 하행 1편성(1031)만 정차
  8. 상행 1편성(1032)만 정차
  9. 하행만 정차
  10. 상행만 정차
  11. 하행만 정차
  12. 하행 1편성(1081)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