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시철도 3호선 | |
---|---|
종류 | 도시철도(대구), 경전철, 운행계통 |
구간 | 칠곡경대병원 ~ 용지 |
영업거리 | 23.1 km |
소유자 | 대구광역시 |
운영자 | 대구교통공사 |
개통일 | 2015년 4월 23일 |
시설 정보 | |
궤간 | 800 mm |
선로 | 2 |
전기 | 직류 1,500 V, 제3궤조 |
신호 | ATP/ATO |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의 칠곡경대병원역과 수성구 범물1동의 용지역을 잇는 대구 도시철도 (경전철) 노선.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2009년 7월 24일: 착공
- 2015년 4월 23일: 개통
- 2019년 1월 7일: 신남역 이름을 청라언덕으로 변경[1]
- 2023년 7월 12일: 어린이회관역 이름을 어린이세상으로 변경[2]
특징[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 최초의 모노레일형 도시철도. 모노레일은 많이 지어져 있지만 대다수는 유원지같은 곳에서 관광 목적으로 지은 것들이다. 물론 타지역 방문객들 혹은 주말이나 공휴일에 주요 유원지를 방문하려는 목적에서 대구시내관광 모노레일의 기능도 없지는 않은듯.
운행[편집 | 원본 편집]
- 일반 [칠곡경대병원~용지]
열차[편집 | 원본 편집]
3호선 차량은 3000호대 번호를 사용한다. 한 편성의 길이는 6량이다. 열차는 칠곡차량기지사업소에서 관리한다. 일부 열차는 범물주박기지사업소에 주박한다.
차량 | 편성 | 도입 | 설명 |
---|---|---|---|
3000호대 | 301~328 | 2013 |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아래 역들은 모두 대구광역시에 있다.
번호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소재지 |
---|---|---|---|---|
312 | 0.0 | 칠곡경대병원 | 북구 | |
313 | 0.8 | 학정 | ||
314 | 1.6 | 팔거 (국립농관원·통계청) |
||
315 | 2.3 | 동천 | ||
316 | 3.1 | 칠곡운암 | ||
317 | 3.8 | 구암 (과학대·보건대입구) |
||
318 | 4.5 | 태전 | ||
319 | 5.4 | 매천 | ||
320 | 6.5 | 매천시장 | ||
321 | 7.3 | 팔달 | ||
322 | 8.2 | 공단 | 서구 | |
323 | 9.0 | 만평 | 북구 | |
324 | 9.6 | 팔달시장 | ||
325 | 10.2 | 원대 | 서구 | |
326 | 11.0 | 북구청 | ||
327 | 12.0 | 달성공원 | 중구 | |
328 | 12.7 | 서문시장(동산병원) | ||
329 | 13.4 | 청라언덕(신남) | ● 2호선 | |
330 | 14.2 | 남산(계명네거리) | ||
331 | 14.8 | 명덕 (2·28민주운동기념회관) |
● 1호선 | 남구 |
332 | 15.7 | 건들바위 | ||
333 | 16.4 | 대봉교 | ||
334 | 17.2 | 수성시장 | 수성구 | |
335 | 18.2 | 수성구민운동장 | ||
336 | 19.0 | 어린이세상 | ||
337 | 19.7 | 황금 | ||
338 | 20.5 | 수성못(TBC) | ||
339 | 21.7 | 지산 | ||
340 | 22.5 | 범물 | ||
341 | 23.2 | 용지 |
연장 계획[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도시철도역명, 네거리 등 공공용물 명칭 신설·변경, 대구광역시 뉴스룸
- ↑ 대구광역시고시 제2023-138호
대구권 광역전철 노선
| |||||
---|---|---|---|---|---|
대구 도시철도 | |||||
1 | 2 | 3 | 4 | ||
기타 | |||||
대경 |
대한민국 철도 노선
| |||||
---|---|---|---|---|---|
사업용철도 | |||||
고속 | 경부고속(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지선) | ||
준고속 | 경강(지선) (원주~강릉) |
서해(지선) (홍성~송산) |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
중부내륙 | 춘천속초 |
일반 | 경인(지선) | 경부(지선) | 경의(지선) | 호남(지선) | 경원 |
충북 | 경전(지선)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
동해(지선) | 중앙(지선) (안동~경주) |
영동(지선)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
안산(지선) | 과천 | 분당(지선) | 일산 | 신분당 | |
서해(지선) (대곡~원시) |
인천공항(지선) |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
진접선 | GTX A | |
동탄인덕원 | 신안산 | 남부내륙 | GTX B | GTX C | |
도시철도 | |||||
서울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위례신사 | ||
인천 | 1호선 | 2호선 | |||
부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사상하단 |
오륙도 | |||||
대구 | 1호선 | 2호선 | 3호선 | 엑스코 | |
광주 | 1호선 | 2호선 | |||
대전 | 1호선 | 2호선 | |||
경기도 | 하남 | 별내 | 도봉산옥정 | ||
기타 | 부산김해 | 의정부 | 용인 | 인천공항 자기부상 | 김포 |
양산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