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이슈 트래커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동해선 광역전철

분류:
  • 동해선
  • 광역철도
숨은 분류:
  • 유튜브 영상이 포함된 문서
부산 도시철도 및 연계 전철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




목차

  • 1 개요
  • 2 운임
  • 3 역 목록
    • 3.1 연장 예정 (일광 - 태화강)
  • 4 각주

1 개요[편집]

2016년 12월 30일 동해선 복선전철 개통에 따라 부전역부터 일광역까지 28.5 km, 14개역 구간에 코레일 통근형 VVVF 전동차(381)를 이용해 광역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수도권 외 지역으로는 최초의 운행으로, 2019년 경에 울산광역시 태화강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며, 2020년 경에 개통하는 부전마산선 (경전선)과도 연계 운행이 계획되어 있다.

동해남부선 전철 구상은 굉장히 오래된 것으로, 이미 1995년에 공사가 시작되었지만, IMF가 터지고 수도권에 예산 집중이 가속화되면서 상대적으로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의 중요성을 떨어지는 것으로 취급하다보니 20년도 넘게 걸려 개통하게 되었다.

노선색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을 대표하는 색상을 따라 코레일 블루로 결정되었다. 운영은 한국철도공사 광역본부 및 부산경남본부에서 하고 있다. 배차간격은 평일 출퇴근 시간대 약 15분, 평시 약 30분, 휴일 낮 시간대 약 25분 간격의 구성으로 배차가 비교적 불규칙한 편이다. 차량 자체는 수가 어느 정도 확보되었음에도 배차간격이 넓은 것은 수요 예상이 아주 높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부산에서의 지원금이 부족했던 탓이 가장 크며, 이 때문에 연선 주민들을 시작으로 이용 불편에 대한 민원이 많이 제기되고 있는 편이다.

2 운임[편집]

전용 정기승차권

운임은 부산 도시철도의 기준을 준용하고 있으나, 승차권은 부산 도시철도에서 사용되는 마그네틱권 대신 부산김해경전철과 유사한 토큰을 사용한다. 수도권 전철과 다르게 부산 도시철도와 운임구역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일단 연락 운송을 체결, 교통카드 뿐이지만 일단 부산시내버스나 부산 도시철도와의 환승이 인정된다. 다만 부산김해경전철이나 김해·양산 시내버스와는 환승되지 않는다. 다만 동해선 개찰기의 사용 제한이 큰 편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후불 교통카드의 지원 범위가 협소하여(신한, 현대, 농협, BC, 롯데, 하나, 국민)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편이다.

동해선의 정기승차권은 레일플러스 기반 RF카드 형식으로 발급되며, 자재는 역무원한테서 살 수 있으며 2,000원을 받는다. 30일 60회권을 55,000원에 입력한다. 1구간 이용시 42회, 2구간 이용시 36회에 본전이 맞게 된다. 부산교통공사 정기승차권과 호환되지 않으므로 이 정기권으로 부산 도시철도나 부산김해경전철은 탈 수 없다.

3 역 목록[편집]

  • 새 / ITX-새마을, 무 / 무궁화
  • ● / 필수 정차역, ■ / 일부 열차 통과역, ▲ / 일부 열차 정차역, | / 통과역
km 역 번호 역명 새 무 환승
4.6 K110 부전 釜田 ● ● ● 1호선
6.9 K111 거제해맞이 巨堤해맞이 | |
7.9 K112 거제 巨堤 | | ● 3호선
8.6 K113 교대 敎大 | | ● 1호선
9.8 K114 동래 東萊 | | ● 4호선 (낙민역)
10.7 K115 안락 安樂 | |
13.0 K117 재송 栽松 | |
K116 원동 院洞 | |
14.0 K118 센텀 - | ■
15.4 K119 벡스코 - | | ● 2호선
19.9 K120 신해운대 新海雲臺 ● ●
22.8 K121 송정 松亭 미운행 구간 |
23.9 K122 오시리아 - |
29.6 K123 기장 機張 ●
32.6 K124 일광 日光 |

3.1 연장 예정 (일광 - 태화강)[편집]

km 역 번호 역명 무 환승
37.9 K125 좌천 佐川 ■
41.3 K126 월내 月內 ■
44.2 K127 서생 西生 |
52.7 K128 남창 南倉 ■
K128 망양 望陽 ■
62.0 K130 덕하 德下 ■
64.5 K131 선암 仙岩 |
69.3 K132 태화강 太和江 ●
K133 송정 松亭 ●

4 각주

Ambox move.png
이 문서 내용의 일부는 동해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이 문서는 2019년 11월 26일 (화) 00: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브레위키 협동조합 | 대표이메일 : coop@librewiki.net (수신전용)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