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철도차량 정보
운영 한국철도공사
제작연도 1974~1977년 (초저항)
1986~1992년 (중저항)
1994~1997년 (신저항)
생산량 793량 (86편성)
구조 1편성 10량
제원
궤간 1,435 mm (표준궤)
최고속도 110 km/h
엔진 직류 직권 전동기, 중공축 평행카르단
출력 120 kW
가속도 2.5 km/h/s
감속도 3 km/h/s (상용)
4 km/h/s (비상)
제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 제동
전기 교류 25 kV, 60 Hz, 팬터그래프
직류 1,500 V, 팬터그래프
제어 저항제어
보안 ATS

1호선 운행을 위해 철도청(한국철도공사)과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서울교통공사)에서 도입한 통근형 전동차이다.

저항제어 차량은 장거리를 누비면 구동계(브러시드 모터)의 유지보수 소요가 급증했기 때문에 장거리 고속운전에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VVVF 차량을 도입한 이후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은 병점 이남으로는 운행하지 않았고, 대부분 경인선 급행에 이용되었다.

개발[편집 | 원본 편집]

당시 철도 차량, 특히 전동차 제작 기술이 부족했다. 따라서 1호선 차량과 신호를 일본의 해외철도기술협력협회(JARTS)와 협의했다. 도입할 차량은 일본국유철도 소속 301계와 103계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으로 결정되었는데, 편성 수가 많은 탓인지 일본의 여러 제작사가 함께 제작했다.

이후 차량은 전동차 국산화를 위해 한국 기업이 최종 제작했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도입 시기에 따라 크게 초저항, 중저항, 신저항, 개조저항 4개로 구분할 수 있다.

1세대 (초저항)[편집 | 원본 편집]

전두부 형상이 네모반듯한 형상이여서 일명 식빵이라 불리기도 한다. 외형적인 특징으로 운전실 창문이 좌우로 분리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중련에 대비한 관통문이 설치되어있다는 점이다. 물론 중련으로 운행한 경우가 없었기에 관통문도 사용되지 않았다.

1970년대 도입되었기에 낙창식 창문, 객실 냉방용 선풍기가 적용되었다. 이 때문에 여름철이 되면 객실에 가득찬 승객들의 열기를 제대로 식혀줄 수 없어서 지옥철이라는 악명이 등장하게 되었다. 거기에 저항제어 특성상 제동시 상당한 열기를 내뿜게 되는데 그렇지 않아도 찜통으로 변한 객실의 온도가 더욱 높아지도록 부채질하였다. 초저항의 냉방 문제는 꾸준히 민원이 제기되었고,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대외적인 이미지 재고를 위하여 중저항 차량 도입과 연동하여 선풍기를 에어컨으로 교체하는 개조를 진행하였다. 다만 한국철도공사 차량은 에어컨 개조 이후에도 냉방 성능의 불만족 및 개조기술력 부족으로 객실 내로 물이 떨어지는 등 문제점은 남아있었다.

1차, 공통 (1974)[편집 | 원본 편집]

1974년에 제작한 101~121편성(한국철도공사), 101~110편성(서울교통공사), 총 31편성(186칸)이 해당한다. 모두 6량 편성으로 도입되었다.

2차, 한국철도공사 (1976~1979)[편집 | 원본 편집]

1976~1979년에 제작한 122~142편성, 총 21편성(126칸)이 해당한다. 모두 6량 편성으로 도입되었다.

  • 136편성: 4, 5호차가 1979년에 도입되었기 때문에 그 동안 4량 편성이었다. 국철 용산~성북 계통이 4량 차량으로 운행을 시작했다는 기록이 있는데,[2] 136편성이 바로 그 차량인 것으로 보인다.
  • 137편성: 1호차만 1978년에 도입되고, 나머지 차량이 1979년에 도입되었기 때문에 그 동안에는 운행할 수 없었다.

2차, 서울교통공사 (1977~1978)[편집 | 원본 편집]

1977~1978년에 제작한 111~116편성, 총 6편성(36칸)이 해당한다. 모두 6량 편성으로 도입되었다.

2세대 (중저항)[편집 | 원본 편집]

1988년 서울 올림픽에 대비하여 도입한 전동차이다. 일단 외형적으로 전두부 형상이 대폭 변화하여 초저항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운전실 중앙에 설치되었던 관통문이 삭제되었으며, 네모반듯한 기존 전두부 형상에 약간의 경사각이 적용되었다. 객실 출입문에 설치된 창문의 형태에 따라 초기형(1987~1991)과 후기형(1991~1992)이 구분되는데, 초기형은 세로가 길다란 직사각형 창문이며, 후기형은 정사각형 창문이다. 초저항 차량과 달리 보조 전원 장치를 전동 발전기가 아니라 정지형 인버터로 변경하였으며, 운행 기록 장치와 냉방 장치(에어컨, 히터)를 장착하였다. 저항기는 국내 업체인 우진산전 제품이다.

3차, 한국철도공사 (1987~1988)[편집 | 원본 편집]

1987~1988년에 제작한 143~149편성, 총 7편성(70칸)이 해당한다. 모두 10량 편성으로 도입되었다.

4~6차, 한국철도공사 (1988~1991)[편집 | 원본 편집]

1988~1989년에 제작한 201~205, 154~163편성, 총 15편성(76칸)이 해당한다. 6량 편성 차량은 안산선, 4량 편성 차량은 용산~성북 계통에 투입되었다.

  • 201~205편성: 1988년에 제작되었고 6량 편성이다. (4차)
  • 154~156편성: 1989년에 제작되었고 6량 편성이다. (5차)
  • 157~158편성: 1989~1990년에 제작되었고 4량 편성이다. (5차) 이후 1996년 현대정공에서 제작한 객차(M, M') 2량을 붙여 6량으로 증량했다.
  • 159~163편성: 1991년에 제작되었고 4량 편성이다. (6차)
    • 159~161편성: 1994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객차(M, M') 2량을 붙여 6량으로 증량한 뒤, 1996년 현대정공에서 제작한 객차(M, M', T) 4량을 붙여 10량으로 증량했다.
    • 162~163편성: 1996년 현대정공에서 제작한 객차(M, M') 2량을 붙여 6량으로 증량했다.

7~8차, 한국철도공사 (1991~1992)[편집 | 원본 편집]

1991~1992년에 제작한 164~173편성, 총 10편성(88칸)이 해당한다.

  • 164~166편성: 6량 편성이다.
  • 167~173편성: 10량 편성이다.

3세대 (신저항)[편집 | 원본 편집]

신저항의 기술적 사양은 2세대 차량과 유사하나, 외형적으로 열차 전두부의 상단의 형태가 2세대 차량처럼 평평하지 않고 둥근 형태이다. 이는 후속 열차로 도입된 VVVF 1세대(일명 납작이)의 외형과 상당히 유사한 편이다. 저항기는 2세대와 마찬가지로 우진산전의 제품을 사용한다.

2020년 4월 14일, 183편성이 신길역에서 탈선하여 일부 신저항 차량이 25년 내구연한을 채우지 못하고 퇴역했다.

9차, 한국철도공사 (1994~1995)[편집 | 원본 편집]

1994~1995년에 제작한 174~179편성, 총 6편성(60칸)이 해당한다.

10차, 한국철도공사 (1996~1997)[편집 | 원본 편집]

1996~1997년에 제작한 180~181, 183~186편성, 총 6편성(40칸)이 해당한다.

  • 180편성: 10량 편성이다,
  • 181, 183~186편성: 6량 편성이다. 하지만 차호 상으로는 181, 183~184편성은 8량이고, 185~186편성은 Tc차(1085, 1185, 1086, 1186호)만 도입했다.

182편성은 M 및 M'차(1482, 1582)만 도입되어서 이 당시에는 없었다. 이렇게 도입한 이유는 용산~성북 계통에는 6량 편성 열차만 운행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후에 일부 초저항이 퇴역하고 남은 객차를 이용하려 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개조 (개조저항)[편집 | 원본 편집]

개조, 한국철도공사 (1998, 2006)[편집 | 원본 편집]

1998년 재조성된 182편성 및 1087호와 2006년 재조성된 188~194편성, 총 8편성이 해당한다. 초저항과 중저항이 퇴역하고 남은 객차 중 T를 Tc로 개조했다. 1087호는 짝인 1187호가 없었기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았다.

개조된 차량의 원래 번호는 아래 표와 같다.

편성 현재 번호
10__ 11__
원래 번호
182 1842 1942
187 1943
188 1829 1929
189 1830 1930
190 1831 1931
191 1832 1932
192 1833 1933
193 1834 1934
194 1835 1935

개조, 서울교통공사 (1999, 2002)[편집 | 원본 편집]

1999년 재조성된 107~110편성과 2002년 재조성된 115~116편성, 총 6편성이 해당한다. 초저항이 퇴역하고 남은 객차 중 T를 Tc로 개조했다. 개조 및 조성작업은 현대정공(1999년)과 현대로템(2002년)이 담당하였으며, 개조된 전두부 운전제어 차량의 외형은 코레일 신저항 차량과 유사한 형상이다.

  • 107~110편성:
    • 108~110편성: 2002년 112~114편성으로 변경되었다. 이때 차호도 함께 개정되었다.
    • 107편성: 동력객차가 부족해서 1995년 현대정공에서 제작한 객차(M, M') 4량을 달았다. 2002년 수원역에서 선로보수 모터카와 추돌하여 3칸이 대파, 4칸이 중파했고, 대파한 3칸(1114, 1314, 1014호)는 폐차했다. 2004년 로템에서 제작한 차량으로 대체한 후 111편성으로 변경하여 운행했다.

한국철도공사 차호 개정[편집 | 원본 편집]

1981년[편집 | 원본 편집]

초저항 차량을 재조합하고, 신규 제작 객차를 추가하여 8량으로 늘렸다.

  • 101~128편성: 기존 차량을 재조합했다.
  • 129~136편성: 기존 Tc차량에 1980~1981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객차(M, M') 8량을 이용하여 8량으로 늘렸다.
  • 137편성: 기존 Tc차량에 1981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객차(M, M') 2량과 1981년 현대차량에서 제작한 객차(M, M') 4량을 이용하여 8량으로 늘렸다.
  • 138~139편성: 기존 Tc차량에 1981년 현대차량에서 제작한 객차(M, M') 8량을 이용하여 8량으로 늘렸다.
  • 140편성: 기존 Tc차량에 1981년 현대차량에서 제작한 객차(M, M') 2량을 붙여 4량 편성으로 재조성했다. 용산~성북 계통을 운행했다.

재조성하고 남은 Tc차 4칸(1121, 1123, 1124, 1126호)은 휴차되었다. 따라서 141~142편성은 없어졌다.

편성 개정 후 번호
10AA 13AA 16AA 13BB 16BB 13CC 16CC 10CC
원래 번호
101 1001 1301 1601 1302 1602 1303 1603 1003
102 1004 1304 1604 1305 1605 1306 1606 1006
103 1007 1307 1607 1308 1608 1309 1609 1009
104 1010 1310 1610 1311 1611 1312 1612 1012
105 1013 1313 1613 1314 1614 1315 1615 1015
106 1016 1316 1616 1317 1617 1318 1618 1018
107 1019 1319 1619 1320 1620 1321 1621 1021
108 1022 1322 1622 1323 1623 1324 1624 1024
109 1025 1325 1625 1326 1626 1327 1627 1027
110 1028 1328 1628 1329 1629 1330 1630 1030
111 1031 1331 1631 1332 1632 1333 1633 1033
112 1034 1334 1634 1335 1635 1336 1636 1036
113 1037 1337 1637 1338 1638 1339 1639 1039
114 1040 1340 1640 1341 1641 1342 1642 1042
115 1043 1343 1643 1344 1644 1345 1645 1045
116 1046 1346 1646 1347 1647 1348 1648 1048
117 1049 1349 1649 1350 1650 1351 1651 1051
118 1052 1352 1652 1353 1653 1354 1654 1054
119 1055 1355 1655 1356 1656 1357 1657 1057
120 1058 1358 1658 1359 1659 1360 1660 1060
121 1061 1361 1661 1362 1662 1363 1663 1063
122 1064 1364 1664 1365 1665 1366 1666 1066
123 1067 1367 1667 1368 1668 1369 1669 1069
124 1070 1370 1670 1371 1671 1372 1672 1072
125 1073 1373 1673 1374 1674 1375 1675 1075
126 1076 1376 1676 1377 1677 1378 1678 1078
127 1079 1379 1679 1380 1680 1381 1681 1081
128 1082 1382 1682 1383 1683 1384 1684 1084
129 1002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1005
130 1008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1011
131 1014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1017
132 1020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1023
133 1026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1029
134 1032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1035
135 1038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1041
136 1044 대우 대우 현대 현대 현대 현대 1047
137 1050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1053
138 1056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1059
139 1062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1065
140 1068 현대 현대 현대

1986년[편집 | 원본 편집]

추가 제작한 객차를 추가하여 대다수 초저항 차량을 10량으로 늘렸다.

  • 101~115편성: 1984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객차(T) 2량을 붙여 10량으로 증량했다.
    • 102편성: 1984년 휘경역에서 화물열차와 충돌하여 1~2호차(1004, 1304)가 완전히 망가졌다. 휴차된 Tc차 1124, 1126호로 Tc차를 모두 대체하고, 1986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객차(M)로 망가진 M차를 대체했다.
    • 114편성: 1986년 인천역에서 화물열차와 충돌하여 10호차(1042호)가 완전히 망가졌다. 102편성에 있던 Tc차 1006호로 망가진 Tc차를 대체했다.
  • 116~135편성: 1985년 현대정공에서 제작한 객차(T) 2량을 붙여 10량으로 증량했다.
  • 136~138편성: 1986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객차(T) 2량을 붙여 10량으로 증량했다.
  • 140편성: 1986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객차(M, M') 4량을 붙여 10량으로 증량했다.
  • 141편성: 1121, 1123호와 1986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객차(M, M') 2량을 붙여 4량 편성으로 재조성했다. 140편성 대신 용산~성북 계통을 운행했다.

1989년[편집 | 원본 편집]

추가 제작한 객차를 추가하여 국철(용산~성북, 안산선 제외) 차량을 10량으로 늘렸고, 차호가 전체적으로 변경되었다.

  • 101~138편성: 차호만 변경되었다.
  • 139편성: 1989년 현대정공에서 제작한 객차(T) 2량을 붙여 10량으로 증량했다.
  • 140편성: 1989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객차(T) 2량을 붙여 10량으로 증량했다.
  • 141편성: 1989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객차(M, M', T) 6량을 붙여 10량으로 증량했다.
  • 142~144, 146편성: 143~145, 147편성에서 차호만 변경되었다.
  • 145, 147편성: 146편성과 149편성을 재조합했다. 4칸의 차호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서 이렇게 한 것으로 보인다.
  • 148편성: 차호만 변경되었다.
  • 149~153편성: 201~205편성을 재조합했다. 150~153편성은 6량이었는데 1996년 현대정공에서 제작한 객차(M, M', T) 4량을 붙여 10량으로 증량했다.
    • 149편성: 1989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객차(T) 2량을 붙여 10량으로 증량했다.
    • 153편성: 1989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객차(M, M') 2량을 붙였다.
편성 현재 번호
10__ 12__ 13__ 18__ 14__ 15__ 19__ 16__ 17__ 11__
원래 번호
145 1136 1436 1736 1286 1437 1737 1295 1445 1745 1145
147 1138 1438 1738 1288 1446 1746 1297 1447 1747 1147
149 2001 2301 2601 대우 2306 2606 대우 2303 2603 2003
150 2004 2304 2604 현대 2309 2609 현대 현대 현대 2006
151 2007 2307 2607 현대 2310 2610 현대 현대 현대 2009
152 2010 2313 2613 현대 2312 2612 현대 현대 현대 2012
153 2013 대우 대우 현대 2315 2615 현대 현대 현대 2015

서울교통공사 10량 증량[편집 | 원본 편집]

차량을 재조합하고 1989년 대우중공업과 현대정공에서 제작한 객차(M, M', T) 총 64칸을 이용하여 차량 길이를 10량으로 늘렸다. 일부 객차는 번호가 바뀌었다.

편성 바뀐 번호
10AA 11AA 13AA 15AA 12AA 14AA 15BB 11BB 13BB 11BB
원래 번호
101 동일 동일 동일 대우 1115 1315 대우 동일 동일 동일
102 동일 동일 동일 대우 1117 1317 대우 동일 동일 동일
103 동일 동일 동일 현대 1119 1319 현대 동일 동일 동일
104 동일 동일 동일 현대 1116 1316 현대 동일 동일 동일
105 동일 동일 동일 현대 1118 1318 현대 동일 동일 동일
106 동일 동일 동일 현대 1120 1320 현대 동일 동일 동일
107 동일 동일 동일 현대 현대 현대 대우 동일 동일 동일
108 동일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동일
109 동일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동일
110 동일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대우 동일
111 동일 동일 동일 대우 1131 1331 대우 동일 동일 동일
112 동일 동일 동일 대우 1129 1329 대우 동일 동일 동일
113 동일 동일 동일 대우 1132 1332 대우 동일 동일 동일
114 동일 동일 동일 대우 1130 1330 대우 동일 동일 동일
115 동일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현대 동일
116 동일 현대 현대 대우 대우 현대 대우 대우 대우 동일

편성구조[편집 | 원본 편집]

한국철도공사, 1차 차호 개정 전[편집 | 원본 편집]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차량 10AA
Tc
13AA
M
16AA
M'
13EE
M
16EE
M'
10EE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차량 1071
Tc
1371
M
1671
M'
1072
Tc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 T: 무동력객차

각 번호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rray}{lcl} AA & = & EE - 1 \\ EE & = & 편성번호 \times 2 \end{array} }[/math]

예를 들어, 101편성(6량)의 차량번호는 1001 - 1301 - 1601 - 1302 - 1602 - 1002이다.

한국철도공사, 1차 차호 개정 후[편집 | 원본 편집]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9호차 10호차
차량 10AA
Tc
13AA
M
16AA
M'
11BB
T
13CC
M
16CC
M'
11DD
T
13EE
M
16EE
M'
10EE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차량 10AA
Tc
13AA
M
16AA
M'
13CC
M
16CC
M'
13EE
M
16EE
M'
10EE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차량 1118
Tc
1418
M
1718
M'
1120
Tc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 T: 무동력객차

각 번호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rray}{lcl} AA & = & EE - 2 \\ BB & = & AA + 50 \\ CC & = & EE - 1 \\ DD & = & EE + 50 \\ EE & = & 편성번호 \times 3 \end{array} }[/math]

예를 들어, 101편성(8량)의 차량번호는 1001 - 1301 - 1601 - 1151 - 1302 - 1602 - 1153 - 1303 - 1603 - 1003이다.

그런데 117편성부터는 DD가, 134편성부터는 모두 100을 넘기 때문에, 각 백의 자릿수에 더해준다. 즉, 117편성(10량)의 차량번호는 1049 - 1349 - 1649 - 1199 - 1350 - 1650 - 1201 - 1351 - 1651 - 1051이고 ,134편성(10량)의 차량번호는 1100 - 1400 - 1700 - 1250 - 1401 - 1701 - 1252 - 1402 - 1702 - 1102이다.

한국철도공사, 2차 차호 개정 후[편집 | 원본 편집]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9호차 10호차
차량 10__
Tc
12__
M
13__
M'
18__
T
14__
M
15__
M'
19__
T
16__
M
17__
M'
11__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차량 10__
Tc
12__
M
13__
M'
14__
M
15__
M'
11__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차량 10__
Tc
12__
M
13__
M'
11__
Tc

서울교통공사, 차호 개정 전[편집 | 원본 편집]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9호차 10호차
차량 10AA
Tc
11AA
M
13AA
M'
15AA
T
12AA
M
14AA
M'
15BB
T
11BB
M
13BB
M'
10BB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차량 10AA
Tc
13AA
M
16AA
M'
13BB
M
16BB
M'
10BB
Tc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 T: 무동력객차

각 번호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rray}{lcl} AA & = & BB - 1 \\ BB & = & 편성번호 \times 2 \end{array} }[/math]

예를 들어, 101편성(6량)의 차량번호는 1001 - 1101 - 1301 - 1102 - 1302 - 1002이고, 10량의 경우 1001 - 1101 - 1301 - 1501 - 1201 - 1401 - 1502 - 1102 - 1302 - 1002이다.

서울교통공사, 차호 개정 후[편집 | 원본 편집]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9호차 10호차
차량 10__
Tc
11__
M
12__
M'
13__
T
14__
M
15__
M'
16__
T
17__
M
18__
M'
19__
Tc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 T: 무동력객차

차량 목록[편집 | 원본 편집]

한국철도공사[편집 | 원본 편집]

차량 개정 번호 제작연도 제작회사 설명
1세대 (초저항)
101~107 (재조성) 1974 니혼사료 101~141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108~113 (재조성) 1974 가와사키중공업 101~141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114~117 (재조성) 1974 긴키차량 101~141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118~121 (재조성) 1974 도큐차량 101~141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122 (재조성) 1976~1977 대우중공업 101~141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1043, 1343호는 1975년 제작했다.
123~133 (재조성) 1977 대우중공업 101~141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134~135 (재조성) 1978 대우중공업 101~141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136~137 (재조성) 1978~1979 대우중공업 101~141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136편성: 1071, 1371, 1671, 1072호는 1978년 제작했다.
137편성: 1073호는 1978년 제작했다.
138~142 (재조성) 1979 대우중공업 101~141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101~139 (재조성) 8량에서 10량으로 증량했다.
140 (재조성) 4량에서 10량으로 증량했다.
141 (재조성) 휴차했다가 4량으로 운행을 재개했다. 이후 10량으로 증량했다.
2세대 (중저항)
143~145 142~144 1987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143편성: 1127, 1277, 1279, 1129호는 현대정공에서 제작했다.
144편성: 1130, 1280, 1282, 1132호는 현대정공에서 제작했다.
145편성: 1133, 1283, 1285, 1135호는 현대정공에서 제작했다.
146 (재조성) 1987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145, 147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1136, 1436, 1736호는 현대정공에서 제작했다.
147 146 1987 대우중공업
148 1988 현대정공
149 (재조성) 1987~1988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145, 147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1145, 1446, 1746, 1447, 1747, 1147호는 1987년에 제작했다.
1145, 1746호는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했다.
142~144 (개번)
145 (재조성)
146 (개번)
147 (재조성)
201 (재조성) 1988 대우중공업 149~153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202 (재조성) 1988 대우중공업
대한조선공사
149~153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2604호는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했다.
203 (재조성) 1988 현대정공 149~153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204 (재조성) 1988 대한조선공사
현대정공
149~153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2310호는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했다.
205 (재조성) 1988 대한조선공사 149~153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149 (재조성)
150~153 (재조성) 6량에서 10량으로 증량했다.
154~155 1989 대우중공업 퇴역하고 남는 객차를 달아 6량에서 10량으로 증량했다.
156 1989 현대정공 퇴역하고 남는 객차를 달아 6량에서 10량으로 증량했다.
157 1989~1990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4량에서 6량으로 증량했다. 이후에는 퇴역하고 남는 객차를 달아 10량으로 증량했다.
1257, 1357호는 1989년, 현대정공에서 제작했다.
158 1989 대한조선공사
현대정공
4량에서 6량으로 증량했다. 이후에는 퇴역하고 남는 객차를 달아 10량으로 증량했다.
1257, 1357호는 현대정공에서 제작했다.
159~161 1991 대우중공업 4량에서 10량으로 증량했다.
162~163 1991 대우중공업 4량에서 6량으로 증량했다. 이후에는 퇴역하고 남는 객차를 달아 10량으로 증량했다.
164 1992 대우중공업 퇴역하고 남는 객차를 달아 6량에서 10량으로 증량했다.
165 1991 현대정공 퇴역하고 남는 객차를 달아 6량에서 10량으로 증량했다.
166 1992 한진중공업 퇴역하고 남는 객차를 달아 6량에서 10량으로 증량했다.
167 1991 대우중공업
168~170 1991 현대정공
171~173 1992 한진중공업
3세대 (신저항)
174 1995 대우중공업
175 1994~1995 대우중공업 1075, 1975, 1675, 1775, 1175호는 1994년에 제작했다.
176~179 1994 대우중공업
180 1996 현대정공
181 1996 현대정공 8량 편성이지만 도입 당시에는 6량으로 운행했고, 1681, 1781호는 185편성에 사용되었다.
이후 1681, 1781호 및 퇴역하고 남는 객차를 달아 10량으로 운행했다.
182 1997 현대정공 1482, 1582호만 제작되었고, 185편성에 사용되었다. Tc차는 없다.
183 1996~1997 현대정공 8량 편성이지만 도입 당시에는 6량으로 운행했고 1683, 1783호는 186편성에 사용되었다.
이후 1683, 1783호 및 퇴역하고 남는 객차를 달아 10량으로 운행했다.
1083, 1183호는 1996년에 제작했다.
184 1997 현대정공 8량 편성이지만 도입 당시에는 6량으로 운행했고 1684, 1784호는 186편성에 사용되었다.
이후 1684, 1784호 및 퇴역하고 남는 객차를 달아 10량으로 운행했다.
개조 (개조저항)
182 1998
188~194 2006

서울교통공사[편집 | 원본 편집]

차량 개정 번호 제작연도 제작회사 설명
101~110 1984 히타치 6량에서 10량으로 증량했고 이때 재조성되었다.
111~113 1977 대우중공업 6량에서 10량으로 증량했고 이때 111~116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114~116 1978 대우중공업 6량에서 10량으로 증량했고 이때 111~116편성으로 재조성되었다.
개조 (개조저항)
107~110 111~114 1999
115~116 2002

이야깃거리[편집 | 원본 편집]

  • 저항제어 특성상 가속이나 감속하는 상황에서 마치 자동차의 변속충격처럼 쿵하는 소리와 함께 객차내로 충격이 전해지는 특성이 있다. 특히 초저항이나 중저항 편성들에게서 이런 충격이 자주 느껴졌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철도박물관측에서 시트 개조를 한 이후 촬영됨
  2.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한국철도공사 소속 철도차량
고속철도 100 KTX 110·140 KTX-산천 120 SRT 대여 150 KTX-이음 160 KTX-청룡
간선형 전동차 200 누리로 210 ITX-새마을 220 ITX-마음 368 ITX-청춘
통근형 전동차 3000 3x1 VVVF 1세대 3x1 VVVF 2세대 3x1 VVVF 2.5세대 3xx VVVF 3세대
전기기관차 8000 8100 · 8200 8500
디젤기관차 4400 7x00 특대형 7600
퇴역한 차량은 한국철도공사 문서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