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전기기관차 | |
---|---|
![]() 8501호 |
|
철도차량 정보 | |
운영 | 한국철도공사 |
제작 | 현대로템 |
제작연도 | 2012 ~ 2014 |
생산량 | 87량 |
제원 | |
전장 | 22,800 mm |
궤간 | 1435 mm |
최고속도 | 150 km/h |
출력 | 6,900 kW |
전기 | 교류 25 kV, 60 Hz, 팬터그래프 |
제어 | VVVF-IGBT |
보안 | ATP |
노후된 8000호대 전기기관차의 대체를 위해 신조된 전기기관차.
1 도입 배경[편집]
한국철도공사의 화물 견인은 주로 8000호대 전기기관차나 7500호대 디젤기관차가 담당해 왔으나 8000호대의 노후화와 유가 상승으로 인한 7500호대의 유지비 상승으로 인해 곤란한 처지에 놓여있었다. 그 일환으로 8100호대 전기기관차 및 8200호대 전기기관차가 도입되었으나 가벼운 차중으로 인해 화물 운송에 적합하지 않음이 판명되어서 8000호대에 연명공사를 하며 낡은 차량을 근근히 굴려왔다.
연명공사마저도 약발이 다한 시점이 되자 급히 8000호대 수량에 거의 맞먹는 87량을 발주했다.
2 특징[편집]
대우중공업이 8000호대~8200호대로 쌓아놓은 기술적 토대를 바탕으로 현대로템이 직접 설계·생산한 차종이다.
8000호대보다 약 2배 강한 출력과 Co-Co 대차를 가져 강력한 화물 견인이 가능하다. 또한 최대 영업 속도가 여객 수준과 동등해져 고속 화물 운반이 가능해졌다. 여객 견인에도 사용할 수 있으나 객차전원공급장치가 없어서 시끄러운 발전차를 달고 다녀야 한다.
3 현황[편집]
- 8501 ~ 8528 (2012년 도입분)
- 8529 ~ 8556 (2013년 도입분)
- 8557 ~ 8587 (2014년 도입분)
- 8569: 2017년 9월 13일 중앙선 열차 충돌 사고로 경미한 손상을 입었다.
4 참고 문헌[편집]
- <화물용 신형전기기관차 8500호대>, 최연수, 레일러 Vol.12
5 각주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차량
| ||||||
---|---|---|---|---|---|---|
고속철도 | 100 KTX | 110·140 KTX-산천 | 120·130 SRT | 150 KTX-이음 | EMU-320 | |
간선형 전동차 | 200 누리로 | 210 ITX-새마을 | 368 ITX-청춘 | EMU-150 | ||
통근형 전동차 | 3000 | 3x1 VVVF 1세대 | 3x1 VVVF 2세대 | 3x1 VVVF 3세대 | 3xx VVVF 4세대 | |
디젤기관차 | 4400 | 7x00 특대형 | 7600 | |||
전기기관차 | 8000 | 8100 · 8200 | 8500 | |||
디젤동차 | 9000 RDC | 9500 CDC | ||||
퇴역 차량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차량 문서를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