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가 소유, 운영하는 통근형 전동차 목록이다. 자세한 차량 정보는 번호에 링크되어 있다.
목차[편집 | 원본 편집]
번호 | 설명 |
---|---|
1000호대 | 1호선 전동차. 모두 퇴역. |
2000호대 | 4호선, 분당선 전동차. |
3000호대 | 3호선 전동차. |
5000호대 | 1호선 전동차. |
6000호대 | 중앙선 전동차. |
310000호대 | 1호선 전동차. |
319000호대 | 1호선 셔틀 전동차. |
321000호대 | 경의·중앙선 전동차. |
331000호대 | 경의·중앙선 전동차. |
341000호대 | 4호선 전동차. |
351000호대 | 수인·분당선 전동차. |
361000호대 | 경춘선 전동차. |
371000호대 | 경강선 전동차. |
381000호대 | 동해선 전동차. |
391000호대 | 서해선 전동차. |
392000호대 | 대경선 전동차. |
1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10량 편성 차량이다. 한국철도공사 최초 통근형 전동차이며, 모두 퇴역했다.
2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4호선과 분당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6량 편성 차량이다.
2000호대 디젤기관차가 이미 있었기 때문에 2030번부터 시작한다. 2011년 차호 개정으로 4호선 차량은 341000호대로, 분당선 차량은 351000호대로 쪼개졌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1세대 차량 (퇴역) | |||
230~233 | 1993년 | 한진중공업 | 6량 편성으로 도입했고 추가 객차를 달아 10량이 되었다. 34101~34117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234~246 | 1993년 | 대우중공업 | |
247 | 1994년 | 대우중공업 | 6량 편성으로 도입했다. 35101~35102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248 | 1993년 | 대우중공업 | |
249 | 1993년 |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
2049, 2349호는 대우중공업, 2249, 2849, 2549, 2149호는 현대정공 제작했다. 6량 편성으로 도입했고 추가 객차를 달아 10량이 되었다. 34118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250 | 1994년 |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
2250, 2350호는 대우중공업, 2050, 2850, 2550, 2150호는 한진중공업 제작했다. 6량 편성으로 도입했다. 35103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251 | 1993년 | 현대정공 | 6량 편성으로 도입했고 추가 객차를 달아 10량이 되었다. 34119~34122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252~254 | 1994년 | 현대정공 | |
255~262 | 1994년 | 한진중공업 | 6량 편성으로 도입했다. 35104~35118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263~267 | 1995년 | 한진중공업 | |
268~269 | 1996년 | 대우중공업 | |
270~272 | 1996년 | 대우중공업 | 10량 편성으로 도입했다. 34123~34125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273~276 | 1999년 | 한진중공업 | 6량 편성으로 도입했다. 35119~35122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현대로템 2세대 차량 | |||
277~281 | 1993년 | 한국철도차량 | 10량 편성으로 도입했다. 34126~34130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282~287 | 2003년 | 로템 | 6량 편성으로 도입했다. 35123~35128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3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3호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10량 편성 차량이다. 서울교통공사에 관리를 위탁했기 때문인지 다른 전동차와 달리 3000호대 번호를 유지하고 있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1세대 차량 (퇴역) | |||
371~377 | 1995년 | 현대정공 | 373편성: KTCS-M 시범 개조 차량이다. |
378~383 | 1996년 | 현대정공 | |
384~386 | 1997년 | 현대정공 | |
현대로템 3세대 차량 | |||
387~393 | 2022년 | 현대로템 | |
394 | 2023년 | 현대로템 | |
우진산전 차량 | |||
395 | 2022년 | 우진산전 | |
396~399 | 2023년 | 우진산전 | |
368~370 | 2023년 | 우진산전 |
5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10량 편성 차량이다.
순서상 4000호대를 받아야 하지만 디젤기관차가 이미 차지하고 있었기에 5000호대를 부여받은 것으로 보인다. 물론 5000호대 디젤기관차도 있긴 했지만 거의 다 퇴역해서 큰 문제는 없었다. 이후 2011년 차호 개정으로 1호선 차량은 310000 및 319000호대로, 중앙선 차량은 321000호대로 쪼개졌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1세대 차량 | |||
501~506 | 1996년 | 현대정공 | 31101~31118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507~518 | 1997년 | 현대정공 | |
519 | 1997년 | 현대정공 | 2007년 영등포역에서 발생한 충돌 사고로 5119, 5719호가 폐차되었다. 나머지를 4량 짜리 차량 2편성으로 개조하였고 31906~31907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520~528 | 1997년 | 현대정공 | 31119~31141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525, 526편성: 당시 운행중이던 디젤기관차와 번호가 겹쳤기 때문에 도입 당시에는 555, 556을 부여받았다. 해당 기관차가 폐차된 이후 차적을 변경했다. 540~542편성: 5940, 5841, 5941, 5842, 5942호 객차는 1000호대 객차를 재활용했다. |
529~542 | 1998년 | 대우중공업 | |
현대로템 2세대 차량 | |||
543~548 | 2002년 | 로템 | 31142~31165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549~564 | 2003년 | 로템 | |
565~566 | 2004년 | 로템 | |
현대로템 2.5세대 차량 | |||
567~572 | 2005년 | 로템 | 31166~31177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573~578 | 2006년 | 로템 | |
579~580 | 2006년 | 로템 | 개조되어 31901~31905편성 및 32115~32118편성으로 흩어졌다. |
581~585 | 2006년 | 로템 | 31178~31182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586~592 | 2006년 | 로템 | 32101~32107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일부 차량은 32115~32118편성으로 들어갔다. |
6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중앙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10량 편성 차량이다. 2011년 번호가 321000호대로 변경되었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2.5세대 차량 | |||
601~607 | 2006년 | 로템 | 32108~32114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일부 차량은 31101~31105편성 및 32116~32118편성으로 흩어졌다. |
310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10량 편성 차량이다. 일부 차량의 차호가 5000호대였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1세대 차량 | |||
31101~31106 | 1996년 | 현대정공 | 501~518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31107~31118 | 1997년 | 현대정공 | |
31119~31127 | 1997년 | 현대정공 | 520~542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31128~31141 | 1998년 | 대우중공업 | |
현대로템 2세대 차량 | |||
31142~31147 | 2002년 | 로템 | 543~566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31148~31163 | 2003년 | 로템 | |
31164~31165 | 2004년 | 로템 | |
현대로템 2.5세대 차량 | |||
31166~31171 | 2005년 | 로템 | 567~578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31172~31177 | 2006년 | 로템 | |
31178~31182 | 2006년 | 로템 | 581~585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31183~31189 | 2012년 | 현대로템 | 6량만 제작했다. 감량한 중앙선 321000호대 객차를 달고 다니다가 2014년 원래 자리로 복귀해서 운행 중지했다. 이후 2014년 현대로템에서 추가 생산한 객차를 달고 복귀했다. |
31190 | 2010년 | 현대로템 | 2014년 현대로템에서 생산한 객차를 달아 10량으로 증량하고 36114~36115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31191편성는 36114편성으로 다시 차적을 변경했다. |
31191 | 2010년 | 현대로템 | |
31192~31194 | 2013년 | 현대로템 | |
31195~31203 | 2016년 | 현대로템 | |
현대로템 3세대 차량 | |||
31204~31207 | 2019년 | 현대로템 | |
31208~31214 | 2021년 | 현대로템 | |
31215 | 2022년 | 현대로템 | |
우진산전 차량 | |||
31216~31220 | 2022년 | 우진산전 | |
31221~31250 | 2023년 | 우진산전 | |
31251~31256 | 2024년 | 우진산전 |
319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6량 및 4량 편성 차량이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2.5세대 차량 | |||
31901~31905 | 2008년 | 현대로템 | 4량 편성 차량. 10량에서 8량으로 줄이고 남은 5000호대 및 6000호대 전동차를 개조하여 편성했다. |
31906~31907 | 2008년 | 현대로템 | 4량 편성 차량. 사고 난 519편성을 개조하여 편성했다. |
현대로템 3세대 차량 | |||
31908~31910 | 2019년 | 현대로템 | 6량 편성 차량. |
31901~31907편성[편집 | 원본 편집]
광명역의 수요 증대를 위해 셔틀로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를 통짜로 투입했었으나 수요가 거의 없어서 비어다니는 탓에 중앙선 8량화 잔여차량과 5000호대 사고편성을 개조하여 총 7편성을 도입했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로는 최초로 4량 편성이 적용되었다. 또한, 운행구간이 매우 중요한 선구로 차량고장에 대해 민감한 만큼 제어 계통이 최초로 2중계화 되었으며, 구원운전 및 중련 운전 가능성을 감안하여 전기 및 제어 커넥터가 추가된 복합 연결기가 설치되어 있다. 중련 편성 투입은 임시 전동열차 위주로 수 차례 투입된 바 있으나, 출입문 위치가 맞지 않아 승하차 불편이 생기는 점, 후방차량의 경우 승무원 접근이 어려워 지는 점 등의 문제로 인해 사실상 운용되지 않고 있다.
차내설비 면에서 기존 1호선용 차량과 달리 출입문 상단에 LCD 사이니지를 적용하였다. 초기엔 엉성한 디자인의 노선, 정차역 안내가 송출되어 빈축을 샀으나, 현재는 홍보영상 무한반복 위주로 송출되고 있다. 안습.
운행 구간은 다음과 같다.
- 1호선 광명셔틀
- 경의·중앙선 서울역행
- 경의·중앙선 임진강 셔틀
- 1호선 병점 급행 (운행 종료)
변경 전후 차호는 다음 표와 같다.
편성 | 번호 | ||||
---|---|---|---|---|---|
31901 | 현재 | 319001 | 319101 | 319201 | 319901 |
과거 | 6402 | 5379 | 5779 | 5489 | |
31902 | 현재 | 319002 | 319102 | 319202 | 319902 |
과거 | 6406 | 5380 | 5780 | 6404 | |
31903 | 현재 | 319003 | 319103 | 319203 | 319903 |
과거 | 5492 | 5579 | 6506 | 5480 | |
31904 | 현재 | 319004 | 319104 | 319204 | 319904 |
과거 | 5486 | 6504 | 6502 | 5479 | |
31905 | 현재 | 319005 | 319105 | 319205 | 319905 |
과거 | 6405 | 5580 | 6507 | 6401 | |
31906 | 현재 | 319006 | 319106 | 319206 | 319906 |
과거 | 5019 | 5319 | 5519 | 5419 | |
31907 | 현재 | 319007 | 319107 | 319207 | 319907 |
과거 | 5819 | 5219 | 5619 | 5919 |
31908편성~[편집 | 원본 편집]
1편성 6량 짜리 전동차이다. 원래 1호선 연천~광운대 구간에 운행할 예정이었지만 310000호대 전동차(10량)가 운행하기로 변경되어 현재는 수인·분당선 오이도~인천에 운행중이다.
321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중앙선(경의·중앙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8량 편성 차량이다. 일부 차량의 차호가 5000호대 및 6000호대였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2.5세대 차량 | |||
32101~32107 | 2006년 | 로템 | 586~592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32108~32114 | 2006년 | 로템 | 601~607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32115~32117 | 2008년 | 현대로템 | 10량에서 8량으로 줄이고 남은 5000호대 및 6000호대 전동차를 개조하여 편성했다. |
32118 | 2008년 | 현대로템 | 10량에서 8량으로 줄이고 남은 5000호대 및 6000호대 전동차 4량과 2008년 제작한 4량을 합쳐 편성했다. |
32119~32121 | 2009년 | 현대로템 |
331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경의선(경의·중앙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8량 및 4량 편성 차량이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2.5세대 차량 | |||
33101~33113 | 2009년 | 현대로템 | 8량 편성 차량. |
33114~33122 | 2012년 | 현대로템 | 4량 편성 차량. |
33123~33126 | 2012년 | 현대로템 | 4량 편성으로 도입했지만 2014년 8량으로 증량했다. |
33127 | 2012년 | 현대로템 | 6량 편성으로 도입했지만 2014년 8량으로 증량했다. |
현대로템 3세대 차량 | |||
33128 | 2024년 | 현대로템 | 8량 편성 차량. |
341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4호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10량 편성 차량이다. 일부 차량의 차호가 2000호대였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1세대 차량 (퇴역) | |||
34101~34104 | 1993년 | 한진중공업 | 230~246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34105~34117 | 1993년 | 대우중공업 | |
34118 | 1993년 |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
249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34119 | 1993년 | 현대정공 | 251~254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34120~34122 | 1994년 | 현대정공 | |
34123~34125 | 1996년 | 대우중공업 | 270~272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현대로템 2세대 차량 (퇴역) | |||
34126~34130 | 1993년 | 한국철도차량 | 277~281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현대로템 3세대 차량 | |||
34131~34137 | 2019년 | 현대로템 | |
34138~34140 | 2021년 | 현대로템 | |
34141~34155 | 2022년 | 현대로템 | |
34156~34160 | 2024년 | 현대로템 |
351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수인·분당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6량 편성 차량이다. 일부 차량의 차호가 2000호대였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1세대 차량 (퇴역) | |||
35101 | 1994년 | 대우중공업 | 247~248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35102 | 1993년 | 대우중공업 | |
35103 | 1994년 |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
250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35104~35111 | 1994년 | 한진중공업 | 255~269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35112~35116 | 1995년 | 한진중공업 | |
35117~35118 | 1996년 | 대우중공업 | |
35119~35122 | 1999년 | 한진중공업 | 273~276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현대로템 2세대 차량 | |||
35123~35128 | 2003년 | 로템 | 282~287편성에서 차적을 변경했다. |
현대로템 2.5세대 차량 | |||
35129~35133 | 2011년 | 현대로템 | |
35134~35140 | 2012년 | 현대로템 | 4량만 제작했다. 감량한 중앙선 321000호대 객차를 달고 다니다가 2014년 원래 자리로 복귀해서 운행 중지했다. 이후 2014년 현대로템에서 추가 생산한 객차를 달고 복귀했다. |
35141~35143 | 2013년 | 현대로템 | |
35161~35168 | 2011년 | 현대로템 | 직결운행하기 전 수인선 전동차였기 때문에 35134~35160편성 보다 먼저 도입했다. |
35169~35172 | 2013년 | 현대로템 | 직결운행하기 전 수인선 전동차였기 때문에 35144~35160편성 보다 먼저 도입했다. |
35173~39178 | 2017년 | 현대로템 | |
현대로템 3세대 차량 | |||
35144~35147 | 2021년 | 현대로템 | |
35148~35160 | 2022년 | 현대로템 | |
35179 | 2022년 | 현대로템 | |
35180~35181 | 2023년 | 현대로템 | |
35182~35183 | 2024년 | 현대로템 |
361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경춘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8량 편성 차량이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2.5세대 차량 | |||
36101~36113 | 2010년 | 현대로템 | |
36114~36115 | 2010년 | 현대로템 | 31190~31191편성으로 차적을 변경했다. |
36114 | 2010년 | 현대로템 | 원래 36115편성였던 31191편성이 다시 차적을 변경했다. |
현대로템 3세대 차량 | |||
36116~36117 | 2024년 | 현대로템 |
371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경강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4량 편성 차량이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2.5세대 차량 | |||
37101~37112 | 2016년 | 현대로템 |
381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동해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4량 편성 차량이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2.5세대 차량 | |||
38101~38110 | 2016년 | 현대로템 | |
현대로템 3세대 차량 | |||
38111~38117 | 2018년 | 현대로템 |
391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서해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4량 편성 차량이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2.5세대 차량 | |||
39101~39107 | 2017년 | 현대로템 | |
다원시스 차량 | |||
39108~39109 | 2021년 | 다원시스 | |
39110~39117 | 2022년 | 다원시스 |
392000호대[편집 | 원본 편집]
대경선 운행을 위해 도입한 2량 편성 차량이다.
번호 | 제작연도 | 제작회사 | 설명 |
---|---|---|---|
현대로템 3세대 차량 | |||
39201~39207 | 2023년 | 현대로템 | |
39208~39209 | 2024년 | 현대로템 |
각주
한국철도공사 소속 철도차량
| |||||
---|---|---|---|---|---|
고속철도 | 100 KTX | 110·140 KTX-산천 | 120 SRT 대여 | 150 KTX-이음 | 160 KTX-청룡 |
간선형 전동차 | 200 누리로 | 210 ITX-새마을 | 220 ITX-마음 | 368 ITX-청춘 | |
통근형 전동차 | 3000 | 3x1 VVVF 1세대 | 3x1 VVVF 2세대 | 3x1 VVVF 2.5세대 | 3xx VVVF 3세대 |
전기기관차 | 8000 | 8100 · 8200 | 8500 | ||
디젤기관차 | 4400 | 7x00 특대형 | 7600 | ||
퇴역한 차량은 한국철도공사 문서를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