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3호선

수도권 전철 노선
1 2 3 4 5 6 7 8 9 공항 인천1 인천2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신분당 경강 서해 우이 신림 의정부 용인 김포
서울 도시철도 3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
옥수역으로 들어오는 열차
나라 대한민국
종류 도시철도(서울), 운행계통(수도권 전철)광역전철
구간 도시철도: 지축 ~ 오금 (38.2 km, 34개)
광역전철: 대화 ~ 오금
영업거리 57.4 km
역 수 44개
소유자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운영자 서울교통공사 (도시철도, 광역전철 차량)
한국철도공사 (일산선, 광역전철 차량)
개통일 1985년 7월 12일 (도시철도)
1996년 1월 30일 (광역전철)
경유노선 일산선, 서울 도시철도 3호선 (광역전철)
차량기지 지축, 수서차량사업소 (광역전철)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기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1]
신호 ATC
일산선 구간의 시설 정보는 해당 문서 참고

서울 도시철도 3호선(서울 지하철 3호선)은 경기도 고양시 지축역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역을 잇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지축역대화역을 잇는 일산선직결운행하는데, 이 운행계통수도권 전철 3호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직결운행 초기에는 노선도에 일산선이 국철로 표기되고 노선색도 3호선과 달랐지만, 2000년 4월 1일부터 모두 합쳐 3호선으로 표기하고, 노선색도 통일하였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운영[편집 | 원본 편집]

일반 [대화 - 오금]
특별한 일이 없는 이상 기본적인 운행 패턴
일반 [대화 - 수서]
수서차량사업소 입고 열차
일반 [대화 - 삼송] / [구파발 - 오금]
지축차량사업소 입고 열차, 구파발행 일부는 종착 후 오금 방면 반복 운행.

운행차량[편집 | 원본 편집]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과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으로 나뉜다. 그런데 한국철도공사가 서울교통공사에 차량을 위탁했기 때문에 차량 번호를 공유한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3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소속 3000호대 전동차
차량 현황
쵸퍼제어 (운행종료)
  • 301~314호: 1984년 제작 (원래 401~414호)
  • 315호: 1985년 제작 (원래 415호)
  • 316~333, 336~340호: 1985년 제작 (원래 316~338호)
  • 334~335, 345~348호: 1990년 제작 (원래 436~441호)
  • 341~344호: 1985년 제작 (원래 424~427호)
쵸퍼제어 개조 (운행종료)
  • 316~320, 341~344호: 1990년대에 10량으로 증결을 위해 추가된 동력객차(M)과 무동력객차(T)를 개조
한국철도공사 소속 현대로템 1세대 VVVF 전동차
  • 371~377호: 1995년 제작
  • 378~383호: 1996년 제작
  • 384~386호: 1997년 제작
서울교통공사 소속 현대로템 2세대 VVVF 전동차
  • 301~315, 321~333호: 2009년 제작
  • 336~340, 349호: 2010년 제작
다원시스 통근형 전동차
  • 316~320, 334~335, 341~344호: 2021년 제작
  • 345~348호: 2022년 제작
한국철도공사 소속 현대로템 4세대 VVVF 전동차
  • 387~393호: 2022년 제작
  • 394호: 2023년 제작
우진산전 통근형 전동차
  • 395호: 2022년 제작
  • 396~399, 368~370호: 2023년 제작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직류 전용 노선
당초 일산선은 운영사인 철도청의 운행방식에 따라 좌측통행에 25 kV 교류전원을 도입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감사원에서 이렇게 될 경우 직교류 겸용 전동차를 도입하는 비용[8]과 승객들이 교류에서 직류로 바뀌는 지점에서 갈아타야한다는 점을 지적하여, 일산선은 서울 도시철도와 동일 규격으로 지어지게 되었다.[9]3호선의 평화는 지켜졌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위탁 검수
일산선 운행 목적으로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일산선에 별도의 철도공사 소속 차량기지를 건설하지않고 대신 서울교통공사의 차량기지인 지축차량사업소에 차적을 등록하여 운행종료 후 해당 기지에 입고하여 서울교통공사의 관리를 받는다. 철도공사 소속 기관사들은 대곡역 (고양)에 설치된 차량승무사업소를 통해 근무교대를 한다. 지축역의 위치는 이런 특성을 감안하여 도시철도 3호선의 마지막역인 구파발역과 일산선 구간인 삼송역 중간 위치에 건설되었으며, 최초 6량 규격으로 건설되었던 지점을 연장하여 10량 규격으로 증축하면서 나머지 4량 규격의 구역은 철도공사가 시공하였기에 구역구분 경계석이 남아있다.
일산선의 불량한 선형
원래 3호선의 연장은 일산쪽 방향이 아닌 벽제쪽 방향이었다. 따라서 마지막 역인 지축역은 이러한 계획을 염두에 두고 위치를 잡았으나, 이후 일산신도시 건설계획이 발표되고, 정부 주도하에 신도시의 교통편의를 위한 일산선 건설 및 신도시 주민들의 서울 통근 편의성을 위하여 3호선과의 직결이 결정되면서 일산선 구간의 굴곡진 선형이 시작되었다. 일산선은 또한 철도청 광역전철 성격보다 도시철도의 성격이 강했으므로, 일산신도시와 지축역 사이에 건설된 주거지역인 화정지구와 원당지구를 모른체 할 수 없었기에 최종적으로는 일산에서 화정으로 크게 휘어지고, 또다시 원당을 거쳐 지축으로 이어지는 현재의 선형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굴곡진 선형으로 인하여 일산신도시에서 3호선을 이용하여 서울로 진입하는데 시간 소요가 늘어나게 되었으며, 이로인해 일산신도시 주민들은 시간절약 효과가 큰 서울방면 광역버스[10]를 주로 이용하게 되었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일산선 구간의 자세한 연계 노선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세요.
노선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지축 대화
309 -19.2 0.0 대화 고양시
310 -17.8 1.4 주엽
311 -16.2 3.0 정발산
312 -15.3 3.9 마두
313 -13.9 5.3 백석
314 -7.8 7.8 대곡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 A노선 (예정)
315 -9.3 9.9 화정
316 -6.7 12.5 원당
317 -3.8 15.4 원흥
318 -1.7 17.5 삼송
319 0.0 19.2 지축 일산선 (연결)
서울 도시철도 3호선
320 1.5 20.7 구파발 은평구
321 3.5 22.7 연신내 6호선
GTX A노선 (예정)
322 4.8 24.0 불광 6호선
323 5.9 25.1 녹번
324 7.5 26.7 홍제 서대문구
325 8.4 27.6 무악재
326 9.5 28.7 독립문
327 11.1 30.3 경복궁(정부서울청사) 종로구
328 12.2 31.4 안국
329 13.2 32.4 종로3가 1호선, 5호선
330 13.8 33.0 을지로3가 2호선 중구
331 14.5 33.7 충무로 4호선 (연결)
332 15.4 34.6 동대입구
333 16.1 35.3 약수 6호선
334 16.9 36.1 금호 성동구
335 17.7 36.9 옥수 경원선: 경의·중앙선, ITX-청춘
336 19.8 39.0 압구정 강남구
337 21.3 40.5 신사 신분당선
338 22.2 41.4 잠원 서초구
339 23.4 42.6 고속터미널 7호선, 9호선
340 25.0 44.2 교대(법원·검찰청) 2호선
341 25.9 45.1 남부터미널(예술의전당)
342 27.7 46.9 양재(서초구청) 신분당선
343 28.9 48.1 매봉 강남구
344 29.7 48.9 도곡 분당선: 수인·분당선
345 30.5 49.7 대치
346 31.3 50.5 학여울
347 32.2 51.4 대청
348 33.4 52.6 일원
349 35.2 54.4 수서 수서평택고속선: SRT
분당선: 수인·분당선
GTX A노선
350 36.6 55.8 가락시장 8호선 송파구
351 37.4 56.6 경찰병원
352 38.2 57.4 오금 5호선 마천지선

연장 계획[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구파발 ~ 오금 구간은 가공강체가선 사용
  2. 서울특별시고시 제136호
  3. 3호선 화물터미널·교대역 다음달부터 이름바꾸기로, 한겨레
  4. 서울특별시고시 제38호
  5. 신설 지하철역 이름 크게 바꿔, 한겨레
  6. 수유동 백운봉길→'4.19길', 한겨레
  7. 서울특별시고시 제2012-369호
  8. 직류와 교류를 전환시키는 컨버터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9. 서울시-철도청 건설방식 이견 일산선 전철 완공 지연, 한겨래, 1992년 8월 6일
  10. 대표적으로 일산과 서울역을 이어주는 1000번, 일산에서 당산을 거쳐 영등포를 이어주는 870번 등이 있다.
  11. 차량사업소 이전 조건으로 연장이 성사된 서울 지하철 4호선진접선 사례와 유사하게 진행될 가능성도 높다.
  12. 「송파하남선」광역철도 건설 첫 걸음, 국토교통부 설명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