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입구 |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공항철도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에 위치한 지하철역 및 철도역.
본래 1983년 6월 30일 역명 고시 당시의 역명은 동교역(東橋驛)이었다. 하지만 홍익대학교 측의 요청으로 인하여 개통 나흘 전인 1984년 5월 18일 현재의 이름인 홍대입구역으로 확정되었다.
홍대입구역은 대학명을 역명으로 채택한 역 중 가장 성공한 사례 중 하나이다. 주변 상권 자체가 아예 홍대라고 불릴 만큼 인지도가 유명하며, 공항철도의 개통 이후에는 외국인들이 서울 도심으로 들어가기 직전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번화가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984년 5월 22일 서울 지하철 2호선의 마지막 구간이 개통되면서 개업한 역으로, 이때 당시만 하더라도 평범한 2호선의 역 중 하나였다.
그러나 당산철교의 재시공을 위해 1997년부터 1999년까지 해당 철교를 폐쇄하게 되자, 한동안 이 역은 2호선 열차의 시종착역 역할을 담당했었던 흑역사가 있다.[1] 약 3년의 기간 동안 홍대입구~합정~당산역 간에는 양화대교를 경유하는 연계용 셔틀버스가 투입되어 무료로 운행을 실시하였었다.
이후 1999년 당산철교가 완공되면서 다시 중간역이 되었으며, 2010년 12월 21일 공항철도가 개통되면서 2개 환승역이 되었다. 이후 2012년 12월 15일 경의선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현재의 경의·중앙선과의 환승역이 되었다.
- 1983년 6월 30일: 역명을 동교로 결정[2]
- 1984년 5월 18일: 역명을 홍대입구로 변경[3]
- 1984년 5월 22일: 2호선 서울대입구~을지로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시설[편집 | 원본 편집]
2호선[편집 | 원본 편집]
홍대입구 |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지하160 |
노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43.9 km |
관할 | 서울교통공사 |
개업일 | 1984년 5월 22일 |
번호 | 239 |
지하 1층에 교통카드 충전·승차권 발매기와 개찰구와 맞이방이 있으며, 지하 2층에 승강장이 있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다.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
|
↻ 내선순환
|
↺ 외선순환
|
서울 지하철 2호선 합정 →
|
공항철도[편집 | 원본 편집]
홍대입구 |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지하188 |
노선 | 인천국제공항선 6.1 km |
관할 | 공항철도 |
개업일 | 2010년 12월 29일 |
번호 | A03 |
지하 4층에 승강장이 있으며, 역무 시설은 지하 2층에 있다.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경의·중앙선[편집 | 원본 편집]
홍대입구 |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지하188 |
노선 | 용산선 5.3 km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
개업일 | 2012년 12월 15일 |
번호 | K314 |
코드 | 914 |
지하 1층에 승강장이 있으며, 역무 시설은 지하 2층에 있다.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출입구와 맞이방은 공항철도와 공유한다.
2번
|
1번
|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 ||||||||
---|---|---|---|---|---|---|---|---|
목적지 | ||||||||
2호선 | 공항철도 | 경의·중앙선 | ||||||
외선 순환 |
내선 순환 |
서울역 방면 |
인천공항 방면 |
문산 방면 |
지평 방면 | |||
출발지 | 2호선 | 외선순환 | - | 모든 문 | 8-2 | |||
내선순환 | 모든 문 | - | 3-3 | 3-2 | ||||
공항철도 | 서울역 방면 | 5-3 | - | 5-3 | ||||
인천공항 방면 | 2-2 | - | 2-2 | |||||
경의·중앙선 | 문산 방면 | 1-1 | - | 1-1 | ||||
지평 방면 | 8-4 | - |
2호선 승강장은 동교동삼거리에서 합정역 쪽(남쪽)으로 더 들어간 곳에 들어서 있는데, 정작 공항철도와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동교동삼거리에 들어서 있기 때문. 이 때문에 2호선에서 다른 노선을 갈아탈 때(혹은 그 반대거나)의 환승 길이는 330m나 된다. 다만 무빙워크가 설치되어 있고, 고저차는 크지 않다. 그나마 경의·중앙선과 공항철도 간 환승은 환승이 비교적 쉽다. 이는 두 노선이 같은 대합실(지하 2층)을 사용하는데, 경의·중앙선이 위층(지하1층), 공항철도가 아래층(지하4층)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 실제로 가좌역부터 공덕역까지 두 노선은 복층 터널의 구조를 하고 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 역에서 내린 다음 고개를 조금 올라가면 홍익대학교의 정문이 나온다. 홍대거리라고 불리는 번화가답게 도로 자체가 좁고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라 교통 체증과 수 많은 인파를 방불케 한다.
- 본래 인디 밴드의 공연 등도 매우 활발했던 곳 중 하나이다. 물론 2000년대 이후로는 홍대에 유흥업소와 나이트 클럽이 들어서고 환락가화되어 예전처럼 활발하지는 않다. 더불어 합주실도 매우 많지만 임대료의 급상승 및 젠트리피케이션의 영향으로 대부분 공연은 근처 합정역, 상수동, 산울림 소극장 등으로 옮기거나 폐업한 상태.
- 최근 몇 년 사이 홍대거리에는 애니메이션 상품들을 전문으로 다루는 가게들이 대거 들어서고, 애호가들 사이에선 특화 거리처럼 알려지면서 투어 지도까지 등장했다고 한다.[4]
- 애플이 Apple Store 홍대점을 9번 출구 인근에 오픈했다.
- 홍대거리 주변에 있는 휴대전화 판매점 또는 통신사 대리점의 폰팔이들이 설문조사를 가장한 호객행위를 벌이고 있어서 지나는 길 근처에 통신사 대리점이나 판매점이 보이면 길을 지날 때 조심해야 한다. 설문조사나 경품 이벤트를 한다면서 접근하지만 실상은 휴대전화 상품을 판매할 판매대상을 물색하는 것이다. 어느 통신사와 요금제를 사용하는지 알아본 뒤에 기기를 변경하면 통신요금을 저렴하게 쓸 수 있다면서 기기변경을 유도하는데 휴대전화 상품이나 요금제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공부해 봤다면 기기를 바꾸거나 통신사를 바꾸면 요금이 저렴해진다는 말이 이상하다는걸 알 수 있다. '홍대 휴대폰 사기' 라는 키워드로 검색해 보면 피해 사례들이 수두룩 하게 나온다. 그 때문인지 이 근처의 가게들은 입점 업제가 자주 바뀐다.
역세권 개발사업[편집 | 원본 편집]
2010년 6월 한국철도공사는 경의·중앙선(구 용산선)이 지하화된 부지에 800실 규모의 비즈니스 호텔을 짓는 역세권 개발사업을 발표했다.[5] 호텔을 짓는 자리에 칼국수집 두리반이 농성을 하여 착공에 난항을 겪었다. 이 농성에는 여러 인디 밴드들이 참여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밴드는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홍대에서의 공연 기회를 잃고 다른 장소로 떠밀려 가자 동병상련의 처지로 함께 한 것이다. 이들의 이주대책 합의에는 2년여가 걸렸다.[6] 2012년 서울시의 호텔 건설사업 승인을 거쳐 민자사업자인 애경그룹이 참여하였다. 2014년 부지 정리, 2015년부터 2년 동안 호텔을 짓고 난 뒤 자투리 땅에 경의선 책거리 조성 공사를 하였다.[7]
2018년, 애경그룹에서는 이 건물을 본사로 확정하고[8], 2월 애경그룹 입주, 8월에 호텔이 완공하였다. 이후 AK플라자 쇼핑몰과 계열사인 제주항공이 운영하는 홀리데이 인 익스프레스 서울홍대가 들어서게 되었다.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2호선 | ||
---|---|---|
외선순환 238 합정 |
239 홍대입구 | 내선순환 240 신촌 |
인천국제공항철도 | ||
서울 방면 A02 공덕 |
A03 홍대입구 일반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A04 디지털미디어시티 |
경의·중앙선 | ||
문산 방면 K316 디지털미디어시티 |
K314 홍대입구 경의선 급행 |
용문 방면 K312 공덕 |
문산 방면 K315 가좌 |
K314 홍대입구 완행 |
지평 방면 K313 서강대 |
각주
- ↑ 합정역은 처음에는 그냥 폐쇄했다. 왜냐하면 홍대입구역만 주박용 Y선이 있고, 합정역에는 시설이 전혀 없어서 여기서 회차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 그러나 이걸로는 회차용량이 불충분한데다 합정 주변의 불만이 쇄도하여 합정에도 회차시설을 설치하게 되었고, 1997년 2월 15일부터 홍대입구~합정 사이에 회차시설공사가 마무리되어서 15분에 1대 꼴로 제한 운행을 실시하게 되었다. 또한 서울 지하철 6호선이 지어지면서 이 역을 환승역으로 개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 ↑ 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 ↑ 서울특별시고시 제295호
- ↑ (컬처인사이드) "방구석 오타쿠는 옛말"…'취향 존중' 성지가 된 홍대: 2024.11.23 YTN
- ↑ 경의선 홍대입구역사(驛舍)에 800실 규모 호텔 들어선다: 2010.06.17 한국경제
- ↑ '작은 용산' 재개발 두리반 이주대책 합의(종합): 2011.06.08 연합뉴스
- ↑ (수도권)홍대입구역에 국내 첫 책거리 조성: 2014.05.09 동아일보
- ↑ 애경그룹, 홍대 시대 개막… 8월 신사옥 입주 "4천600억원 투자·1천300명 채용": 2018.01.14 MB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