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 | |
---|---|
![]() |
|
소재지 | 충청남도 계룡시 두마면 팥거리로 95 (두계리) |
노선 | 호남선 25.4 km |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
개업일 | 1911년 7월 10일 |
번호 | |
코드 | 218 |
호남선의 철도역. 원래 두계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했다가 계룡시가 시로 승격되면서 2005년 9월 23일부터 계룡역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딱히 큰 역은 아니나 두계역 시절인(...) 2004년 7월 15일부터 KTX가 정차하고 있는데, 이유는 바로 계룡대. 직선거리상으로는 폐지된 신도역이 더 가까우나 도시계획이 호남선 철도를 씹고 진행되었기에 접근하기 쉽지는 않다.

계룡역의 위치. 계룡대는 사진보다 조금 더 북쪽의 신도안면에 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1번
2번 |
3번
4번 |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여객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 ||
---|---|---|
종류 | 노선 |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
KTX | 호남선 |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
전라선 |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 |
ITX-마음 | 호남선 |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2] - 서대전 - 계룡[2]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
ITX-새마을 | 호남선 | 용산 - 영등포 - 수원 - 오산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몽탄 - 일로 - 목포 |
호남선 | 용산 - 영등포 - 수원 - 서정리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 | |
전라선 |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 |
무궁화호 | 호남선 |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 |
호남선 |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 | |
전라선 |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 |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