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본사 소재지 | 대전광역시 |
---|---|
설립년도 | 2005년 |
영업 권역 | 대한민국 |
보유선로 | 3,825 km |
웹 사이트 | http://korail.com |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 1월 1일에 출범한 대한민국의 국유철도 영업과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공기업이다. 전신은 철도청이며, 철도청의 영업부분을 핵심으로 이어받았다. 철도의 건설, 시설 관리, 연구 부분은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 이관되어 있다.
목차
1 역사[편집]
2 조직[편집]
2.1 본사[편집]
2015년 4월 기준 6실 5본부 5단
- 홍보문화실
- 감사실
- 안전본부
- 여객본부
- 운전기술단
- 관광사업단
- 물류본부
- 광역철도본부
- 사업개발본부
- 경영혁신실
- 기획조정실
- 인사노무실
- 재무관리실
- 차량기술단
- 시설기술단
- 전기기술단
2.2 지역본부[편집]
2015년 4월 기준 12개 본부. 여기서 물류 기능을 분리하여 물류본부 산하 6개 사업단으로 재편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본부도 비슷한 구도로 재편될 것으로 전망된다.
- 강원본부
- 경북본부
- 광주본부
- 대구본부
- 대전충남본부
- 부산경남본부
- 서울본부
- 수도권 동부본부
- 수도권 서부본부
- 전남본부
- 전북본부
- 충북본부
2.3 소속기관[편집]
- 대전철도차량정비단
- 부산철도차량정비단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 한국철도공사 연구원
- 인재개발원
- 정보기술단
- 철도교통관제센터
- 회계통합센터
2.4 해외주재[편집]
- 프랑스 주재
2.5 계열사[편집]
3 사업분야[편집]
- 철도 운행
- 역사 관리 : 주요 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에 이관하고 있다.
- 선로 보수 :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업무이지만, 코레일 쪽에서도 작업을 하여 선로 사용료를 경감받고 있다.
- 철도 관제 : 국토교통부의 위임을 받아서 고속선을 포함한 국철 구간의 관제를 하고 있다. 수도권고속철도의 출범으로 제3의 기관으로 분리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4 운영현황[편집]
4.1 노선[편집]
![]() | ||||||
---|---|---|---|---|---|---|
고속 | 경부고속 (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 | |||
간선 | 경부(지선) | 호남(지선) | 경의(지선) | 경원 | 충북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동해(지선) | 경전(지선) | 중앙(지선) | 영동(지선) |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인천공항(지선) | 경강 | 서해 | 중부내륙 | |
남부내륙 | ||||||
광역 | 경인 | 일산 | 과천 | 안산(지선) | 분당(지선) | 신분당 |
별내 | 하남 | 진접 | ||||
사유 | 화순선 | 포스코선 | 광양제철소선 | 당진제철소 내부 철도 | ||
지선은 소속 노선 옆에 표기함.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 참조 |
4.2 차량[편집]
코레일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차량
| |||||
---|---|---|---|---|---|
고속철도 (KTX) | 100 KTX-I | 110 KTX-산천 1세대 | 1x0 KTX-산천 2세대 | EMU-250/300 | |
간선형 전동차 | 200 누리로 | 210 ITX-새마을 | 368 ITX-청춘 | ||
디젤동차 | 9000 RDC | 9500 CDC | |||
통근형 전동차 | 1000 | 3000 | 3x1 VVVF 1세대 | 3x1 VVVF 2세대 | 3x1 VVVF 3세대 |
3xx VVVF 4세대 | |||||
전기기관차 | 8000 | 8100 · 8200 | 8500 | ||
디젤기관차 | 4400 | 7x00 특대형 | 7600 | ||
퇴역 차량은 코레일의 철도 차량 문서를, 공사 전환 전 차량에 대해서는 틀:철도청의 철도차량을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