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갑종철도차량”이라 함은 자기차륜의 회전으로 운송되는 철도차량을 말합니다. — 한국철도공사 화물운송 약관 제3조 (정의)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갑종철도차량은 차륜이 달린 철도차량 그 자체를 화물열차로서 취급하는 경우 그 화물을 칭하는 명칭이다. 쉽게 이야기하면, 일반적인 철도차량이 원소속 바깥에서 자신의 동력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다른 차량에 연결되어 끌려 간다면 해당 차량은 갑종철도차량이 된다. 예시는 다양해서 공장에서 출고되는 신조 차량이나, 차량 기지간 검수를 위해 다른 전동차나 기관차에 끌려가는 차량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흔히 갑종회송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엄밀하게 말할때 올바른 용어는 아니다. 현업에서 쓰는 속어도 아니고 일본쪽 잡지나 팬덤쪽에서 편의적으로 만든 용어(甲種回送)가 정착해버린 경우이다. 다만, 통례적으로 사용하는 표현인지라 틀렸다고 단언하기는 좀 애매해진 감도 있으나, 바른 용어는 아니다. 그 유래했다는 일본 쪽도 정식용어로는 화물 취급하여 "갑종수송(甲種輸送)"이라고 부르고 있으니 말이다.
혼동하기 쉬운 개념[편집 | 원본 편집]
- 가대차
- 을종철도차량
- 육·해송
- 트레일러나 선박편 운송을 하는 것은 갑종철도차량운송이 아닌 각각 육송, 해송으로 적는게 맞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챠량 초기 도입때 연결된 선로가 없어서 트레일러에 선적한 뒤 바지선을 통해 용유기지로 차량을 반입한 적이 있는데, 이것은 엄밀히는 갑종철도차량 운송 이후 육·해송을 경유한 것이 되는 셈이다. 그 외엔 스크랩 반출 등이 있다.
- 을종운송이나 육송이 잦은 국가는 전용으로 특수차량을 제작해서 건축 한계 안으로 운송할 수 있게 하면서 지지 마운트를 설치해서 하역과정에서 차체가 상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저상으로 설계된 경우 대차를 붙인 채로 차량을 적재할 수 있으며, 차체를 분리해서 얹으면 얼핏보면 대차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 차량을 하역할 때는 레일이 설치된 전용 도크나 로우배드 트레일러를 사용하여 Roll-on/Roll-off를 하거나, 크레인으로 1량씩 들어올린다. 어차피 차량 1대당 1량 정도만 올릴 수 있으므로 효율 차이는 크지 않고, 대차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크레인으로 하역한다.
절차[편집 | 원본 편집]
기본적으로 제작사와 인수사가 수송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운송신청을 철도회사(이 경우 한국철도공사가 주도)에 제출하여 검토를 받는다. 이후, 검토를 거쳐 열차편을 설정하고, 시종착역 및 도중 작업이 필요한 역(기관차 교체, 방향전환 등)에 대해서 협조를 진행하게 된다. 역에서 입환 등을 위한 인력 지원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인력지원이 가능한 역까지 추가로 열차를 보내거나 경로를 바꾸어 가기도 한다.
갑종철도차량은 통상적으로 임시화물열차로서 전세열차 취급을 하게 된다. 물론, 객차나 화차의 수송이나 모터카 등의 장비 이동의 경우는 일반 화물열차에 혼합 연결해 운송하기도 하지만 이쪽이 좀 더 예외적이다. 전동차, 특히 한국철도공사에서 사용하는 전동차 이외에는 기관차 견인 구원운전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서 열차표지 점등같은 최소 제어에 필요한 전기장치 및 제동장치의 호환을 위한 제동지령 변환장치(컨버터) 연결, 연결기 호환을 위한 어댑터 설치 등 여러 조치가 따라야 해서 전세열차 취급이 필수적이다. 해외의 경우 차체 보호와 차량간 인터페이스 확보를 위해 갑종차량과 동력차 사이에 화차를 끼우거나 호송인을 위한 차장차를 연결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기도 한다.
신조차량 갑종철도차량 운송 시에는 인수사 측 관계자와 제작사 측 관계자가 동승하여 여객 대피를 위해 역에 정차할 때마다 이상이 있는지 점검한다. 이들은 또한 운행 중 갑종차량의 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전기장치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거나, 제동 트러블이나 주행상태 이상 등을 감시하기도 한다. 도시철도 차량일 경우 기본적으로는 연결선 등 지정된 인수도 지점에서 인수사 측 모터카나 전동차가 나와서 병결해가지만, 가끔 철도공사 측의 역이나 차량기지에서 인수도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드물게 코레일의 열차가 직접 지하철까지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그날은 지하에서 특대가 우렁찬 엔진소리를 몰고다니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일본처럼 노선마다 궤간이 다른 경우, 출고 노선의 궤간과 실제로 운행할 노선의 궤간이 다른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워낙 고려해야할 요소들이 많고 다른 열차의 운행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이 많아지기 때문에, 그냥 다 포기하고 을종회송이나 육·해송을 하거나 임시 대차를 장착하고 운송한 다음 목적지 부근에서 원래 대차로 교체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KTX-산천 3차분 20호기 갑종회송열차 집중 취재>, 최연수, 레일러 Vol.09.
- <로윈 7호선 연장구간 전동차 SR003 갑종회송 밀착취재>, 레일러 편집부, 레일러 Vol.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