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 통근형 VVVF 전동차 (2세대)

현대로템 통근형 VVVF 전동차
(2세대)
Korail vvvf 2nd gen sindeabang.jpg
온수역에 진입중인 31150편성
철도차량 정보
운영 인천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광주교통공사, 대전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 공항철도, 서울시메트로9호선, 신분당선, 경기철도, 새서울철도, 부산교통공사, 하남시
제작 대우중공업, 한국철도차량, 로템, 현대로템
제작연도 1998~1999, 2002~2018
구조 1편성 4량, 6량, 8량, 10량
제원
궤간 1,435 mm (표준궤)
최고속도 110 km/h
엔진 WN드라이브
가속도 35 km/h까지 3.0 km/h/s
감속도 3.5 km/h/s (상용)
4.5 km/h/s (비상)
제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 제동
전기 교류 25 kV, 60 Hz, 팬터그래프
직류 1,500 V, 팬터그래프
제어 AC VVVF 인버터 1C4M
GTO 사이리스터 (한국철도공사 일부 차량)
IGBT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VVVF 제어를 사용하는 통근형 전동차 중 2세대 차량이다. 1세대와 달리 차량 운전실이 위치한 전두부 형상이 유선형으로 변했다. 한국형 표준전동차의 개발이 거의 마무리되던 시기였기에 제어 장치로 IGBT를 사용한다.(한국철도공사의 일부 차량은 예외)

개발[편집 | 원본 편집]

전동차 부품 국산화와 도시철도 차량 표준 사양을 만들기 위해 1995년부터 한국형 표준전동차 개발을 시작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현대정공 등이 참여하여 1999년 개발을 완료했다. 그 과정에서 IGBT의 국산화와 열차 관리장치인 TCMS(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개발 등의 성과를 이루었다.

이와 더불어 전두부를 유선형으로 제작하고, 객실 중간 창문을 1개만 달 수 있을 정도로 차체 제작 기술이 향상했다.

2004년에 대구 1호선 중앙로에서 일어난 방화로 이후에 생산되는 전동차는 난연성 내장재를 사용하며, 기존에 운행하는 전동차는 2006년까지 난연성 소재로 교체했다.

또한 2007년 철도안전법이 강화되어 전동차 전두부에 타오름 방지장치를 의무적으로 장착한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1세대와 마찬가지로 발주 기업에 따라 외관이 약간 다르다.

발주처 차량 제작 연도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 1000호대 1차분 1998~1999
1000호대 2차분 2007~2008
철도청 2000호대 4차분 1999
2000호대 5차분
5000호대 4~6차분
2002~2004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1·2차분 2003, 2007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1차분 2004~2005
대구광역시지하철공사 2000호대 1차분 2004~2005
부산교통공단 3000호대 1차분 2005
서울메트로 2000호대 1·2차분
3000호대 1차분
2005, 2007~2010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321000호대
331000호대
351000호대
361000호대
371000호대
381000호대
391000호대
2005~2006, 2009~2014, 2016~2017
공항철도 1000호대 1·2차분
2000호대 1~3차분
2005~2006, 2009~2010, 2017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1~3차분 2008, 2011, 2016
신분당선 / 경기철도 D000호대 1·2차분 2010~2011, 2014~2015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1·2차분 2015~2018
하남시 5000호대 3차분 2018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1차분 (1998~1999)[편집 | 원본 편집]

1999년에 개통한 1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8량의 전동차이다. 통근형 전동차 최초로 전면부가 유선형이며, IGBT를 사용한다.

25편성(20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101~119호: 1998년 대우중공업 제작
  • 120~125호: 1999년 대우중공업 제작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차량 11__
Tc
12__
M'
13__
M'
14__
T
15__
T
16__
M'
17__
M'
10__
Tc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한국철도공사 2000호대 4·5차분, 5000호대 4~6차분 (1999, 2002~2004)[편집 | 원본 편집]

철도 동호인들이 흔히 동글이라 부르는 차량이다. 다른 차량들과 달리 후기에 나온 전동차를 제외하면 IGBT가 아닌 GTO 제어를 사용한다.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1·2차분 (2003, 2007)[편집 | 원본 편집]

2004년 개통한 1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4량의 전동차이다. 한국형 표준전동차를 처음 상용화한 차량이며, 따라서 이전 차량과 달리 차체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했다.

23편성(92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101~113호: 2003년 로템 제작
  • 114~123호: 2007년 로템 제작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차량 11__
Tc
12__
M'
17__
M'
10__
Tc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1차분 (2004~2005)[편집 | 원본 편집]

2006년 개통한 1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4량의 전동차이다. 광주교통공사 소속 차량과 마찬가지로 한국형 표준전동차를 상용화한 열차이다.

21편성(84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101~110호: 2004년 로템 제작
  • 111~121호: 2005년 로템 제작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차량 11__
Tc
12__
M'
15__
M'
10__
Tc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1차분 (2004~2005)[편집 | 원본 편집]

2005년 개통한 2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6량의 전동차이다. 한국형 표준전동차를 바탕으로 하지만 차체를 스테인리스로 제작했고 외관은 인천 및 철도청 발주 차량과 닮았다.

30편성(18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201~215호: 2004년 로템 제작
  • 216~230호: 2005년 로템 제작
방향
← 상행
하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차량 21__
Tc
22__
M'
25__
T'
26__
M'
27__
M
28__
Tc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1차분 (2005)[편집 | 원본 편집]

2005년 개통한 3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4량의 전동차이다. 차체는 알루미늄이 아닌 스테인리스를 사용했다.

20편성(8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301~320호: 2005년 로템 제작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차량 30__
Tc
31__
M'
34__
M'
35__
Tc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1·2차분, 3000호대 1차분 (2005, 2007~2010)[편집 | 원본 편집]

해당 차량들은 모두 저항제어 및 쵸퍼제어 차량들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한 차량들이다.

한국철도공사 3XX000호대 (2005~2006, 2009~2014, 2016~2017)[편집 | 원본 편집]

철도 동호인들이 흔히 뱀눈이삼눈이라 부르는 차량이다.

공항철도 1000호대 1·2차분, 2000호대 1~3차분 (2005~2006, 2009~2010, 2017)[편집 | 원본 편집]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2차분 (2007~2008)[편집 | 원본 편집]

2009년 1호선 국제업무지구 연장을 위해 도입한 1편성 8량의 전동차이다. 외관은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3세대)와 유사하다.

9편성(72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126호: 2007년 로템 제작
  • 127~134호: 2008년 현대로템 제작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차량 11__
Tc
12__
M'
13__
M
14__
T
15__
T
16__
M'
17__
M
10__
Tc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1~3차분 (2008, 2011, 2016)[편집 | 원본 편집]

2009년 개통한 9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6량의 전동차이다. 생산시기에 따라 2008년에 제작한 1차분, 2011년에 제작한 2차분, 2016년에 제작한 3차분으로 나뉜다. 3차분은 서울교통공사가 소유하지만 운행은 서울시메트로9호선에 위탁한다.

1차분은 타오름 방지장치가 달려 있지 않다.

3차분의 마지막 차량인 945호를 제외하면 도입할 당시에 4량 편성이었다. 하지만 9호선의 혼잡도가 매우 높았기에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객차를 추가하여 6량으로 늘렸다.

45편성(27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901~924호: 2009년 현대로템 제작 (4량)
  • 925~936호: 2011년 현대로템 제작 (4량)
  • 937~944호: 2016년 현대로템 제작 (4량)
  • 945호: 2016년 현대로템 제작 (6량)
방향
← 하행
상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차량 90__
Tc
91__
M'
92__
M
93__
T
94__
M'
95__
Tc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차량 90__
Tc
91__
M'
94__
M'
95__
Tc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신분당선 D000호대 1·2차분 (2010~2011, 2014~2015)[편집 | 원본 편집]

2011년에 개통한 신분당선을 운행하는 1편성 6량의 전동차이다. 생산시기에 따라 2010~2011년에 제작한 1차분, 2014~2015년에 제작한 2차분으로 나뉘며, 소유 기업은 1차분이 신분당선이고 2차분은 경기철도다.

20편성(120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D01~D10호: 2010년 현대로템 제작 (신분당선 소속)
  • D11~D12호: 2011년 현대로템 제작 (신분당선 소속)
  • D13~D14호: 2014년 현대로템 제작 (경기철도 소속)
  • D15~D20호: 2014년 현대로템 제작 (경기철도 소속)
방향
← 상행
하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차량 D1__
Tc
D2__
M'
D3__
M'
D4__
T
D7__
M'
D0__
Tc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1·2차분 (2015~2017)[편집 | 원본 편집]

1호선을 운행하는 1편성 8량의 전동차이다. 생산시기에 따라 2015~2016년에 제작한 1차분, 2017년에 제작한 2차분으로 나뉘며, 1차분은 다대포해수욕장 연장을 위해, 2차분은 쵸퍼제어 전동차를 일부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2차분은 다른 열차와 달리 농형 유도전동기가 아닌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MSM)를 사용하는 것이 큰 특징이다.

11편성(88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146~147호: 2015년 현대로템 제작
  • 148~151호: 2016년 현대로템 제작
  • 101~105호: 2017년 현대로템 제작
방향
← 상행
하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차량 10__
Tc
11__
M'
12__
M
13__
T
14__
T
17__
M'
18__
M
19__
Tc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3차분 (2018)[편집 | 원본 편집]

2020년 개통한 하남선을 위해 도입한 1편성 8량의 전동차이다. 하남시에서 열차를 소유하지만 운영은 서울교통공사에 위탁했다. 외형은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와 거의 동일하다.

4편성(32칸)을 생산했으며 열차번호와 제작연도는 다음과 같다.

  • 577~580호: 2018년 현대로템 제작
방향
← 상행
하행 →
호차 1호차 2호차 3호차 4호차 5호차 6호차 7호차 8호차
차량 51__
Tc
52__
M'
53__
M
54__
T
55__
T
56__
M'
57__
M
50__
Tc
  • Tc: 무동력객차(운전실 설치),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장비
  • T: 무동력객차
  • M: 동력객차,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 M': 동력객차, 집전기,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장비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