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 |
---|---|
종류 | 일반철도(간선), 광역철도[1] |
번호 | 303 |
구간 | 서울 ~ 도라산 |
영업거리 | 56.1 km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KORAIL) |
개통일 |
1905년 11월 5일 (영업 기준) 1908년 4월 1일 (서류 기준) |
시설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4 (가좌 ~ 능곡) 1 (문산 ~ 도라산) 2 (나머지) |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
신호 |
ATS, ATP ATS (한국항공대 ~ 도라산) |
서울특별시 서울역과 파주시 도라산역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원래 신의주시(신의주역) 및 중국 단둥역까지 이어져 중국 방면 간선축을 담당하는 노선이었지만, 한반도 분단으로 노선이 끊겼다. 북한측 노선은 평양을 기준으로 평부선 및 평의선으로 부르고 있다.
경의선 자체는 남북철도 복원사업을 통해 연결은 되어있다. 다만 박근혜 정권들어 남북관계가 심각하게 경색되면서 개성공단의 폐쇄와 맞물려 화물 열차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06년 9월 1일: 군용철도 경의선(및 겸의포 지선)을 통감부 철도관리국으로 이관.[2]
- 1908년 4월 1일: 철도국 하에서 개통.[3][4]
- 1911년 4월 15일: 잠성역 이름을 금교로 변경.[5]
- 1911년 11월 1일: 압록강철교 개통과 함께 신의주~단둥간 개통. 신의주역을 현 위치로 이전하고 기존 신의주역은 신의주하급소로 변경.[6]
- 1944년 3월 31일: 서소문, 아현리역 폐지.[7]
- 한국전쟁 이후: 문산~개성간 폐지.
-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203에서 303으로 변경[8]
- 2021년 11월 27일: 임진강~도라산 전철 개통.[9]
- 2021년 12월 11일: 임진강~도라산 셔틀 전동차 운행 시작.[10] 원래 11월 27일에 운행하려 했으나 민통선 북쪽지역의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연기.[11]
중요성 및 미래[편집 | 원본 편집]
한반도 종단철도의 핵심 노선이다. 분단된 현재 상태에서 대한민국의 철도노선만 놓고 보자면 길이도 짧고, 운행열차도 많지 않아 일반 시민들에게는 듣보잡 취급을 당하는 노선이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 통일이 된 상황을 가정한다면 넓게는 부산부터 신의주까지를 이어주는 한반도 종단노선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량과 함께 기존 경의선 구간을 대폭 개량하면서 노반을 복선이 아닌 복복선 이상을 염두에 두고 각 역사의 부지나 대피선 등을 여유있게 잡아놓은 기조가 강하다. 통일 이후에는 물류와 여객 모두 중국을 거쳐 러시아나 유럽까지 운행하는 장거리 노선도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히 고속철도 운행도 고려해야 하므로 노반을 여유있게 잡아놓은 것은 타당성이 충분한 것.
문제는 북한의 열악하다못해 호흡기만 붙어있는 수준의 철도 환경으로, 통일 이후에 북한의 경의선 구간을 어떻게 개량해야 하는가가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이다. 일제 치하에서 경의선 자체는 복선으로 가설되었으나 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물자가 궁해진 일제는 경의선의 철로를 뜯어가면서까지 자원을 공출했기 때문에 현재는 단선 구간으로 남겨진 지역이 많고, 이후 북한의 열악한 사정으로 인해 제대로 된 관리나 현대화가 이뤄지지 못해서 고속열차는 고사하고 일반 열차도 고속운행이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 기존선을 현대화 개량하는 것과 아예 새롭게 노반을 다지고 고가화를 추구하여 고속선을 깔아버리는 것 사이의 경제성이 어떤가에 따라 달라질 문제. 이를 염두에 두고 2018년에는 남북철도 공동조사가 진행되기도 하였다. 다만 남북관계의 특수성에 기인하여 북한은 남한의 도움을 받아 철도를 개량하는 방안과 중국의 자본을 유치하여 중국식으로 철도를 개량하는 방안 등을 놓고 저울질을 하고 있기 때문에 통일 이후에도 남북 철도 규격의 차이 등이 발생할 여지는 남아있다.
운행[편집 | 원본 편집]
전술한대로 경의선은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끊겨있는데, 이 지점이 서울에서 50 km 남짓한 구간이다보니 이른 시기부터 이미 근교형 영업 형태를 띠고 있었다. 다른 노선들이 무궁화호가 들어갈 때도, 이 노선은 꾸준하게 서울발착 통근열차가 운행되었으며, 전철화 이후에는 문산역 이남 구간에서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남은 구간은 수요 저조로 셔틀열차가 몇 대 운행 중이다.
또한, 90년대까지는 비교적 한산한 근교선이라는 특성 때문에 서울역 발착 열차의 기지선을 따서 놓았는데, 노선 중간에 일반열차의 핵심 차량기지인 수색차량사업소와 고속철도의 핵심 차량기지인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을 들여놓았다. 때문에 열차 회송 용도로 용량 소모가 심각한 편. 하지만 고속철도의 경우 고속철도 정차역으로 행신역을 유치하는 등의 소득은 얻었다.
고속철도[편집 | 원본 편집]
KTX의 경우 최초 운행 시부터 일부가 행신역 발착으로 운행되었다. 이는 전술한대로, 차량기지를 유치하는 대신 얻어낸 대가이며, 덕분에 하루 십 수편 정도 경부선을 포함한 각 계통의 연장 운행이 실시되고 있다. 행신역까지 연장하지 않는 계통은 경부선 KTX 중 수원 경유 1개 계통뿐이며, 나머지는 편도라도 행신역 발착을 최소 1회 확보하고 있다.
2014년부터는 수색직결선의 공사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선과 연결되어 인천국제공항 방면의 KTX 열차가 경의선 일부를 경유하는 형태로 운행하기도 하였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4년만인 2018년 인천국제공항 착발 KTX는 결국 폐지되었다. 해당 부분은 인천국제공항선의 운행 단락을 참조.
광역전철[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은 통근열차를 이어받아 운행되고 있으며, 현재는 용산선을 거쳐 경원선 및 중앙선과 함께 경의·중앙선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회송 열차의 용량 소모 때문에 서울역 착발 열차는 기존 통근열차 간격인 1시간 간격(출퇴근시 30분)으로만 운행되고 있다.
2021년 12월 11일부터는 평화열차를 대체한 도라산 셔틀 전동차 운행을 시작했다.
과거[편집 | 원본 편집]
과거에는 통근열차가 운행했다. 말엽에는 CDC 5량 편성을 이용한 운행이 이루어졌으며, 일부 혼잡 시간대에는 병결 10량 편성이 운행된 적도 있었다. 또한, 전철화 직전에 급행 착석 열차 겸해서 문산 이후까지 넘어가는 열차는 새마을호로 운행을 했던 적이 있는데, 너무 비싼 좌석값 등으로 결국 폐지되었다. 그 후신을 DMZ-Train이 이어받지만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2019년부터 운행을 중지했고, 앞서 설명한대로 전동차로 대체되었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용급: 경의·중앙선 용산 ~ 문산 급행
- 서급: 경의·중앙선 서울 ~ 문산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 km | 정거장 | 용급
|
서급
|
연계 노선 | 소재지 | |
---|---|---|---|---|---|---|---|
P313 | 0.0 | 서울 | 용산선 운행
|
● | 경부선 (연결): ■ KTX, 코레일 일반열차 ● 1호선, ● 4호선,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 공항철도 |
용산구 | |
P314 | 3.1 | 신촌 | ● | 서대문구 | |||
K315 | 5.8 | 가좌 | ● | 용산선 (연결): ● 경의·중앙선 수색객차출발선 (연결) |
마포구 | ||
K316 | 7.5 | 디지털미디어시티 | ● | ● | ● 6호선, ● 공항철도 | 은평구 | |
K317 | 8.1 | 수색 | ┃ | ┃ | |||
8.9 | (분기점) | ┃ | ┃ | 수색직결선 (연결) | |||
K318 | 11.5 | 한국항공대 | ┃ | ┃ | 고양기지선 (연결) | 고양시 | |
K319 | 11.5 | 강매 | ┃ | ┃ | |||
K320 | 14.9 | 행신 | ● | ● | |||
K321 | 16.4 | 능곡 | ┃ | ┃ | ● 서해선 교외선 (연결) | ||
K322 | 18.2 | 대곡 | ● | ● | ● 서해선 (연결) 일산선: ● 3호선 교외선,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 ||
K323 | 19.9 | 곡산 | ┃ | ┃ | ● 서해선 | ||
K324 | 21.5 | 백마 | ● | ● | ● 서해선 | ||
K325 | 23.2 | 풍산 | ┃ | ┃ | ● 서해선 | ||
K326 | 25.1 | 일산 | ● | ● | ● 서해선 | ||
K327 | 26.8 | 탄현 | ● | ● | |||
K328 | 28.9 | 야당 | ● | ● | 파주시 | ||
K329 | 30.4 | 운정 | ● | ● | |||
K330 | 33.5 | 금릉 | ● | ┃ | |||
K331 | 35.6 | 금촌 | ● | ● | |||
K333 | 39.7 | 월롱 | ┃ | ┃ | |||
K334 | 41.9 | 파주 | ┃ | ┃ | |||
K335 | 46.3 | 문산 | ● | ● | ● 경의·중앙선 (문산~임진강) 문산기지선 (연결) | ||
K336 | 50.0 | 운천 | 미운행 | ||||
K337 | 52.3 | 임진강 | |||||
56.0 | 도라산 | 경의선 미수복 구간 (평부선) (연결) |
폐역[편집 | 원본 편집]
지선[편집 | 원본 편집]
워낙 짧게 잘려진 노선이다보니 지선이 많지는 않지만, 주요 지선격 노선을 가지고 있다.
- 화물선
-
- 당인리선 (폐지)
수색직결선[편집 | 원본 편집]
수색직결선 | |
---|---|
종류 | 일반철도(지선) |
번호 | 30307 |
구간 | 경의선 분기점(수색역 인근) ~ 공항철도 분기점 |
영업거리 | 2.2 km |
개통일 | 2014년 6월 30일 |
시설 정보 | |
선로 | 2 |
신호 | ATS, ATP |
나머지 정보는 경의선과 동일 |
수색직결선은 경의선과 인천국제공항선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인천공항 KTX를 위해 건설된 연결선이다. 수색역 구내 경의선 전동열차선(경의선 서울 기점 8.882km)에서 평면교차로 분기하여 가칭 고양역 인근(공항철도 서울 기점 13.583 km)에서 인천국제공항선에 입체교차로 합류한다.
단, 관보상에 고시된 바와 달리 실제 코레일이 국토교통부에게 영업 허가를 받은 구간은 45.8 km[12]로, 공항철도 서울 기점 12.2 km까지에 해당한다.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
0.0 | - | 경의선 (연결) |
2.2 | - | 인천국제공항선 (연결) |
효창선[편집 | 원본 편집]
효창선 | |
---|---|
종류 | 일반철도(지선) |
번호 | 30301 |
구간 | 용산 ~ 효창 |
영업거리 | 1.8 km |
개통일 | 1978년[13] |
폐지일 | 2015년 7월 20일 |
시설 정보 | |
선로 | 1 |
전기 | 비전철 |
신호 | ATS |
나머지 정보는 경의선과 동일 |
효창선은 용산역과 구 효창역을 잇던 연결선이다. 용산선이 입체교차하여 용산역 동측 선로와 연결된 것과 달리, 효창선은 서측 선로에서 이어지는 노선이었다.
예전에는 용산역 서측 구내에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이 있었으며, 효창선은 용산선을 통해 경의선 수색차량사업소를 잇는 단락선으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하지만 용산선이 지하화되고, 용산에 있던 차량기지가 옮겨가면서 효창선의 의의가 사라졌고, 선로도 철거되었다. 하지만 서류상으로는 아직도 여전히 남아있어 법적으로 폐지 상태는 아닌데, 2015년 7월 20일자로 한국철도공사의 열차운전시행세칙에서 삭제되어[14] 사실상 폐선이다.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
0.0 | 용산 | 경부선 (연결) 경원선, 용산선 |
1.8 | 효창 |
미수복 구간[편집 | 원본 편집]
도라산 이북으로는 실질적으로 대한민국의 실효 지배권이 닿지 않는 북한 내에 속해있으며, 북한에서는 이를 임의로 평부선 (혹은 평성선)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경의선/미수복 구간에 수록.
각주
- ↑ 가좌~문산
- ↑ 칙령 제192호
- ↑ 그 동안 운행을 중단한 것은 아니며, 곡선반경 개량 및 다리 개축 등을 한 것으로 보인다.
- ↑ 통감부고시 제17호
- ↑ 조선총독부고시 제65호
- ↑ 조선총독부고시 제318호
- ↑ 조선총독부고시 제523호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 ↑ 한국철도, ‘도라산역 관람 전용 셔틀열차’ 운행, 한국철도공사 보도자료
- ↑ 한국철도, ‘도라산역 관람 전용 셔틀열차’ 운행, 한국철도공사 공지사항
- ↑ 한국철도, 도라산역 관람 전용 셔틀열차 운행 연기, 한국철도공사 보도자료
- ↑ 코레일 영업거리현황
- ↑ 철도거리 증감현황, 한국철도공사
- ↑ 한국철도공사 제2015-047호 열차운전시행세칙, 2015년 7월 15일
대한민국 철도 노선
| |||||
---|---|---|---|---|---|
사업용철도 | |||||
고속 | 경부고속(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지선) | ||
준고속 | 경강(지선) (원주~강릉) |
서해(지선) (홍성~송산) |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
중부내륙 | 춘천속초 |
일반 | 경인(지선) | 경부(지선) | 경의(지선) | 호남(지선) | 경원 |
충북 | 경전(지선)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
동해(지선) | 중앙(지선) (안동~경주) |
영동(지선)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
안산(지선) | 과천 | 분당(지선) | 일산 | 신분당 | |
서해(지선) (대곡~원시) |
인천공항(지선) |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
진접선 | GTX A | |
동탄인덕원 | 신안산 | 남부내륙 | GTX B | GTX C | |
도시철도 | |||||
서울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위례신사 | ||
인천 | 1호선 | 2호선 | |||
부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사상하단 |
오륙도 | |||||
대구 | 1호선 | 2호선 | 3호선 | 엑스코 | |
광주 | 1호선 | 2호선 | |||
대전 | 1호선 | 2호선 | |||
경기도 | 하남 | 별내 | 도봉산옥정 | ||
기타 | 부산김해 | 의정부 | 용인 | 인천공항 자기부상 | 김포 |
양산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