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중인 간선 여객 열차 등급. 2014년 5월 12일 첫 여객 영업을 시작했다.
새마을호의 후신으로, 여객 요금도 기존 새마을호 일반실 요금을 받고 있다. 무궁화호 등급 폐지 이후 재래선 간선 여객열차 최저 등급을 계승할 것으로 보인다. 열차 등급으로 ITX-청춘과 같은 등급이라 보기 쉬운데, ITX-청춘은 열차가 20분 이상 지연되었을 때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반면 ITX-새마을은 열차가 40분 이상 지연되었을 때 열차 지연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엄밀하게 따지자면 현 새마을호의 등급이 무궁화호와 비슷한 간선급행급이라면, ITX-새마을은 그보다는 미묘하게 상위급으로 묶는듯 하다.
2 차량[편집]

2016년 현재 해당 등급은 코레일 210000호대 전동차 23편성으로 운행중이다. 리미트 개수형 객차는 새마을호 등급으로 운행하므로 그쪽 문서를 보자.
일단 좌석 공간 자체는 무궁화호보다 훨씬 넓은, 상대적으로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구형 새마을호의 안락한 레그시트에 익숙하던 사람이라면 ITX-새마을의 좌석은 좀 딱딱하다고 덜 안락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래도 뒤쪽에 목베게(?) 역할을 해 주는 것이 있는 것 정도에 위안을 삼도록 하자.
과거 새마을호가 8량[1] 1편성으로 구성되어 중간객차인 4호차에 카페칸이 연결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현 ITX-새마을의 전동차는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별도의 카페칸이 없기 때문에 만일 장거리로 이 열차를 이용하게 된다면 무조건 먹을 것을 미리 챙겨 탑승하도록 하자. 차내 자판기가 있지만, 딱히 배를 채울만한 건 없는 편.
- 남자 화장실 : 1호차, 6호차
- 여자 화장실 : 1호차
- 수화물 선반 :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 장애인 화장실 : 3호차
- 전동 휠체어석 : 3호차
- 일반 휠체어석 : 3호차
- 자판기 : 3호차, 4호차
- 수유실 : 6호차
편의시설이 3호차에 집중되어 있는 편이다. 전동 휠체어석, 일반 휠체어석은 장애인이 탑승하지 않을 시 그냥 빈공간이기 때문에 명절이나 연휴에 많은 입석 승객이 생기면, 입석 승객들의 휴식처가 된다. 또한 넓은 화장실인 장애인 화장실이 3호차에 위치해있고, 자판기도 3호차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3호차가 상대적으로 편리하다 말할 수 있다.
3 운행 노선[편집]
과거 새마을호가 운행했던 노선을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장거리 노선의 핵심축인 경부축과 호남축은 이미 경부고속철도와 호남고속철도가 여객수요를 담당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ITX-새마을이 투입되는 횟수는 적은 편이다. 무엇보다도 고질적인 금천구청역 이북의 선로용량 포화상태 문제로 쉽사리 해당 축선에 증차를 하기도 어렵기 때문. 포항행 새마을호는 동해선 KTX 개통과 함께 폐지되었다.
동차형의 경우 특성상 비전화 구간은 운행하지 못한다. 대표적인 비전화 노선인 장항선은 계속 객차형 새마을호(깔맞춤은 해둠)으로 운용한다.
4 각주
- ↑ PP동차형은 전후 동력객차 2량, 일반객차 5량, 카페객차 1량 구성, 객차형은 기관차, 발전차, 일반객차 5량, 카페객차 1량 구성
코레일의 열차 등급 | ||||||
---|---|---|---|---|---|---|
고속 | 특급 | 급행 | 일반 | 수도권 전철 | 관광열차 | 폐지됨 |
KTX | ITX-청춘 | ITX-새마을 새마을호 |
통근열차 | 급행 | 관광열차 | 문서 참조 |
무궁화호 | 일반 | |||||
누리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