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식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PNG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상대식 승강장은 상/하행의 승강장 사이에 선로가 놓여 있어 승차 시에 건너편 플랫폼을 마주보면서 승차를 하는 방식의 승강장이다.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지하철역이 상대식 승강장이다. 반대의 개념으로는 섬식 승강장이 있다.

네이버 지도, 다음 지도에서는 '양쪽' 승강장이라는 말을 쓰고 있다.

변형[편집 | 원본 편집]

  • 2면 3선식 승강장·쌍섬식 승강장
    승강장 외측에 새로운 선로를 부설하면 다른 형태의 승강장이 되는 데, 한쪽 승강장에만 신설하면 2면 3선식 승강장이 되고, 양쪽 모두 신설하면 쌍섬식 승강장이 된다. 부본선이 생기므로 열차 운용에 유연성이 생긴다.
  • 쌍상대식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을 나란히 2개 붙이면 상대식 승강장 사이에 섬식 승강장이 들어가는 형태가 되는 데, 이를 “쌍상대식 승강장”이라고 부른다. 복선을 복복선화 하면서 섬식 양쪽에 1면씩 덧붙이거나, 다른 노선이 평면으로 합류하면서 기존 승강장을 활용하고 1면만 신설하면 이런 형태가 된다. 경의선 디엠시역(복복선)이나 2호선 신도림역(노선 합류)이 이런 형태다.
    복복선화인 경우 완급결합은 다른데 팔아먹은 형태가 되고, 2개 노선이 병행하는 경우 역방향 환승말고는 동선이 엉망이 되기 때문에 돈이 절약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좋은게 하나도 없는 형태.

장점[편집 | 원본 편집]

단점[편집 | 원본 편집]

  • 반대편으로 되돌아가려면 계단 이용이 필요하다. 일부역은 개찰구 위치 탓에 횡단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주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섬식 승강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