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신역

행신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소원로 102
(행신동 519-3번지)
노선 경의선 21.5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개업일 1996년 4월 1일
번호  K320 
코드 390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소원로 102(舊 행신동 519-3번지)에 위치한 경의·중앙선KTX의 정차역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2004년 KTX 일부 편성이 서울역에서 연장 운행하는 형태로 시종착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인근에 혐오시설인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에 대한 보상 차원으로 정차하고 있다. 어차피 이 역으로 공차회송하는데 인근 지역 주민들의 불만도 없앨 겸 승강장을 부설해 정차하기 시작했다.

2009년 7월 1일부터는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고 현재에 이른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경의선 전철 덕양구 구간에서 승하차량이 제일 많으며, 경의선 전체로 넓히면 일산역에 이어 2위를 차지한다. 강매역 역세권인 서정마을, 소만마을을 제외한 행신동 전역을 역세권으로 삼아 역세권이 제법 넓은 편이다. 고양시의 인구밀집 지역인 일산신도시에서 접근성도 좋지 않은 편에 속하며 시간대나 행선지에 따라서는 일산신도시와 서울역을 이어주는 직행좌석버스(대표적으로 1000번 버스)를 활용하는 편이 더 나은 경우가 많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승강장 구조[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로 108-1
노선 고양기지선
관할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개업일 2003년 11월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고양차량사업소, 고양기지)는 KTXKTX-산천을 관리하는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사업소이다. 선로는 한국항공대역으로 연결된다.

차량기지 건설을 위해 부지를 제공한 고양시에 대한 보상으로 기지 옆에 맞닿은 행신역에 승강장을 설치했다.

소속된 차량은 다음과 같다.

고양기지선[편집 | 원본 편집]

고양기지선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0305
구간 한국항공대 ~ 고양기지
영업거리 1.7 km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2004년 4월 1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기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ATS, TVM-430(ATC) (고양기지선)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과 한국항공대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철도거리표에는 문산차량사업소가 고양기지로 게재되어있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km 정거장 연계 노선
0.0 한국항공대 경의선 (연결)
1.7 고양기지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광역전철[편집 | 원본 편집]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K322  대곡
 K320  행신
서울역급행
서울 방면
용문 방면
 K316  디지털미디어시티
 K320  행신
용산급행
문산 방면
 K321  능곡
 K320  행신
완행
서울 · 지평 방면
 K319  강매

KTX[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KTX 경부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
경부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
경전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
동해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포항
호남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호남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전라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전라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 행신역은 비록 하루 운행편수가 많지는 않지만, 경부선과 호남선이 각각 서울과 용산으로 분리된 것과 다르게, 한 곳에서 양쪽 계통의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는 소소한 장점이 있다. 물론 행신에서 출발한 열차는 서울이나 용산에서 약 5분 가량 승차 취급을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소요시간은 상당히 늘어나는 단점이 동시에 존재한다. 특히 행신 도착편성의 경우 서울이나 용산에서 10분 가량 하차 취급 시간을 길게 가져가는 경우가 많아 더욱 소요시간이 늘어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