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선

동북선
종류 도시철도(서울), 경전철, 운행계통
구간 왕십리 ~ 상계
영업거리 13.3 km
소유자 서울특별시
운영자 동북선도시철도[1]
개통일 2025년
시설 정보
선로 2
전기 직류 750 V

왕십리역상계역을 이을 노선으로, 서울 강북의 철도 음영 지역을 해소하는 목적으로 건설 중이다. 백지화된 서울 지하철 12호선 계획의 후계 노선이다.

논란[편집 | 원본 편집]

  • 동북선을 중전철로 변경하고 분당선과 직결하자는 지역사회의 청원이 있었다.[2]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S301 왕십리 2호선, 5호선
경원선: 경의·중앙선
분당선: 수인·분당선
성동구
S302 102
S303 제기동 1호선 동대문구
S304 고려대 6호선
S305 105 성북구
S306 106
S307 미아사거리 4호선 강북구
S308 107
S309 108
S310 109 노원구
S311 월계 경원선: 1호선
S312 하계 7호선
S313 113
S314 114
S315 115
S316 상계 4호선

각주

수도권 전철 노선
서울 도시철도
및 연장
1 2 3 4 5
6 7 8 9 우이신설
신림 동북 위례
인천 도시철도
인천1 인천2
일반철도
광역전철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경강 서해
공항철도 신분당 GTX A 신안산 동탄인덕원
GTX B GTX C
기타
의정부 용인 김포 경기도 도시철도
대한민국 철도 노선
사업용철도
고속 경부고속(지선) 호남고속 수서평택고속(지선)
준고속 경강(지선)
(원주~강릉)
서해(지선)
(홍성~송산)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중부내륙 춘천속초
일반 경인(지선) 경부(지선) 경의(지선) 호남(지선) 경원
충북 경전(지선) 장항(지선) 전라(지선) 경춘(지선)
동해(지선) 중앙(지선)
(안동~경주)
영동(지선) 경북(지선) 태백(지선)
안산(지선) 과천 분당(지선) 일산 신분당
서해(지선)
(대곡~원시)
인천공항(지선)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진접선 GTX A
동탄인덕원 신안산 남부내륙 GTX B GTX C
도시철도
서울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우이신설
신림 동북 위례 위례신사
인천 1호선 2호선
부산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사상하단
오륙도
대구 1호선 2호선 3호선 엑스코
광주 1호선 2호선
대전 1호선 2호선
경기도 하남 별내 도봉산옥정
기타 부산김해 의정부 용인 인천공항 자기부상 김포
양산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