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
Korail logo.svg
창립 2005년
본사 대전광역시 동구
웹사이트 http://korail.com

한국철도공사2005년 1월 1일에 출범한 대한민국국유철도 영업과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공기업이다. 전신은 철도청이며 철도청의 영업부분을 핵심으로 이어받았다. 철도의 건설, 시설 관리, 연구 부분은 국가철도공단으로 이관되어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철도구조개혁을 통해 철도청상하분리 방식으로 개편하면서 열차 운영을 전문으로 하는 국가 출자 100%의 공기업으로 설립되었다. 당초 주식불하를 통한 민영화까지 진행하는 걸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해당 건은 무산되었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2005년 1월 1일: 코레일 출범
  • 2006년 6월 19일
    • “지역관리역” 폐지, “그룹대표역” 신설
    • 서울지역본부·대전지역본부·부산지역본부·순천지역본부·영주지역본부 폐지
    • 서울지사·수도권동부지사·수도권서부지사·수도권북부지사·수도권남부지사·강원지사·대전지사·충북지사·충남지사·광주지사·전북지사·전남지사·대구지사·경북북부지사·경북남부지사·부산지사·경남지사 신설
  • 2009년 8월 4일
    • “그룹대표역” 폐지
    • 서울지사·수도권동부지사·수도권서부지사·수도권북부지사·수도권남부지사·강원지사·대전지사·충북지사·충남지사·광주지사·전북지사·전남지사·대구지사·경북북부지사·경북남부지사·부산지사·경남지사 폐지
    • 서울본부·수도권동부본부·수도권서부본부·강원본부·대전충남본부·충북본부·광주본부·전북본부·전남본부·대구본부·경북본부·부산경남본부 신설
  • 2015년 3월 30일: 물류사업단 신설
  • 2019년 6월 24일: 물류사업단 폐지
  • 2020년 9월 21일
    • 수도권서부본부 → 수도권광역본부
    • 수도권동부본부 → 서울본부
    • 대전충남본부 → 대전충청본부
    • 충북본부 → 대전충청본부 충북지역관리단
    • 경북본부 → 대구경북본부
    • 대구본부 → 대구경북본부
    • 전남본부 → 광주전남본부
    • 광주본부 → 광주전남본부 광주지역관리단
  • 2023년 12월 26일
    • 수도권광역본부 → 수도권서부본부
    • 수도권동부본부 부활
    • 대전충청본부 → 대전충남본부
    • 대전충청본부 충북지역관리단 → 충북본부
    • 경북본부 → 대구경북본부
    • 대구본부 부활
    • 광주전남본부 → 전남본부
    • 광주전남본부 광주지역관리단 → 광주본부

조직[편집 | 원본 편집]

지역본부는 2024년 9월 기준 12개 본부.

6실 12본부 2단 부속기관 지역본부
  • 안전본부
  • 기획조정본부
  • 인재경영본부
  • 디지털융합본부
  • 여객사업본부
  • 광역철도본부
  • 물류사업본부
  • 신성장사업본부
  • 해외사업본부
  • 차량본부
  • 시설본부
  • 전기본부
  • 홍보문화실
  • 감사실
  • 재무경영실
  • 고객마케팅단
  • 열차운영단
  • 비서실
  • 법무실
  • 디자인실
  • 인재개발원
  • 철도연구원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 대전철도차량정비단
  • 부산철도차량정비단
  • 호남철도차량정비단
  • 고속시설사업단
  • 고속전기사업단
  • 철도교통관제센터
  • 회계통합센터
  • IT운영센터
  • 특별동차운영단
  • 차량기술센터
  • 서울정보통신사무소
  • 서울본부
  • 수도권서부본부
  • 수도권동부본부
  • 강원본부
  • 대전충남본부
  • 충북본부
  • 전북본부
  • 광주본부
  • 전남본부
  • 경북본부
  • 대구본부
  • 부산경남본부

계열사[편집 | 원본 편집]

  • 코레일관광개발
    열차 승무원의 용역파견(카페열차 등의 차내 판매 포함)과 여행업을 담당하는 회사. 여행업의 경우 여행상품 개발 및 폐철도를 이용한 관광지 운영(레일바이크, 바다열차 등)을 하고 있다.
  • 코레일네트웍스
    계열사 IT시스템 관리, 역무원의 용역파견(주차장 관리, KTX특송, 철도고객센터 운영 포함),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 광명 버스 8507 운행, 레일플러스 및 레일포인트 운영을 담당하는 회사.
  • 코레일로지스
    물류업을 총괄하는 회사로 철도 화물 접수, 야드 운영, 포워더 등을 담당하는 회사. KTX특송은 철도 소화물에서 파생된 거라 역무를 담당하는 코레일네트웍스에서 받는다.
  • 코레일유통
    홍익회의 수익사업을 이관 받은 자회사로 홍익회가 설립한 후 코레일이 매입하는 형태로 이관됐다. 역내 상업시설, 광고시설을 담당한다. "스토리웨이"의 운영사가 이곳.
  • 코레일테크
    차량정비, 환경정화(청소), 엔지니어링, 경비업을 담당하는 회사. 전기·궤도·차량 3개 시설관리 자회사를 통합하여 설립했으며, 이후 환경정화 및 경비업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면서 현재의 모습이 된다.
  • 주식회사 SR
    수도권고속철도 운영사. 당초 국철의 간섭을 받지 않는 독립회사로 설립될 예정이었으나 민영화 논란이 불거지면서 코레일이 제1주주로 들어가는 형태로 무마되었다.

사업분야[편집 | 원본 편집]

  • 열차 운행, 차량 관리
  • 철도 관제: 국토교통부의 위임을 받아서 고속선을 포함한 국철 구간의 관제를 하고 있다. 수도권고속철도의 출범으로 제3의 기관으로 분리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 역사 관리: 주요 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코레일테크에 이관하고 있다.
  • 선로 보수: 국가철도공단의 업무이지만, 기존선의 유지보수는 철도청을 승계한 코레일 쪽에서 하고 있으며 선로사용료를 유지보수비용과 상계하고 있다. 토목직으로 들어가면 이걸 하는 데 4년제 나와서 기사따고 곡괭이질하고 있으면 현타오기 십상이다.(...)

운행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운영 노선[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 문서에서 일반철도 노선[1]의 역사 및 선로를 관리한다.

차량[편집 | 원본 편집]

편의상 한국철도공사가 출범한 2005년에 전량 퇴역한 2100호대 디젤기관차와 운행을 종료한 901호 증기기관차는 제외했다.

여객열차[편집 | 원본 편집]

이름 번호 도입량 도입연도 설명
고속·준고속
KTX 100,000 46편성 1997~2004
KTX-산천 110,000 24편성 2008~2011
SRT 120,000 22편성 2013~2014 SR에 임대
KTX-산천 140,000 15편성 2016~2017 KTX_산천으로도 표기됨
KTX-이음 150,000 19편성 2019~2021
KTX-청룡 160,000 2편성 2024
간선
누리로 200,000 8편성 2009
ITX-새마을 210,000 23편성 2013~2014
ITX-마음 220,000 27편성 2022~2024
기타
DHC - 62편성 1987~1994 모두 퇴역
NDC 9,000 22편성 1984~1989 모두 퇴역
CDC 9,000 15편성 1996~1999 모두 퇴역
RDC 9,000 50편성 2008~2010 모두 퇴역

통근형 전동차[편집 | 원본 편집]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전동차에서 간략히 다룬다.

번호 도입량 도입연도 설명
1,000 94편성 1974~1997 모두 퇴역
3,000 27편성 1995~2024 서울교통공사 차량과 번호를 공유
311,000 253편성 1996~2024 319000호대 포함
일부 퇴역
321,000 21편성 2006~2009
331,000 27편성 2009~2014
341,000 55편성 1993~2024
351,000 79편성 1993~2024
361,000 14편성 2010
368,000 8편성 2011 ITX-청춘
371,000 12편성 2016
381,000 17편성 2016~2018
391,000 17편성 2017~2022

기관차[편집 | 원본 편집]

번호 도입량 도입연도 설명
전기기관차
8,000 94량 1972~1990 일부 퇴역
8,100 2량 1998
8,200 83량 2003~2008
8,500 87량 2012~2014
디젤기관차
4,400 59량 2001~2004
7,000 15량 1986~1987 모두 퇴역
7,100 90량 1975~1985 모두 퇴역
7,200 40량 1971~1980 모두 퇴역
7,300 83량 1989~1996 일부 퇴역
7,400 84량 1997~2000 일부 퇴역
7,500 76량 1971~1996 일부 퇴역

사건사고[편집 | 원본 편집]

시설[편집 | 원본 편집]

한국철도공사에서 관할하는 시설은 직제규정 시행세칙에 나열되어 있다. 직제규정 시행세칙은 철도청 폐지로 그 역할을 다한 “철도청과그소속기관운영세칙”을 공기업 버전으로 바꾼 것으로,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가능하다.

공기업 설립 이후 철도거리표(정부)와 직제규정(코레일)의 관리가 분리되면서 신설/폐지가 즉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과거 “역”의 일부로 인식되었던 신호장, 신호소가 현업의 일부로 격하하면서 해당 부분의 신설·폐지가 유연해졌다.

[편집 | 원본 편집]

지역본부 관리역 소속역
서울 문산 곡산, 백마, 풍산, 일산, 탄현, 야당, 운정, 금릉, 금촌, 월롱, 파주, 운천, 임진강, 도라산
능곡 대곡, 백석, 마두, 정발산, 주엽, 대화, 화정, 원당, 원흥, 삼송, 지축, 김포공항, 원종, 부천종합운동장, 대정, 원릉, 삼릉, 벽제, 일영, 장흥, 송추
수색 디지털미디어시티, 가좌, 신촌, 한국항공대, 강매, 행신, 홍대입구
서울 남영
용산 효창공원앞, 공덕, 서강대, 이촌, 서빙고, 한남
수도권
서부
영등포 신길, 대방, 노량진
구로 가산디지털단지, 신도림, 구일
부천 중동, 송내, 소사, 역곡, 온수, 오류동, 개봉, 소새울, 시흥대야, 신천, 신현, 시흥시청, 시흥능곡
광명 독산, 금천구청
안양 관악, 석수, 명학, 금정, 범계, 평촌, 인덕원, 정부과천청사, 과천, 대공원, 경마공원, 선바위, 당정, 군포
오봉 의왕
수원 화서, 성균관대, 세류, 고색, 오목천, 어천, 야목, 세마, 병점, 서동탄
평택 평택지제, 서정리, 송탄, 진위, 오산, 오산대, 서화성, 화성시청, 향남, 안중
안산 신길온천, 정왕, 오이도, 초지, 고잔, 중앙, 한대앞, 상록수, 반월, 대야미, 수리산, 산본, 사리, 달미, 선부, 시우, 원시
송도 연수, 원인재, 남동인더스파크, 호구포, 인천논현, 소래포구, 월곶, 달월, 인하대, 숭의, 신포
인천 동인천, 도원, 제물포, 도화, 주안, 간석, 동암, 백운, 부평, 부개
수도권
동부
청량리 왕십리, 응봉, 옥수
광운대 외대앞, 신이문, 석계, 월계, 녹천, 창동, 방학, 도봉, 도봉산
의정부 망월사, 회룡, 가능, 녹양, 양주, 덕계, 덕정, 지행, 동두천중앙, 보산
동두천 소요산, 청산, 전곡, 연천, 신망리, 대광리, 신탄리, 백마고지
수서 서울숲, 압구정로데오, 강남구청, 선정릉, 선릉, 한티, 도곡, 구룡, 개포동, 대모산입구
경기광주 판교, 성남, 삼동, 초월, 곤지암, 신둔도예촌, 이천, 부발, 세종대왕릉, 여주
모란 야탑, 이매, 서현, 수내, 정자, 태평, 가천대, 복정
죽전 오리, 미금, 보정, 구성, 신갈, 기흥, 상갈, 청명, 영통, 망포, 매탄권선, 수원시청, 매교
망우 회기, 중랑, 상봉, 양원, 구리, 도농, 양정, 덕소, 도심, 팔당, 운길산, 신내, 갈매
춘천 별내, 퇴계원, 사릉, 금곡, 평내호평, 천마산, 마석, 대성리, 청평, 상천, 가평, 굴봉산, 백양리, 강촌, 김유정, 남춘천
양평 양수, 신원, 국수, 아신, 오빈, 원덕, 용문, 지평 , 석불, 일신
원주 매곡, 양동, 삼산, 서원주
강원 강릉 안인, 정동진, 제진
동해 망상, 묵호, 묵호항, 추암, 삼척해변, 삼화, 마차리, 신기, 미로 , 옥계
평창 만종, 횡성, 둔내, 진부
태백 동점, 철암, 백산, 동백산, 도계, 고사리, 하고사리, 문곡, 추전
울진 후포, 평해, 기성, 매화, 죽변, 흥부, 옥원, 임원, 근덕, 삼척
충북 충주 소이, 주덕, 달천, 목행, 동량, 가남, 감곡장호원, 앙성온천, 살미, 수안보온천, 연풍, 문경
제천 입석리, 쌍룡, 연당
제천조차장 봉양, 삼탄, 공전
도담 삼곡, 단양, 고명
민둥산 영월, 석항, 예미, 함백, 자미원, 사북, 고한, 선평, 정선, 나전, 아우라지, 구절리, 별어곡
대전
충남
천안 두정, 직산, 성환, 봉명, 쌍용
오송 오근장, 청주공항, 내수, 증평, 보천, 도안, 청주, 음성, 공주
조치원 전의, 매포, 부강, 부강화물, 소정리
대전 세천, 옥천, 이원, 지탄, 영동, 심천, 각계, 황간, 추풍령
천안아산 아산, 탕정, 배방, 온양온천, 신창, 도고온천
홍성 예산, 화양, 신성, 광천, 원죽, 신례원, 삽교, 인주, 합덕
대천 청소, 주포, 남포, 웅천, 판교, 서천, 장항
서대전 가수원, 계룡, 개태사, 연산, 부황, 논산, 강경, 연무대, 흑석리
대전조차장 회덕, 신탄진
전북 익산 용동, 함열, 대야, 개정, 군산, 동익산, 황등, 군산화물, 옥구, 군산항
정읍 김제, 감곡, 신태인, 초강, 천원, 노령, 부용, 와룡
전주 삼례, 신리, 죽림온천, 동산, 북전주, 남원, 임실, 봉천, 오수, 서도, 산성, 주생, 옹정, 금지, 관촌
광주 광주 백양사, 안평, 장성, 극락강, 하남, 임곡, 장성화물
목포 무안, 몽탄, 일로, 임성리, 대불, 나주, 노안, 다시, 고막원, 함평
광주송정 서광주, 효천, 남평, 능주, 이양, 화순
전남 순천 곡성, 압록, 구례구, 봉덕, 괴목, 개운, 동운, 원창, 구룡, 벌교, 조성, 예당, 득량, 보성, 광곡, 명봉, 성산
여수엑스포 율촌, 덕양, 여천
광양 흥국사, 적량, 태금, 광양항, 신광양항, 진상
경북 영주 풍기
점촌 옥산, 청리, 상주, 백원, 함창, 용궁, 개포, 예천, 어등, 주평
안동 의성, 군위
춘양 봉화, 거촌, 봉성, 법전, 임기, 현동, 분천, 승부, 석포
대구 김천(구미) 신암, 직지사, 김천
구미 대신, 아포, 사곡 , 약목, 왜관, 연화
대구 지천, 신동, 신동화물, 서대구
동대구 고모, 가천
경산 삼성, 남성현, 청도, 신거
영천 북영천, 아화, 하양, 금호, 금강, 청천
경주 서경주, 안강
포항 효자, 월포, 장사, 강구, 영덕, 영해, 고래불, 괴동, 영일만항
부산
경남
밀양 상동, 삼랑진, 한림정, 진영, 낙동강
구포 원동, 물금, 화명, 사상, 양산화물
부산
울산 태화강, 서생, 남창, 덕하, 온산, 울산항, 장생포, 울산신항, 용암, 망양, 개운포, 북울산
부전 거제해맞이, 거제, 교대, 동래, 안락, 부산원동, 재송, 센텀, 벡스코, 신해운대, 송정, 오시리아, 기장, 일광, 좌천, 월내
마산 창원중앙, 창원, 중리, 함안, 남창원, 진례, 성주사, 경화, 진해, 통해, 신창원, 덕산
진주 군북, 반성, 완사, 북천, 횡천, 하동
부산신항 북철송장, 남철송장, 장유
부산진 가야, 우암, 신선대, 범일

현업[편집 | 원본 편집]

현업사무소는 대부분 관리역에 따라오는 시설로 관리역에서 운전정리, 보선작업, 로컬관제 등을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권역화된 것이다. 다만 차량기지는 소재지를 유연하게 하는 편으로 서울·수색, 행신, 광역철도 기지 등이 해당한다.

승무사업소[편집 | 원본 편집]

승무사업소는 기관사/기장·승무원 등 승무사업을 관리하는 곳으로 지도운용팀장 등이 승무행로표 작성, 기관사 출무절차 진행, 대체 기관사 수배 등을 한다.

관리역 중에서도 시종착이 빈번하거나 중간 교대가 용이한 역에 설치되며, 무연고지에서 막차를 맞이하는 승무원을 위한 숙면실을 설치한다. 그리고 1개 사업소에서 관할하는 노선 또는 구간이 많은 경우 주재를 두기도 한다.

2020년 9월 3일 부 직제규정 시행세칙 변경에 의거하여 신설된 지역관리단에는 승무사업소를 두지 않는다. 승무사업소는 본부 직할로 통폐합 한다.

지역본부 소속 승무사업소
서울 서울고속철도기관차, 서울기관차, 서울고속철도열차, 용산기관차, 용산고속철도열차, 일산
수도권서부 구로, 구로열차, 안산, 부곡기관차, 병점
수도권동부 성북, 청량리전동차, 청량리고속철도기관차, 청량리열차, 분당
강원 동해기관차, 동해열차
충북 제천기관차, 제천열차
대전충남 대전기관차, 대전열차, 천안기관차
전북본부 익산기관차, 익산열차
광주 광주고속철도기관차, 광주열차
전남 순천기관차승무사업소, 순천고속철도열차
경북 영주기관차, 영주열차
대구 대구기관차, 대구열차, 포항기관차, 김천기관차
부산경남 부산기관차, 부산고속철도기관차, 부산고속철도열차, 마산기관차, 마산열차

차량사업소[편집 | 원본 편집]

  • 2020.9.3부로 각 지역본부 소속인 차량사업소를 정비단 소속으로 통폐합하였다.
지역본부 소속 차량사업소
서울 서울, 수색, 문산
수도권서부 구로, 부곡, 시흥, 병점
수도권동부 청량리, 이문, 분당, 평내, 용문, 부발
강원 강릉, 동해
충북 제천, 제천조차장
대전충남 대전
전북 익산
광주 광주, 목포
전남 순천, 여수
경북 영주
대구 대구, 포항
부산경남 부산, 가야, 부산신항, 마산, 울산

신호장[편집 | 원본 편집]

지역본부 소속 신호장
수도권서부 창내
수도권동부 운학, 아미
강원 상정, 도경리, 솔안, 대관령, 남강릉
충북 청령포, 탄부, 연하, 조동, 금가
대전충남 전동, 서창, 내판, 채운
전북 군산옥산
광주 동송정
전남 초남, 황길, 평화
경북 문단, 녹동, 옹천
대구 부조, 외동, 모량[2]

신호소[편집 | 원본 편집]

지역본부 소속 신호소
수도권서부 신대, 지제
강원 청량
전북 목천
광주 북송정
부산경남 미전, 용강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수서평택고속선,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선과 그 지선, 진접선,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은 제외
  2. 경주역에서 운전취급 담당
Korail logo.svg 한국철도공사
자회사 현행 코레일관광개발 · 코레일네트웍스 · 코레일로지스 · 코레일유통 · 코레일테크 · SR
소멸
매각
코레일개발 · 코레일공항철도 · 코레일애드컴 · 코레일엔지니어링 · 코레일전기 · 대구복합화물터미널 · 브이캐시 · 인터네셔널패스앤커머스 · 철도산업개발 · 파발마 · 한국철도종합지원센터 · K종합서비스
연관항목 내일로 · 레일플러스 · 코레일멤버십라운지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종합회사 혹은 열차운행사
공기업
및 자회사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대구교통공사
대전교통공사 광주교통공사 SR 서해철도 김포골드라인운영
사기업 공항철도 부산-김해경전철 서울시메트로9호선 네오트랜스 용인경량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우진메트로 로템SRS
시설관리사 혹은 민자사업자
공공기관 인천국제공항공사 국가철도공단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테크 남양주도시공사
사기업 신분당선 전라선철도 가야철도 우이신설경전철 이레일
경기철도 남서울경전철 새서울철도 스마트레일 서부광역철도
넥스트레인 SG레일 동북선도시철도 의정부경량전철
해산한 기업은 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목록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