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역

강동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지하1097
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40.5 km
서울 지하철 5호선 지선 0.0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1995년 11월 15일
번호  548 
코드 AFC : 2549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지하1097에 위치한 지하역. 이름은 강동구에서 따왔다.

이 역에서 상일동 방면 본선과 마천 방면 지선이 분기하기 때문에 하남시강동구 방면으로 갈 사람은 하남검단산행(상일동행) 열차를, 송파구 방면으로 갈 사람은 마천행 열차를 타야 한다. 5호선 특유의 Y자 분기로 인해 이 역 이후의 역들은 배차간격이 2배가 된다. 기관사들도 대부분 강동역에 도착하면 "이 열차는 하남검단산행(상일동행)/마천행 열차입니다"라며 육성으로 안내방송을 해주는 편이다. 그래도 모르는 사람들은 절대 모른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93년 5월 20일: 역명을 천호에서 강동으로 변경[1]
  • 1995년 11월 15일: 5호선 왕십리~상일동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 1996년 3월 30일: 5호선 강동~마천 구간 개통
  • 2016년 8월강동성심병원이라는 부역명이 추가되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2면 3선(1상대 1섬식)식이며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배선은 하남검단산 및 마천 방면이 상대식 1선을 공유한다. 섬식은 방화 방면 기준 왼쪽 선로는 하남검단산 또는 상일동에서 출발한 열차가 진입하며, 오른쪽 선로는 마천에서 출발한 열차가 진입한다. 고덕차량사업소에서 출고한 열차가 이 역까지 공차회송 후 출발하는 경우에는 본선 역할을 수행하는 왼쪽 선로로 진입한다.

분기역인 관계로 마천지선 방화행 선로는 길동역 방면 본선의 하부로 입체교차한다. 마천행 선로는 상대식 선로를 출발한 직후 마천 방면으로 분기한다. 길동역 방면이든 둔촌동역 방면이든 Y자 분기로 인해 급곡선을 그리므로 눈살이 찌푸려질 정도로 소음이 심각하다. 특히 마천지선 상선과 하선은 급구배와 급커브가 결합하는 관계로 본선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더욱 심한 편. 천호역 방면으로는 꽤 길다란 회차선이 설치되어있다.

방화행은 본선과 마천지선의 열차가 교대로 진입하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조밀한 편이지만, 반대 방향은 하남검단산 방면과 마천 방면이 분기하므로 방향을 바꿔 환승하려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원하는 목적지의 열차를 놓치는 경우 약 10분 가까이 대기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특히 하남검단산 방면은 간혹 상일동행 열차가 걸릴 가능성도 있어 운이 없으면 15분 이상 대기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참고로 노선이 분기되는 중요한 역임에도 불구하고 방화행 섬식 승강장에 엘리베이터가 없다. 마천행 승강장은 엘리베이터가 있으나 게이트 바깥쪽에 있어서 동선이 복잡하다. 그나마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것이 위안거리. 2024년 현재 방화행 승강장에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를 준비하고 있다. 휠체어는 휠체어 리프트를 활용해야하고 유모차는 방법이 없으므로 들고 계단을 타던지, 역무원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주변에는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이 있다. 또한 길동사거리도 근처에 있어서 길동역의 역세권을 이 역도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다. 천호역과도 상당히 가까운 편이며, 강동역 앞에는 중앙 버스 환승 정류장이 있다. 그외 롯데리아 강동역점이 역근방에 위치한다.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5호선
방화 방면
 547  천호
 548  강동 하남검단산 방면
 549  길동
마천 방면
 P549  둔촌동

버스 노선[편집 | 원본 편집]

  • 서울 버스 130
  • 서울 버스 341
  • 서울 버스 342
  • 서울 버스 370
  • 서울 버스 3214
  • 서울 버스 3316
  • 서울 심야 버스 N30
  • 경기 버스 1-4
  • 경기 버스 23
  • 경기 버스 30-3
  • 경기 버스 112
  • 경기 버스 112-1
  • 경기 버스 112-5
  • 경기 광역 버스 1113
  • 경기 광역 버스 1113-1
  • 경기 광역 버스 1113-2
  • 경기 광역 버스 9301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