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창공원앞 | |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
번호 | 627 K311 |
노선 |
용산선 1.5 km 서울 지하철 6호선 17.4 km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과 용문동에 걸쳐 있는 지하철역.
본래 용산선 역으로 개업할 당시 역명은 효창역이었다. 일반철도의 신호장이었던 효창역은 경원선을 경유해 오는 화물열차를 용산역 서측의 기지 및 화물취급시설로 보내기 위해서 활용되었다. 또한, 용산 차량기지가 철거되기 이전에는 경원선 CDC나 중정비 대상인 저항제어 전동차가 효창역까지 온 다음, 방향전환을 해서 용산역 서측의 수도권 철도차량 관리단으로 내려가는 효창선을 통해 운행하였었다. 이런 이유로 용산선 및 효창선은 전철화가 되어 있었다. 이 방법이 아니라면 경부선을 통해 서울역까지 보내야 하지만 아시다시피 서울역의 혼잡도는 예나 지금이나 막장지경인지라 이 방법은 선호되지 않았던 모양. 그래서 복선전철화가 착공했을 때도 차량관리단의 기능이 타 지역으로 이전할 때까지 효창역은 한동안 존치되었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본래 일제강점기에 용산선 상에는 미생정역(彌生町驛 / Yayoichō Station)이 있어 서울 근교구간을 다니는 내연동차를 취급하였었다. 그러나 1944년 희대의 막장 일본군답게 태평양 전쟁으로 전쟁물자 공출을 위해 폐역되어 역 건물이 뜯겨나갔다(...) 이후 1978년 용산역의 화물열차를 처리할 신호장이 필요하게 되자, 이 미생정역 자리에 효창역을 세우게 된다.
이후 1989년 2기 지하철 계획으로 서울 지하철 6호선의 효창역이 계획되었고, 이 역은 2000년 12월 15일 "효창공원앞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했다.
2004년 용산선 지하화 공사가 결정되면서 이 역은 영업 자체를 중단했고, 반지하역으로 건립을 하기로 한다. 효창역 주민들이 자리깔고 안 비키게 되고 철시공은 "5월까지 철수 안 하면 그냥 공덕~용산간 터널을 뚫고 효창역은 백지화하겠다고 밝혔다. 경고를 한 후 협상이 광속으로 진행, 2012년 8월 1일부로 전철연 및 효창역 주변 주민들과 한국철도시설공단 간에 보상문제가 완전히 타결되면서 보상금을 바로 지급하고 전철연이 물러났다. 그리고 광속으로 공사 시작.
2014년 12월 27일 경의·중앙선의 직결이 완료되었지만 이 역의 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관계로 경의·중앙선 전동차는 이 역을 무정차 통과하고 있다. 경의·중앙선 역은 2016년 4월 30일 개통하였다.
2015년 1월 16일 철도시설공단에서 경의·중앙선 전철역 명칭을 효창공원앞역으로 결정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서울교통공사[편집 | 원본 편집]
효창공원앞 | |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백범로 지하287 |
번호 | 627 |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17.4 km |
관할 | 서울교통공사 |
개업일 | 2000년 12월 15일 |
승강장 | 1면 2선 |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 공덕
|
상행
|
하행
|
경의·중앙선[편집 | 원본 편집]
효창공원앞 | |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문동 5-133 |
번호 | K311 |
노선 |
용산선 1.5 km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
개업일 |
1929년 9월 20일 1978년 6월 23일 |
폐지일 | 1974년 8월 15일 |
코드 | 404 |
승강장 | 2면 2선 |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 ||||||
---|---|---|---|---|---|---|
목적지 | ||||||
6호선 | 경의·중앙선 | |||||
응암 순환 |
봉화산 방면 |
문산 방면 |
지평 방면 | |||
출발지 | 6호선 | 응암 순환 | - | 6-4 | ||
봉화산 방면 | 3-1 | - | 3-1 | |||
경의·중앙선 | 문산 방면 | 2-3 | - | 2-3 | ||
지평 방면 | 8-3 | - |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 |||
---|---|---|---|
30302 용산선 (5.8 km) |
용산 방면 용산 1.5 km |
효창공원앞 | 가좌 방면 공덕 1.0 km |
30301 효창선 (1.8 km) |
용산 방면 용산 1.8 km |
효창[2] | (종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