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X(Intercity Train eXpress)는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여객 열차의 등급 명칭이다. 명칭대로 도시간을 잇는 간선열차 등급이며, 운행속도는 고속철도인 KTX보다 낮으며, ITX-청춘은 준고속 등급으로 180 km/h의 속도를 보여주나, 나머지 ITX-새마을과 마음은 150 km/h의 최고속도를 가지므로 기존 새마을호나 무궁화호와 동일한 영업 속도를 갖추고 있다. 정차역도 기존 새마을호나 무궁화호에 준하는 수준으로 많은 편.
객차 노후화로 새마을호와 무궁화호 모두 2030년 안에 폐지될 운명인지라 코레일이 운영하는 여객열차 등급은 KTX와 ITX로 정리될 가능성이 높다. 당초 무궁화호를 대체할 것으로 여겨졌던 ITX-마음이 ITX-새마을과 동일한 운임을 적용하는 것으로 보아 상당수 무궁화호는 지역 광역전철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ITX-청춘
- ITX-새마을
- 2014년 5월 12일: 여객 운행 시작[8] (경부, 호남선 계통)
- 2014년 6월 1일: 경전, 전라선 계통 운행 시작
- 2014년 11월 1일: 중앙선 계통 운행 시작
- 2016년 12월 9일: 경부선(서울~신해운대) 계통 운행 시작
- 2021년 1월 5일: 중앙선 계통 운행 종료
- 2022년 11월 5일: 중앙선 계통 운행 재개
- ITX-마음
- 2023년 9월 1일: 영업 운행 시작 (경부, 호남, 전라, 태백선 계통)
- 2023년 12월 18일: 동해선(동대구~부전) 계통 운행 시작
- 2023년 12월 29일: 중앙선 계통 운행 시작
- 2024년 5월 1일: 동해선(동대구~포항) 계통 운행 시작
- 2024년 11월 2일: 장항, 서해, 평택선 계통 운행 시작[9]
- 2024년 12월 20일: 중앙선 계통 부전으로 연장
- 2025년 1월 1일: 동해선(부전~강릉) 계통 운행 시작 및 동해선(동대구~포항) 계통 강릉으로 연장
차량[편집 | 원본 편집]
- ITX-청춘
- 2012년 2월 28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열차로 ITX라는 명칭을 최초로 사용했다. 경춘선 복선전철화 개량 이후 기존에 운행하던 무궁화호 대체하여 운행한다. ITX 등급에서 유일하게 180 km/h의 최고 속도를 보여주므로 준고속 열차 등급으로 운행하고 있다. 다만 코레일의 여객 열차들은 여객사업본부에서 운영하는 것과는 다르게 청춘은 수도권 전철을 운영하는 광역철도본부에서 운영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ITX-마음
- 다원시스에서 제작한 차량으로 4량 편성과 6량 편성 두 종류가 있다. 4량 차량은 복합열차로도 운행한다. 당초 무궁화호 대차 목적으로 예상되었으나 운임이 ITX-새마을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사실상 무궁화호는 자연 도태 수순을 밟게 되었다.
계통[편집 | 원본 편집]
ITX-마음이 ITX-새마을보다 늦게 도입했지만 정차역이 적기 때문에 먼저 서술한다. 물론 ITX-마음 도입이 진행되고 무궁화호 등급이 도태된다면 정차역은 현재보다 증가할 가능성도 남아있다.
- 2025년 1월 1일 시간표 기준
- 굵은 글자: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역
- 운행횟수에서 중련 및 복합열차는 별개로 계산
ITX-마음[편집 | 원본 편집]
- 경부선 (1100번대)
- 서울~부산 간을 운행한다. 2023년 9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2왕복 운행하다가 열차가 확충되어 2024년 5월 1일부터 8왕복(4중련)으로 늘었다. 9월 26일부터 두 편성이 단편성으로 변경되어 6왕복으로 줄었고, 2025년 1월 1일부터는 모두 단편성으로 변경되어 4왕복으로 더 줄었다.
- 정차역: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10] - 대구 - 동대구 - 청도[11] - 밀양 - 물금[10] - 구포 - 부산
- 운행횟수: 매일 4왕복
- 경부선 (1130번대)
- 동대구~부산 간을 운행한다. 2024년 9월 26일 운행을 시작했다. 1100번대와 달리 정차역이 많다.
- 정차역: 동대구 - 경산 - 청도 - 상동[12] - 밀양 - 삼랑진[12] - 물금[12] - 구포 - 부산
- 운행횟수: 매일 1왕복
- 호남선 (1140번대)
- 용산~익산 간을 운행한다. 2024년 5월 1일 운행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2왕복(1중련) 운행하다가 11월 2일부터 단편성으로 변경되어 1왕복으로 줄었다.
- 정차역: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운행횟수: 매일 1왕복
- 장항선 (1150번대)
- 용산~홍성 간을 운행한다. 2024년 11월 2일 운행을 시작했다.
- 정차역: 용산 - 영등포 - 안양[13]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창 - 신례원[14] - 예산 - 홍성
- 운행횟수: 매일 1왕복
- 호남선 (1160번대)
- 용산~목포 간을 운행한다. 2023년 9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 정차역: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15]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16] - 목포
- 운행횟수: 매일 2왕복
- 동해선 (1170번대)
- 동대구~부전 간을 운행한다. 2023년 12월 18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 정차역: 동대구 - 하양 - 영천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부전
- 운행횟수: 매일 1왕복 (전구간), 매일 1왕복 (동대구~태화강)
- 전라선 (1180번대)
- 용산~여수엑스포 간을 운행한다. 2023년 9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 정차역: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17] - 서대전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 운행횟수: 매일 2왕복
- 태백선 (1190번대)
- 청량리~동해 간을 운행한다. 2023년 9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 정차역: 청량리 - 원주 - 제천 - 영월 - 민둥산 - 사북 - 태백 - 도계 - 동해
- 운행횟수: 매일 1왕복
- 중앙선 (1200번대)
- 청량리~부전 간을 운행한다. 2023년 12월 29일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구간은 청량리~안동이었다. 2024년 12월 20일, 부전으로 연장하면서 번호를 1190번대에서 1200번대로 바꿨다. 다른 계통과 달리 0번(1200번)부터 시작한다.
- 정차역: 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일신[18] - 매곡[18] - 양동 - 서원주 - 원주 - 봉양[19]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안동 - 의성 - 군위 - 영천 - 아화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남창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운행횟수: 매일 2왕복 (전구간), 매일 1왕복 (청량리~안동)
- 동해선 (1230번대, 1250번대)
- 부전~강릉 간을 운행한다. 2025년 1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다른 계통과 달리 0번(1250번)부터 시작한다.
- 정차역: 부전 - 센텀 - 신해운대 - 기장 - 남창 - 태화강 - 북울산 - 경주 - 서경주 - 포항 - 월포 - 영덕 - 영해 - 고래불 - 후포 - 평해[20] - 기성 - 매화 - 울진 - 죽변 - 흥부 - 옥원 - 임원 - 근덕 - 삼척 - 삼척해변 - 추암[21] - 동해 - 묵호 - 정동진 - 강릉
- 운행횟수: 매일 4왕복
- 동해선 (1240번대, 1260번대)
- 동대구~강릉 간을 운행한다. 2024년 5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구간은 동대구~포항이었고, 번호는 1170번대였다. 2025년 1월 1일 강릉으로 연장하면서 번호를 바꿨다. 다른 계통과 달리 0번(1260번)부터 시작한다.
- 정차역: 동대구 - 하양 - 영천 - 서경주 - 포항 - 월포 - 영덕 - 영해[22] - 고래불[22] - 후포[22] - 기성[23] - 울진 - 흥부[22] - 삼척 - 삼척해변[24] - 동해 - 묵호 - 정동진 - 강릉
- 운행횟수: 매일 1왕복
- 서해선 (1270번대)
- 서화성~홍성 간을 운행한다. 2023년 9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원시~서화성 잔여 구간이 개통하기 전까지 임시로 운행하는 계통이다. 열차가 애매한 위치인 서화성역에서 끊기기 때문에 화성시는 초지역과 서화성역 간을 이어주는 무료 셔틀버스를 열차 시간표에 맞춰 운행한다.[25] 셔틀버스는 단절된 구간이 개통하면 자연스럽게 폐지될 것이다. 다른 계통과 달리 0번(1270번)부터 시작한다.
- 정차역: 서화성 - 화성시청 - 향남 - 안중 - 인주 - 합덕 - 홍성
- 운행횟수: 매일 4왕복
- 평택선 (1290번대)
- 홍성~홍성 간을 순환하여 운행한다. 2023년 9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홍성→합덕 방향(시계방향)이 하행이다. 다른 계통과 달리 0번(1290번)부터 시작한다.
- 정차역: 홍성 - 합덕 - 인주 - 안중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운행횟수: 매일 3왕복
ITX-새마을[편집 | 원본 편집]
- 경부선 (1000번대)
- 서울~부산 간을 운행한다.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마음이 운행을 시작한 2023년 9월 1일부터 조치원에 모든 열차가 정차하고, 일부가 신탄진, 옥천, 삼랑진 등에 정차하는 등 정차역이 늘었다.
- 정차역: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삼랑진 - 물금 - 화명[26] - 구포 - 부산
- 운행횟수: 매일 6왕복
- 경부선 (1035번대)
- 1035, 1036번 열차는 서울~동대구 간을 운행한다. 2024년 5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 1037, 1038번 열차는 동대구~부산 간을 운행한다. 2025년 1월 1일부터 같은 구간을 운행하던 누리로를 대체하였다.
- 정차역: 1000번대 참고
- 운행횟수: 각각 매일 1왕복
- 경부선 (1020번대)
- 서울~신해운대 간을 운행한다. 2016년 12월 9일 운행을 시작했다.
- 정차역: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27] - 대전 - 옥천[27] - 영동[27] - 김천 - 구미 - 왜관[27]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27] - 밀양 - 구포 - 부전 - 신해운대
- 운행횟수: 평일 1왕복, 주말 2왕복
- 경전선 (1030번대)
- 서울~진주 간을 운행한다. 새마을호 시절에는 PP동차 도입과 함께 마산으로 단축되었던 것을 다시 원상복구한 형태. 16년 12월 시각표 개정으로 1왕복이 더 추가되었다.
- 정차역: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28]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옥천[29]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29] - 청도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
- 운행횟수: 매일 2왕복
- 호남선 (1060번대)
- 용산~목포 간을 운행한다.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마음이 운행을 시작한 2023년 9월 1일부터 평택, 조치원, 계룡, 신태인에 모든 열차가 정차하고, 일부가 몽탄에 정차하는 등 정차역이 늘었다.
- 정차역: 용산 - 영등포 - 수원 - 오산[30]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몽탄 - 일로 - 목포
- 운행횟수: 매일 2왕복
- 호남선 (1070번대)
- 용산~광주 간을 운행한다.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마음이 운행을 시작한 2023년 9월 1일부터 평택, 조치원, 계룡에 모든 열차가 정차하고, 일부가 신탄진, 백양사에 정차하는 등 정차역이 늘었다.
- 정차역: 용산 - 영등포 - 수원 - 서정리[31]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
- 운행횟수: 매일 4왕복
- 전라선 (1080번대)
- 용산~여수엑스포 간을 운행한다. 전라선 계통 역시 KTX가 투입되면서 새마을 때보다 운행횟수가 대폭 감편되었다. 마음이 운행을 시작한 2023년 9월 1일부터 조치원에 모든 열차가 정차하고, 일부가 신탄진, 삼례, 임실, 오수에 정차하는 등 정차역이 늘었다.
- 정차역: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32]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32]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 운행횟수: 매일 2왕복
- 중앙선 (1090번대)
- 청량리~안동 간을 운행한다. 2014년 11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새마을호를 대체했다. 당시 열차번호는 1070번대였다. 2021년 1월 5일 KTX-이음으로 대체되었지만, 2022년 11월 5일부터 운행을 재개했다.
- 정차역: 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서원주 - 원주 - 봉양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안동
- 운행횟수: 매일 2왕복
ITX-청춘[편집 | 원본 편집]
ITX-청춘은 경춘선에서만 운행한다. 노선 특성상 연선에 관광지가 많아 주말 행락객, 등산객이 몰리기 때문에 평일과 휴일 시간표가 다르다.
- 경춘선 (2000번대, 평일)
- 용산~춘천 간을 운행한다. 2012년 2월 28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겨울(12월말~2월초) 동안에는 백양리에도 일부 열차가 정차한다.
- 정차역: 용산 - 옥수 - 왕십리 - 청량리 - 상봉 - 퇴계원 - 사릉 - 평내호평 - 마석 - 청평 - 가평 - 강촌 - 백양리 - 남춘천 - 춘천
- 운행횟수: 매일 18왕복
- 경춘선 (2050번대, 휴일)
- 용산~춘천 간을 운행한다. 평일과 달리 상봉, 퇴계원, 사릉, 마석에 정차하지 않는다. 겨울(12월말~2월초) 동안에는 백양리에도 일부 열차가 정차한다.
- 정차역: 용산 - 옥수 - 왕십리 - 청량리 - 평내호평 - 청평 - 가평 - 강촌 - 백양리 - 남춘천 - 춘천
- 운행횟수: 매일 26왕복
각주
- ↑ 코레일, 국내 첫 경춘선 2층열차 이름 공모, 연합뉴스, 정찬욱
- ↑ 국내 최초 2층객차 16일부터 시범운행…경춘선 좌석형, 경향신문, 최승현
- ↑ 경춘선 급행열차 'ITX-청춘' 명명식(종합), 연합뉴스, 김효정
- ↑ 경춘선 ITX-청춘 개통..춘천 '출퇴근 도시'(종합), 연합뉴스, 이상학
- ↑ 5월부터 용산-대전 구간에서도 ITX-청춘 달린다!, 경부선 ITX-청춘 운행 알림, 한국철도공사
- ↑ 용산∼대전 구간도 'ITX-청춘' 열차 운행, YTN, 강진원
- ↑ 2층 열차 ‘ITX-청춘’ 경부선 첫 투입…하루 12회 운행, 연합뉴스TV
- ↑ 새마을호 열차 대체 'ITX-새마을' 첫 운행, 연합뉴스, 정찬욱
- ↑ 서해선, 평택선 신규 운행 알림, 한국철도공사 공지사항
- ↑ 10.0 10.1 상행 1편성(1106, 9906)만 정차
- ↑ 하행 1편성(1105, 9905)만 정차
- ↑ 12.0 12.1 12.2 상행만 정차
- ↑ 하행만 금요일 및 주말에 정차
- ↑ 하행만 정차
- ↑ 상행 1편성(1164)만 정차
- ↑ 상행 1편성(1162)만 정차
- ↑ 상행 1편성(1184)만 정차
- ↑ 18.0 18.1 상행 1편성(1202)만 정차
- ↑ 하행 1편성(1201)만 정차
- ↑ 하행 1편성(1233, 1253)만 정차
- ↑ 하행 1편성(1253), 주말에만 정차
- ↑ 22.0 22.1 22.2 22.3 하행만 정차
- ↑ 상행만 정차
- ↑ 하행, 주말에만 정차
- ↑ 초지역~서화성역 무료 셔틀버스 운행_서해선 개통(홍성~서화성): 2024.11.01 안산시 공식 블로그
(공지) 11월 2일 서해선(홍성~ 서화성) 개통!: 2024.10.28 화성시청 공식 블로그 - ↑ 하행 1편성(1037)만 정차
- ↑ 27.0 27.1 27.2 27.3 27.4 상행 1편성(1022)만 정차
- ↑ 상행 1편성(1032)만 정차
- ↑ 29.0 29.1 하행 1편성(1031)만 정차
- ↑ 하행 1편성(1061)만 정차
- ↑ 하행 1편성(1073)만 정차
- ↑ 32.0 32.1 상행 1편성(1084)만 정차
여객열차
| |||||
---|---|---|---|---|---|
고속·준고속 | |||||
KTX | 산천 | 이음 | 청룡 | SRT | |
ITX | |||||
청춘 | 새마을 | 마음 | |||
급행·보통 |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누리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