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부내륙선 | |
---|---|
![]() |
|
종류 | 준고속철도(간선) |
번호 | 204 |
구간 | 부발 ~ 문경 |
영업거리 | 92.7 km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개통일 | 2021년 12월 31일 |
중부내륙선(中剖內陸線)은 경기도 이천시의 부발역과 경상북도 문경시의 문경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이천~충주 구간은 2021년 12월 31일에 개통하였고, 충주~문경 구간은 2024년 11월 30일에 개통했다.
계획상 경강선과 직결되는 구조로, 장래에는 인천광역시의 송도에서 출발하는 KTX가 수인선~경강선~중부내륙선~남부내륙선을 운행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 진입을 위해 수서와 삼동 사이에 수서광주선이 건설될 예정이다.
경부/호남 축선에 이어 수도권에서 출발하여 한반도를 종단하는 제3의 축선으로 건설된다.
건설 목적[편집 | 원본 편집]

연선의 여객 수요가 그리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여객보다는 경부선의 화물운송 루트를 다변화하여 경부선 선로용량 분산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향후 김천부터 거제까지 신설될 남부내륙선과 연계하여 남해안 산업단지 및 항구에서 발생하는 화물을 수도권으로 빠르게 운송할 수 있는 노선이 될 예정이다. 사실상 남부내륙선과 연계되어 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북도를 종단하는 노선으로 볼 수 있다. 나란히 가는 중부내륙고속도로 역시 영남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교통량을 분담하여 경부고속도로의 부담을 덜어주고 영남과 수도권을 빠르게 이어주는 화물 운송 루트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이 동일하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2021년 11월 17일: 중부내륙선(이천~충주) 사업용 철도노선 지정 및 부발~충주 구간 철도거리표 고시.[1]
- 2024년 9월 3일: 충주~문경 구간 철도거리표 고시 및 노선명을 중부내륙선으로 변경.[2]
- 2024년 11월 30일: 충주~문경 구간 개통
운행[편집 | 원본 편집]
노선 환경[편집 | 원본 편집]
고속철도[편집 | 원본 편집]
고속열차 운행을 위한 노선이었기에 개통과 함께 KTX 운행을 시작했다. 중부내륙선은 최대 260 km/h까지 속도를 낼 수 있기에 KTX-이음 열차를 사용한다. 정차역은 아래와 같다. 판교역은 중부내륙선에 속해있지 않다.
서울 시내로 열차가 진입하지 않기에 판교역에서 신분당선으로 환승해야 한다. 따라서 환승저항이 있는 편이다. 수서광주선 개통이 2029년 예정이라서 당분간은 이러한 형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정거장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K: KTX-이음
km | 정거장 | K | 연계 노선 | 소재지 | |
---|---|---|---|---|---|
0.0 | 부발 | ● | ● 경강선 (연결) | 이천시 | |
2.5 | 아미 | ┃ | |||
9.0 | 가남 | ● | 여주시 | ||
21.2 | 감곡장호원 | ● | 음성군 | ||
35.8 | 앙성온천 | ● | 충주시 | ||
47.6 | 금가 | ┃ | |||
56.3 | 충주 | ● | 충북선 (연결) | ||
66.6 | 살미 | ● | |||
75.1 | 수안보온천 | ● | |||
81.4 | 연풍 | ● | 괴산군 | ||
92.7 | 문경 | ● | 경상북도 문경시 | ||
94.1 | (종점) |
영상[편집 | 원본 편집]
각주
대한민국 철도 노선
| |||||
---|---|---|---|---|---|
사업용철도 | |||||
고속 | 경부고속(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지선) | ||
준고속 | 경강(지선) (원주~강릉) |
서해(지선) (홍성~송산) |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
중부내륙 | 춘천속초 |
일반 | 경인(지선) | 경부(지선) | 경의(지선) | 호남(지선) | 경원 |
충북 | 경전(지선)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
동해(지선) | 중앙(지선) (안동~경주) |
영동(지선)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
안산(지선) | 과천 | 분당(지선) | 일산 | 신분당 | |
서해(지선) (대곡~원시) |
인천공항(지선) |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
진접선 | GTX A | |
동탄인덕원 | 신안산 | 남부내륙 | GTX B | GTX C | |
도시철도 | |||||
서울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위례신사 | ||
인천 | 1호선 | 2호선 | |||
부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사상하단 |
오륙도 | |||||
대구 | 1호선 | 2호선 | 3호선 | 엑스코 | |
광주 | 1호선 | 2호선 | |||
대전 | 1호선 | 2호선 | |||
경기도 | 하남 | 별내 | 도봉산옥정 | ||
기타 | 부산김해 | 의정부 | 용인 | 인천공항 자기부상 | 김포 |
양산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