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보드의 규격에 관한 내용은
메인보드 문서를 읽어 주세요.
ITX(Intercity Train eXpress)는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여객 열차의 등급 명칭이다. 명칭대로 도시간을 잇는 간선열차 등급이며, 운행속도는 고속철도인 KTX보다 낮으며, ITX-청춘은 준고속 등급으로 180 km/h의 속도를 보여주나, 나머지 ITX-새마을과 마음은 150 km/h의 최고속도를 가지므로 기존 새마을호나 무궁화호와 동일한 영업 속도를 갖추고 있다. 정차역도 기존 새마을호나 무궁화호에 준하는 수준으로 많은 편.
객차 노후화로 새마을호와 무궁화호 모두 2030년 안에 폐지될 운명인지라 코레일이 운영하는 여객열차 등급은 KTX와 ITX로 정리될 가능성이 높다. 당초 무궁화호를 대체할 것으로 여겨졌던 ITX-마음이 ITX-새마을과 동일한 운임을 적용하는 것으로 보아 상당수 무궁화호는 지역 광역전철(동남권, 대구권, 충청권 등)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
- ITX-청춘
- 2012년 2월 28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열차로 ITX라는 명칭을 최초로 사용했다. 경춘선 복선전철화 개량 이후 기존에 운행하던 무궁화호 대체하여 운행한다. ITX 등급에서 유일하게 180 km/h의 최고 속도를 보여주므로 준고속 열차 등급으로 운행하고 있다. 다만 코레일의 여객 열차들은 여객사업본부에서 운영하는 것과는 다르게 청춘은 수도권 전철을 운영하는 광역철도본부에서 운영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 문서에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는다.
- ITX-새마을
-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차량으로 6량 1편성으로 구성된다. 명칭대로 퇴역한 새마을호 등급을 계승하는 간선 열차로 도입되었다.
- ITX-마음
- 다원시스에서 제작한 차량으로 4량 1편성(220000호대)과 6량 1편성(230000호대) 두 종류가 있다. 4량 1편성 차량은 복합열차로도 운행한다. 당초 무궁화호 대차 목적으로 예상되었으나 운임이 ITX-새마을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사실상 무궁화호는 자연 도태 수순을 밟게 되었다.
ITX-마음이 ITX-새마을보다 늦게 도입했지만 정차역이 적기 때문에 먼저 서술한다. 물론 ITX-마음 도입이 진행되고 무궁화호 등급이 도태된다면 정차역은 현재보다 증가할 가능성도 남아있다.
- 2023년 9월 1일 시간표 기준
- 굵은 글자: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역
- 경부선 (1100번대)
- 호남선 (1160번대)
- 전라선 (1180번대)
- 태백선 (1190번대)
- 경부선 (1000번대, 1020번대)
- 1000번대는 서울~부산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 1020번대는 서울~신해운대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2016년 12월 9일 신설되었다.
- 경전선 (1030번대)
- 서울~진주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로, 새마을호 시절에는 PP동차 도입과 함께 마산역으로 단축되었던 것을 다시 원상복구한 형태. 16년 12월 시각표 개정으로 1왕복이 더 추가되었다.
- 호남선 (1060번대, 1070번대)
- 1060번대는 용산~목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 1070번대는 용산~광주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 전라선 (1080번대)
- 용산~여수엑스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전라선 계통 역시 KTX가 투입되면서 새마을 때보다 운행횟수가 대폭 감편되었다.
- 중앙선 (1090번대)
- 2021년 1월 5일 KTX-이음으로 대체되었지만 2022년 11월 5일부터 운행을 재개했다. 당시 열차번호는 1070번대였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