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이슈 트래커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구로역

분류:
  • 서울 구로구의 철도역
  • 경부선
  • 경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전철역
  • 구로관리역
KORAIL 구로역
역 번호  141 
역 코드 AFC: 1701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중앙로 174
개업일 1973년 12월 1일
관할 한국철도공사 (KORAIL)
승강장 5면 9선
노선
  • 경부선 11.7 km
  • 경인선 0.0 km
  • 구로기지선 0.0 km

구로역
九老驛 / Guro Station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중추역

목차

  • 1 개요
  • 2 역 구조
    • 2.1 승강장
  • 3 주변 정보
  • 4 역사
    • 4.1 연혁
  • 5 경유 노선
    • 5.1 수도권 전철
  • 6 각주

1 개요[편집]

경부선과 경인선의 분기점에 놓인 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운행상 가장 중요한 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핵심 차량사업소인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복복선 형태가 조정되고 분기하는 양 본선이 모이며, 급행/완행 운행의 경계가 되기도 하기 때문.

2 역 구조[편집]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광역전철역으로, 여객에 사용되는 승강장만 5면 9선에 이른다. 인근에 구로차량사업소와 그를 잇는 구로기지선이 있어서 구로발 혹은 구로역 종착 열차가 이 역에서 영업을 시작하거나 종료하기도 하며, 급행선로로 운영됨에도 불구하고 용산역부터 각역정차해 구로역에서 종착하는 급행선 경유 열차(단 정차역이 완행과 동일함)도 있다. 이 운행계통은 한 때 용산역에서 구로역까지 급행임에도 불구하고 정차역이 완행과 같으나 버젓이 구로급행이라는 행선지 안내판을 달고 있기 때문에 철도 동호인들로부터 구라급행이라고 불리기도 했다.[1]

또한, 경부선 가산디지털단지역이나 경인선 구일역으로 가는 열차가 이 역부터 각기 다른 선로로 분기를 하며, 이 역에서 다른 방향으로 가는 열차를 갈아탈 경우 계단을 오르내려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에 전 역인 신도림역에서의 환승을 운영 주체 차원에서도 추천하고 있다.

2.1 승강장[편집]

인근 배선도
↑ 역사 방향 (북쪽)
1 201 경부선 2선 완행선 상행 ●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 서울역 · 청량리 · 광운대 방면 (경부선 계통)
2 서울역 · 청량리 · 소요산 방면 (경인선 계통)
3 201 경부선 2선 전철선 하행 수원 · 천안 · 신창 방면
4 301 경인선 2선 완행선 하행 부천 · 부평 · 인천 방면
5 201 경부선 3선 급행선 상행 ●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 신도림 · 영등포 · 용산 방면 (경부선 계통)
6 201 경부선 1선 열차선 상행 신도림 · 영등포 · 용산 방면 (경인선 계통)
7 2017 구로기지선 하행 ● 수도권 전철 1호선 구로기지 입출고 열차 (당역 시종착)
301 경인선 1선 급행선 하행 ●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 부천 · 부평 · 동인천 방면
8
9 201 경부선 2선 전철선 하행 수원 · 평택 · 천안 방면

이 외에 5/9번 승강장에서는 이른바 광명셔틀이라 불리는 광명역 접속 열차가 운행되며, 경부선 하행 방면에서의 구로 종착 열차가 운행 되는 경우 이용하는 승강장이기도 하다.

승강장 배분이 노선별로 직관적이지 않아 익숙하지 않은 경우엔 혼란을 겪기 쉽다. 하지만, 경부2선 하행과 경인2선 상행 간, 경부3선 상행과 경인2선 하행 간에는 평면환승이 제공되는 구조여서 잘 노리고 이용하면 의외로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3 주변 정보[편집]

역 인근에 AK플라자 구로본점과 CGV 구로점 같은 상업시설과, 다양한 공구를 판매하는 구로공구상가가 역 인근에 있다. 또한 중앙유통단지도 이 역에서 도보 7분 거리에 자리잡고 있다.

4 역사[편집]

4.1 연혁[편집]

  • 1973년 12월 1일 - 구로남신호소로 개업함.
  • 1974년 8월 1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구로기지선 정비가 이루어지고, 정식으로 역으로서 개업함.

5 경유 노선[편집]

경유 노선 목록
한국철도공사 (KORAIL)
302 경부선
(11.7 km)
서울 방면
신도림 1.1 km
← 구로 → 부산 방면
가산디지털단지 2.4 km
301 경인선
(0.0 km)
(기점) ← 구로 → 인천 방면
구일 1.4 km
30203 구로기지선
(0.0 km)
(기점) ← 구로 → 구로기지 방면
구로기지 1.4 km

5.1 수도권 전철[편집]

수도권 전철 1호선
광운대 방면
 140  신도림 1.1 km
←  141  구로
경부선 계통
→ 서동탄 · 신창 방면
 P142  가산디지털단지 2.4 km
용산 방면
 140  신도림 1.1 km
←  141  구로
경인선 급행
→ 동인천 방면
 143  개봉 2.4 km
소요산 방면
 140  신도림 1.1 km
←  141  구로
경인선 완행
→ 인천 방면
 142  구일 1.4 km

6 각주

  1. ↑ 단, 동인천역발 구로급행은 해당되지 않는다.
  • 이 문서는 2019년 11월 15일 (금) 00: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브레위키 협동조합 | 대표이메일 : coop@librewiki.net (수신전용)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