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신설선 | |
---|---|
종류 | 도시철도(서울), 경전철, 운행계통 |
구간 | 북한산우이 ~ 신설동 |
영업거리 | 11.4 km |
소유자 | 서울특별시 |
운영자 |
우이신설경전철 (BTO사업자)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위탁 운영사) |
개통일 | 2017년 9월 2일 |
시설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2 |
전기 | 직류 750 V, 제3궤조 |
신호 | 열차자동방호시스템/ATO |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의 북한산우이역과 서울시 동대문구 신설동의 신설동역을 잇는 경전철 노선이다. 차량기지는 우이차량사업소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운행[편집 | 원본 편집]
- 일반 [북한산우이 ~ 신설동]
차량[편집 | 원본 편집]
우이신설선 차량은 UL000호대 번호를 사용한다. 한 편성의 길이는 2량이다. 열차는 우이차량사업소에서 관리한다.
차량 | 편성 | 도입 | 설명 |
---|---|---|---|
UL000호대 | UL01~UL18 | 2015 |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아래 역들은 모두 서울특별시에 있다.
번호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소재지 | |
---|---|---|---|---|---|
S110 | 0.0 | 북한산우이(도선사입구) | 강북구 | ||
S111 | 0.8 | 솔밭공원 | |||
S112 | 1.5 | 4.19민주묘지(덕성여대) | |||
S113 | 2.4 | 가오리 | |||
S114 | 3.2 | 화계 | |||
S115 | 4.0 | 삼양 | |||
S116 | 4.7 | 삼양사거리 | |||
S117 | 5.5 | 솔샘 | |||
S118 | 6.7 | 북한산보국문(서경대) | 성북구 | ||
S119 | 7.9 | 정릉(국민대입구) | |||
S120 | 9.1 | 성신여대입구(돈암) | ● 4호선 | ||
S121 | 10.0 | 보문 | ● 6호선 | ||
S122 | 11.0 | 신설동 | ● 1호선, ● 2호선 성수지선 | 동대문구 |
영상[편집 | 원본 편집]
전 구간 주행 영상
사건사고[편집 | 원본 편집]
- 2017년 12월 25일 개통한지 3개월만에 단전으로 전 구간 운행이 중단되는 사고가 있었다. 8시간 동안 마비상태로 있다가 부분 운행 재개를 통한 임시복구 후 복구되었다.
크리스마스 선물... 아니 빅엿 수준 - 2018년 3월 5일 오후 7시 3분 선로전환기 장애로 42분간 전 구간 차량운행이 중단되었다.
- 2018년 3월 17일 솔샘역의 신호장애 문제로 12시 11분부터 전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개통 이후 세 번째 운행중단 사고
이쯤되면 슬슬 중단철의 스멜이 난다 - 2018년 6월 4일 오전 9시 5분 솔샘역을 출발한 11054열차의 전동차 내부 장치 고장으로 15분간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 2018년 12월 19일 지연사고가 발생했다. 원인은 출입문 센서에 승객의 옷에서 떨어진 단추와 출입문 센서에 붙은 껌 때문이라고(...)
- 2018년 11월 9일 오후 9시 5분경 신호장치 오류로 수동운행방식으로 전환하면서 1시간 11분동안 지연운행을 하였다.
- 2018년 12월 11일 오전 7시 40분 화계역 승강장의 V7 스크린도어가 고장나면서 화계에서 신설동 방향으로 가는 열차들이 줄줄이 지연을 먹었다.
- 2018년 12월 21일 성신여대역에서 40명 가까이 타고 있던 엘리베이터가 고장으로 멈춰서면서 내부에 승객이 갇히는 사고가 있었다.
- 2019년 3월 11일 퇴근 시간대에 열차 고장으로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 후속조치는 빨랐는데 하필 시간대가 퇴근시간인 오후 6시 38분이었다. 어떤 상황이 생겼을지는 알아서 생각하자(...)
각주
수도권 전철 노선
| |||||
---|---|---|---|---|---|
서울 도시철도 및 연장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
인천 도시철도 | |||||
인천1 | 인천2 | ||||
일반철도 광역전철 |
|||||
경의중앙 | 경춘 | 수인분당 | 경강 | 서해 | |
공항철도 | 신분당 | GTX A | 신안산 | 동탄인덕원 | |
GTX B | GTX C | ||||
기타 | |||||
의정부 | 용인 | 김포 | 경기도 도시철도 |
대한민국 철도 노선
| |||||
---|---|---|---|---|---|
사업용철도 | |||||
고속 | 경부고속(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지선) | ||
준고속 | 경강(지선) (원주~강릉) |
서해(지선) (홍성~송산) |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
중부내륙 | 춘천속초 |
일반 | 경인(지선) | 경부(지선) | 경의(지선) | 호남(지선) | 경원 |
충북 | 경전(지선)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
동해(지선) | 중앙(지선) (안동~경주) |
영동(지선)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
안산(지선) | 과천 | 분당(지선) | 일산 | 신분당 | |
서해(지선) (대곡~원시) |
인천공항(지선) |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
진접선 | GTX A | |
동탄인덕원 | 신안산 | 남부내륙 | GTX B | GTX C | |
도시철도 | |||||
서울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위례신사 | ||
인천 | 1호선 | 2호선 | |||
부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사상하단 |
오륙도 | |||||
대구 | 1호선 | 2호선 | 3호선 | 엑스코 | |
광주 | 1호선 | 2호선 | |||
대전 | 1호선 | 2호선 | |||
경기도 | 하남 | 별내 | 도봉산옥정 | ||
기타 | 부산김해 | 의정부 | 용인 | 인천공항 자기부상 | 김포 |
양산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