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 |
---|---|
![]()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구 |
관할 | 한국철도공사, 부산교통공사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06 (초량동 1202)에 위치한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경부선의 종점이며, 부산경남본부 관리역이기도 하다.[1]
또한, 중앙대로 지하 200(舊 초량3동 1187-1)에 위치한 부산 1호선 지하역이기도 하다. 이쪽의 공식 역명은 부산역역(釜山驛驛)이지만, 어디까지나 모든 안내에서 역을 붙이는 형태로만 사용할 뿐, "역역"과 같은 중복 표현을 사용하지는 않으므로, 여기서도 단순히 부산역으로만 표기하도록 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경부선 부산역
- 1908년 4월 1일: 개업. 위치는 현재의 중앙동4가 85~87번지 인근
- 1943년 12월 10일: 역을 폐지하고 대신 부산부두역(釜山埠頭)로 개업.[2]
- 1945년 6월 10일: 역명을 부산으로 재변경.
- 1953년 11월 27일: 부산역전 대화재 발생, 역사 전소
- 1965년 11월 1일: 역사 이전을 위해 영업 일시 중지[3]
- 1966년 4월 1일: 초량동 매립지에 역사 이전 신축 착공
- 1969년 6월 10일: 초량동 매립지에 역사 완공 영업 재개[4]
- 1993년 5월 1일: 유료휴게실 운영 개시[5]
- 1995년 7월 1일: 유료휴게실 폐지[6]
- 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선 개통과 함께 KTX 운행 개시
-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
- 2010년 11월 1일: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 개통
- 2016년 12월 9일: SRT 운행개시
- 1호선 부산역(역)
시설[편집 | 원본 편집]
KTX·일반열차[편집 | 원본 편집]
부산 |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06 |
노선 |
경부선 398.2 km 경부선 441.7 km |
관할 | 한국철도공사 |
개업일 | 1908년 4월 1일 |
코드 | 20 |
승강장은 통과선 포함 시 5면 12선, 통과선 제외 시 5면 9선이며, 2번과 7번 승강장은 공번이다. 열차 별로 전용 승강장이 있는데 1~3번 승강장은 주로 일반열차를, 4~11번 승강장은 고속열차를 취급한다. 승강장 번호는 승강장에 따로 번호를 붙인 것이 아니라, 선로에 붙은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승강장이 없는 2번과 7번은 공번이다.
1번 승강장은 KTX 개통 이전 새마을호 열차만 사용하던 승강장이며, 이는 당시 최고급 열차였던 새마을호 승객의 탑승 편의를 위해 계단을 오르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바로타 구조. 새마을호의 위상이 내려간 지금은 상가 리모델링, 선상역사 준공으로 1번 승강장에 계단 없이 진입이 불가능하며, ITX-새마을·마음 열차 뿐만 아니라 무궁화호도 1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 경부고속선 울산 |
|
11번
10번 | |
8번
9번 | |
6번
5번 | |
← 경부선 사상 |
|
4번
| |
3번
| |
1번
|
1호선[편집 | 원본 편집]
부산역 |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지하200 |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9.9 km |
관할 | 부산교통공사 |
개업일 | 1987년 5월 15일 |
번호 | 113 |
지하철역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반대편으로 건너갈 수 없는 횡단불가 역이다.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역 광장에는 광장 유라시아 플랫폼 전시물이 있다.
부산의 수 많은 시내버스가 경유하는 거점 지역이다. 이전에는 김해국제공항으로 가는 리무진 버스가 운행되었으나, 코로나19 이후 폐지되었다. 초랑상해거리, 토요코인호텔 부산역 1호점 등이 근처에 있다. 상해거리는 차이나타운인데 이름에 걸맞지 않게 분위기는 이태원과 흡사하다. 1990년 한국-소련 수교 이후 러시아인이 많이 유입되어 재한 대만 화교, 조선족들과 러시아 및 구 소련권 국가 출신 중앙아시아인이 공존하는 모양새가 되었다. 또한 무슬림들도 이 주변에 많이 거주한다. 밤 7시가 넘으면 러시아인 여자나 외국인 여성이 접근해서 말을 거는데 주의할 것. 낮에는 다양한 먹거리[7]를 즐길 수 있는 곳인데 밤이 되면 인근 골목의 치안 상태가 좋지 못하다고 한다. 술집들이 밀집되어 있어 외국인들끼리 싸움이 벌어지기도 한다.
역 서쪽으로 산복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초량 이바구길이 조성되어 있는데, 6·25 전쟁 등 한국의 근현대사가 살아 숨쉬는 길이다. 부산 최초의 물류창고와 근대식 병원, 부산 최초의 교회, 그리고 경사가 가파르기로 유명한 168계단 등이 있다. 경사가 급한 오르막길과 계단이 많지만, 전망대까지 올라가면 부산역과 북항 일대, 부산항대교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멋있는 경관을 연출한다.
역 동쪽으로는 북항 재개발이 진행 중이며, 부산역 하늘광장이 위치해 있다. 이는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과 연결되는 공중 보행로이다.
사건·사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부산 도시철도[편집 | 원본 편집]
여객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 ||
---|---|---|
종류 | 노선 |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
KTX | 경부선 |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 |
경부선 |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 | |
경부선 | 서울 - 영등포 - 수원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 | |
SRT | 경부선 | 수서 - 동탄 - 평택지제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 |
ITX-마음 | 경부선 |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8] - 청도 - 상동[8] - 밀양 - 삼랑진[8] - 물금 - 구포 - 부산 |
ITX-새마을 | 경부선 |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삼랑진 - 물금 - 화명 - 구포 - 부산 |
무궁화호 | 경부선 | 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이원 - 지탄 - 심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 |
남도해양열차 | 경전선 | 부산 - 구포 - 물금 - 삼랑진 - 진영 - 창원중앙 - 마산 - 진주 - 북천 - 하동 - 광양 - 순천 - 벌교 - 득량 - 보성 - 명봉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