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3세대) |
|
---|---|
![]() |
|
철도차량 정보 | |
운영 | 한국철도공사 |
구조 | 1편성 10량/6량/4량/2량 |
제원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엔진 | WN드라이브 |
제동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 제동 |
전기 | 교류 25 kV, 60 Hz, 팬터그래프 |
제어 |
AC VVVF 인버터 1C4M IGBT |
보안 |
ATS(동해선·1호선) ATC(3·4호선) ATS·ATP(대구권) |
현대로템에서 제작하고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하는 통근형 전동차이다.
성능상 VVVF 3세대와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초기 디자인의 전두부 형상이 툭 튀어나온 형상이 철도 동호계에서는 마치 오리 주둥이처럼 보인다는 이유로 주둥이라는 못마땅한 별칭을 붙여주기도 하였다. 이후 개정된 디자인 시안이 나오면서 주둥이 논란은 다소간 사그라들었다. 이는 철도안전법의 충돌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타오름 방지장치가 커졌으며 그 뒤에 CEM을 장착했기 때문이다.
3세대까지만 해도 차내 여객안내기가 LCD인 경우 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처럼 LCD를 2개 설치하고(앞뒤 총 4개), 양쪽 화면에 똑같은 내용만 띄우면서 광고화면이 안내화면보다 크게 나와서 불편함이 많았으나, 3세대부터는 한쪽 LCD를 안내전용으로 바꿔서 안내 시인성이 매우 좋아졌다. 부가적으로 운전실 윈드실드에 설치된 와이퍼가 1단에서 1개가 늘어난 좌우 2단으로 늘어나게 되었는데[1], 이는 KTX-산천 2세대 차량의 경우와 동일하게 비상시 백업용으로 공압식 와이퍼를 추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크게 2018년, 2019년, 2021~2024년 차량으로 나뉜다.
차량 | 제작 연도 |
---|---|
3000호대 2차 | 2022~2023 |
310000호대 4차 | 2019 |
310000호대 5차 | 2021~2022 |
319000호대 2차 | 2019 |
331000호대 3차 | 2024 |
341000호대 1차 | 2019 |
341000호대 2차 | 2021~2022 |
341000호대 3차 | 2024 |
351000호대 5차 | 2021~2022 |
351000호대 6차 | 2023~2024 |
361000호대 2차 | 2024 |
381000호대 2차 | 2018 |
392000호대 1차 | 2023~2024 |
381 2차 (2018)[편집 | 원본 편집]
동해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차량이다. 태화강 연장 개통을 위해 도입했다.
7편성(28칸)을 생산했으며 차량 목록은 다음과 같다.
차량 | 제작연도 | 설명 |
---|---|---|
38111~38117 | 2018년 | 4량 편성. |
방향 | ← 상행 하행 →
| |||
---|---|---|---|---|
호차 | 1호차 | 2호차 | 3호차 | 4호차 |
차량 | 3810__ Tc |
3811__ M' |
3812__ M' |
3819__ Tc |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310 4차, 319 2차, 341 1차 (2019)[편집 | 원본 편집]
각각 1호선과 4호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차량이다. 노후 전동차 대체와 연천 셔틀용으로 함께 발주했다.[2]
도색 스타일이 크게 달라지면서 동해선 투입분과 달리 날렵해 보이는 인상이다. 그런데 앞선 차량과 달리 초기운용에 상당한 애로사항을 겪고 있다. 누리로처럼 승강장과 간섭이 나거나, 팬터그래프의 수전에 문제가 있거나, 스크린도어 정위치 정차장치와 호환이 안 되는 등 진통이 상당하다.
- 310000호대
- 10량으로 구성된 차량이며, 4편성이 제작되었다.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신저항) 일부를 대체한다.
- 319000호대
- 6량으로 구성된 차량이며, 3편성이 제작되었다. 연천 셔틀(연천~광운대)로 사용하려 했으나, 연천~인천간 10량 전동차가 투입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되면서 6량 편성이 운행 가능한 수인분당선(인천~오이도)에 투입되는 중이다. 운행에 문제가 있어 싱글암 팬터그래프를 더블암으로 변경했다.
- 341000호대
- 10량으로 구성된 차량이며, 7편성이 제작되었다. 2000호대 1세대 차량 일부를 대체한다.
총 14편성(128칸)을 생산했으며 차량 목록은 다음과 같다.
차량 | 제작연도 | 설명 |
---|---|---|
31204~31207 | 2019년 | 10량 편성. |
31908~31910 | 2019년 | 6량 편성. |
34131~34137 | 2019년 | 10량 편성. |
310 5차, 341 2차, 351 5차, 3000 2차 (2021~2023)[편집 | 원본 편집]
각각 1호선, 4호선, 수인·분당선과 3호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차량이다. 노후 전동차 대체를 위해 함께 발주했다.[3]
- 310000호대
- 10량으로 구성된 차량이며, 8편성이 제작되었다. 남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신저항)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 341000호대
- 10량으로 구성된 차량이며, 18편성이 제작되었다. 남은 2000호대 1세대 차량을 대체한다. 1호선 차량 부족으로 1호선에 먼저 투입되었다.
- 351000호대
- 6량으로 구성된 차량이며, 18편성이 제작되었다. 2000호대 1세대 차량 일부를 대체한다.
- 3000호대
- 10량으로 구성된 차량이며, 8편성이 제작되었다. 1차분 일부를 대체한다. 위 차량들과 달리 운행 최고속도는 90km/h이고, 더블암 팬터그래프를 사용한다.
총 52편성(448칸)을 생산했으며 목록은 다음과 같다.
차량 | 제작연도 | 설명 |
---|---|---|
31208~31214 | 2021년 | 10량 편성. |
31215 | 2022년 | 10량 편성. |
34138~34140 | 2021년 | 10량 편성. |
34141~34155 | 2022년 | 10량 편성. |
35144~35147 | 2021년 | 6량 편성. |
35148~35160 | 2022년 | 6량 편성. |
35179 | 2022년 | 6량 편성. |
387~393 | 2022년 | 10량 편성. |
394 | 2023년 | 10량 편성. |
392 1차 (2023~2024)[편집 | 원본 편집]
대경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차량이다. 중전철이면서도 운행환경에 맞추어 2량 1편성으로 조성되었다. 2량이기 때문에 무동력차는 존재하지 않으며, 1위측은 무동력대차, 2위측은 동력대차로 구성되어 MT비는 1:1을 유지했다.
차량 | 제작연도 | 설명 |
---|---|---|
39201~39207 | 2023년 | 2량 편성. |
39208~39209 | 2024년 | 2량 편성. |
방향 | ← 상행 하행 →
| |
---|---|---|
호차 | 1호차 | 2호차 |
차량 | 3920__ M'c |
3929__ M'c |
- M'c: 동력객차(운전실), 집전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공기압축기, 축전기
341 3차, 351 6차 (2023~2024)[편집 | 원본 편집]
각각 4호선과 수인·분당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차량이다. 노후 전동차 대체를 위해 함께 발주했다.[4]
- 341000호대
- 10량으로 구성된 차량이며, 5편성이 제작되었다. 2000호대 2세대 차량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 351000호대
- 6량으로 구성된 차량이며, 4편성이 제작되었다. 남은 2000호대 1세대 차량을 대체한다.
총 9편성(74칸)을 생산했으며 목록은 다음과 같다.
차량 | 제작연도 | 설명 |
---|---|---|
34156~34160 | 2024년 | 10량 편성. |
35180~35181 | 2023년 | 6량 편성. |
35182~35183 | 2024년 | 6량 편성. |
331 3차, 361 2차 (2024)[편집 | 원본 편집]
각각 경의·중앙선과 경춘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차량이다. 창릉 및 왕숙신도시 입주를 대비한 증차를 위해 함께 발주했다.[5]
- 331000호대
- 8량으로 구성된 차량이며, 1편성이 제작되었다.
- 361000호대
- 8량으로 구성된 차량이며, 2편성이 제작되었다.
총 3편성(24칸)을 생산했으며 목록은 다음과 같다.
차량 | 제작연도 | 설명 |
---|---|---|
33128 | 2024년 | 8량 편성. |
36116~36117 | 2024년 | 8량 편성. |
편성[편집 | 원본 편집]
10량[편집 | 원본 편집]
방향 | ← 상행 하행 →
| |||||||||
---|---|---|---|---|---|---|---|---|---|---|
호차 | 1호차 | 2호차 | 3호차 | 4호차 | 5호차 | 6호차 | 7호차 | 8호차 | 9호차 | 10호차 |
차량 | 3120__ 3410__ 30__ Tc |
3121__ 3411__ 31__ M |
3122__ 3412__ 32__ M' |
3123__ 3413__ 33__ T |
3124__ 3414__ 34__ M' |
3125__ 3415__ 35__ T1 |
3126__ 3416__ 36__ T |
3127__ 3417__ 37__ M |
3128__ 3418__ 38__ M' |
3129__ 3419__ 39__ Tc |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T1: 무동력객차,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6량[편집 | 원본 편집]
방향 | ← 상행 하행 →
| |||||
---|---|---|---|---|---|---|
호차 | 1호차 | 2호차 | 3호차 | 4호차 | 5호차 | 6호차 |
차량 | 3190__ Tc |
3191__ M |
3192__ M' |
3193__ T |
3194__ M' |
3199__ Tc |
방향 | ← 상행 하행 →
| |||||
---|---|---|---|---|---|---|
호차 | 1호차 | 2호차 | 3호차 | 4호차 | 5호차 | 6호차 |
차량 | 3510__ Tc |
3511__ M |
3512__ M' |
3513__ M |
3514__ M' |
3519__ Tc |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2.5세대) - 철도 동호인들은 흔히 뱀눈이, 삼눈이로 부르는 계열.
각주
- ↑ 3세대 전동차도 후기형 모델은 2단 와이퍼가 적용되었다.
- ↑ 현대로템, 코레일 전기동차 128량 사업 낙찰, 현대로템 공식 블로그
- ↑ 현대로템, 코레일 노후 전동차 교체 사업 수주, 현대로템 블로그
- ↑ 코레일, 4호선ㆍ수인분당선 신조 전동차 74량 "기술형입찰" 발주, 철도경제
- ↑ 창릉ㆍ왕숙 신도시 대비 전동차 발주…경춘선 셔틀열차 개통 연기되나, 철도경제
한국철도공사 소속 철도차량
| |||||
---|---|---|---|---|---|
고속철도 | 100 KTX | 110·140 KTX-산천 | 120 SRT 대여 | 150 KTX-이음 | 160 KTX-청룡 |
간선형 전동차 | 200 누리로 | 210 ITX-새마을 | 220 ITX-마음 | 368 ITX-청춘 | |
통근형 전동차 | 3000 | 3x1 VVVF 1세대 | 3x1 VVVF 2세대 | 3x1 VVVF 2.5세대 | 3xx VVVF 3세대 |
전기기관차 | 8000 | 8100 · 8200 | 8500 | ||
디젤기관차 | 4400 | 7x00 특대형 | 7600 | ||
퇴역한 차량은 한국철도공사 문서를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