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 |
---|---|
![]() |
|
종류 | 공기업 |
창립 | 2017년 5월 31일 |
이전회사 | 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본사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 346 |
자본금 | 20조 6,751억 2,872만 3,107원 |
매출액 | 2조 46억 4,340만 2,499원 |
영업이익 | -5,324억 373만 9,298원 |
순이익 | -5,864억 6,726만 8,145원 |
자산총액 | 13조 1,990억 4,479만 7,484원 |
자회사 | 서울메트로환경, 서울도시철도그린환경, 서울도시철도엔지니어링, 서해철도, 김포골드라인운영 |
종업원 | 17,046명 |
웹사이트 | www.seoulmetro.co.kr |
2017년 5월 31일 출범한 서울특별시의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공기업이다.
2016년까지 서울특별시의 양대 지하철 공기업인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를 하나의 지하철 운영사로 통합하는 계획의 결과물이며, 11월 19일 부터 24일까지 치러진 노조원 투표에서 74.4%의 찬성표가 나오면서 통합이 확정되었다.[1] 통합회사의 명칭은 공모전을 통해 다수의 선택을 받은 서울교통공사로 확정되었으며, 영문명칭은 Seoul Metro로 유지되었다.[2]
통합으로 인해 연간 약 210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3] 하지만 대부분의 조직이 서울메트로 조직과 서울도시철도공사 조직을 수평적으로 합쳐놓은 것이라 효율적인 조직 구성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 통합 이전부터 역사 관리를 통합한 환승역들을 제외하면 여전히 환승역에는 서메/도철 각각에서 꾸려놓은 역무 조직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며, 시설 조직도 서울메트로 조직(제1사업소)과 도시철도공사 조직(제2사업소)가 공존하고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2014년 12월 11일: 서울특별시, 지하철 양대 공기업 통합안 발표.[4]
- 2016년 3월 17일: 서울메트로·서울도시철도공사 통합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 마련.[5]
- 2016년 3월 29일: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노조원들이 노사정 합의 찬반투표를 진행하여 52.7%의 반대로 통합안이 부결됨.[6]
- 2016년 3월 31일: 통합 논의 잠정중단.[7]
- 2016년 11월 19일: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노조원들이 2차 찬반투표를 진행하여 74.4%의 찬성으로 통합안이 가결됨.
- 2016년 12월 2일: 통합될 공사의 명칭이 공모를 통해 선정된 서울교통공사로 확정됨.
- 2017년 3월 3일: 서울특별시의회에서 <서울교통공사 설립·운영에 관한 조례> 제정안 가결.[8]
- 2017년 5월 31일: 서울교통공사 출범[9]. 기존 법인은 해산된다.
- 2018년 11월 28일: 자회사인 서울메트로9호선운영가 담당하던 9호선 언주 ~ 중앙보훈병원 구간을 직영으로 전환[10][11]
- 2022년 1월 1일: 까치울 ~ 부평구청 구간의 운영권을 인천교통공사로 이관[12] 및 해당 구간을 담당하는 부천영업사업소 폐지
조직[편집 | 원본 편집]
5실 7본부 1부문 | 부속기관 |
---|---|
|
|
자회사[편집 | 원본 편집]
- 서해철도
- 서해선 소사~원시 구간의 역사 및 시설물을 관리·운영하는 기업으로, 2018년 1월 12일에 설립되었다.
- 설립 당시에는 이름이 소사원시선운영이었지만, 2018년 5월 25일에 소사원시운영으로 바꾸었고, 2018년 06월 16일 현재의 이름으로 다시 한번 바꾸었다.
- 지티엑스에이운영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을 위탁 운영한다. 2023년 10월 25일 설립되었다.
- 서울메트로환경
- 1~4호선의 청소와 청사 별관(사당, 대림, 동대문, 신답) 및 1~4호선의 차량기지의 경비를 담당한다.
- 서울도시철도그린환경
- 5~8호선의 청소를 담당한다.
- 서울도시철도엔지니어링
- 서울 도시철도의 전기, 통신, 소방, 건축 시설물 등을 관리한다.
아래 기업들은 현재는 사라진 자회사이다.
- 서울메트로9호선운영
- 9호선 언주~종합운동장 구간의 운영을 담당했던 기업으로, 2018년 11월 27일부터 서울교통공사의 직영으로 전환되었다.
- 부산-김해경전철운영
- 김포골드라인운영
사업 분야[편집 | 원본 편집]
- 서울시 도시철도의 건설과 운영
- 도시철도 부대사업
- 도시철도 건설 및 운영에 따른 도시계획사업
운영 노선[편집 | 원본 편집]
- 서울 도시철도 1호선
- 서울 도시철도 2호선
- 서울 도시철도 3호선
- 서울 도시철도 4호선
- 서울 도시철도 5호선
- 서울 도시철도 6호선
- 서울 도시철도 7호선 (장암~온수)
- 서울 도시철도 8호선
- 서울 도시철도 9호선 (언주~중앙보훈병원)
- 하남선 (수탁 운영)
- 별내선 (수탁 운영)
영업사업소[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공식 로고송
각주
- ↑ 서울메트로·도시철도公 이르면 내년 3월 합친다, 조선일보, 2016년 11월 24일
- ↑ 서울 지하철 통합공사 이름은 '서울교통공사', 연합뉴스, 2016년 12월 2일
- ↑ 서울지하철 통합효과 매년 214억…'안전분야 재투자', 뉴시스, 2016년 11월 24일
- ↑ 서울 지하철, 2016년 통합, TBS, 2014.12.11.
- ↑ 서울지 메트로·서울도철 통합 잠정 합의…천 명 자연감축, KBS, 2016.03.17.
- ↑ 서울메트로·도철 통합 무산…노조 투표로 반대(종합), 연합뉴스, 2016.03.29.
- ↑ 서울시의회 “박원순 시장, 서울지하철 공사 통합중단 재확인”, 서울신문, 2016.04.21.
- ↑ 서울시의회, 제272회 임시회 폐회…71개 안건 처리, TBS, 2017.03.03.
- ↑ 지하철 1∼8호선 23년 만에 통합…서울교통공사 출범, 연합뉴스, 2017년 5월 31일
- ↑ 이진주 기자. “지하철 9호선 2·3단계 운영…서울교통공사 직영으로 전환”, 2018년 8월 27일 작성.
- ↑ 김진아 기자. “서울지하철 9호선 2·3단계, 서울교통공사 직영 전환”, 2018년 11월 28일 작성.
- ↑ 인천교통공사, 7호선 인천·부천 연장선 운영권 성공적으로 이관받아, 인천교통공사 보도자료
![]() | |||||
---|---|---|---|---|---|
종합회사 혹은 열차운행사 | |||||
공기업 및 자회사 |
한국철도공사 | 서울교통공사 | 부산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대구교통공사 |
대전교통공사 | 광주교통공사 | SR | 서해철도 | 김포골드라인운영 | |
사기업 | 공항철도 | 부산-김해경전철 | 서울시메트로9호선 | 네오트랜스 | 용인경량전철 |
우이신설경전철운영 | 우진메트로 | 로템SRS | |||
시설관리사 혹은 민자사업자 | |||||
공공기관 | 인천국제공항공사 | 국가철도공단 | 코레일네트웍스 | 코레일테크 | 남양주도시공사 |
사기업 | 신분당선 | 전라선철도 | 가야철도 | 우이신설경전철 | 이레일 |
경기철도 | 남서울경전철 | 새서울철도 | 스마트레일 | 서부광역철도 | |
넥스트레인 | SG레일 | 동북선도시철도 | 의정부경량전철 | ||
해산한 기업은 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목록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