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표준전동차

한국형 표준전동차
Korea Standard EMU Front.jpg
철도차량 정보
제작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작연도 1999년
생산량 2 편성
구조 1편성 4량
Tc-M-M-Tc
제원
궤간 1,435 mm
가속도 3 km/h/s
감속도 3.5 Km/h/s (상용)
4.5 km/h/s (비상)
전기 직류 1,500 V, 팬터그래프
제어 VVVF
보안 ATC, ATS

한국형 표준전동차는 전장품 및 설계의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주관하에 당시 철도차량 제작과 연관되었던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우진산전, 유진기공, 흥일기업 등이 참여하여 1995년부터 프로젝트를 시작, 1999년에 4량 2편성의 시제기를 생산완료한 기술 시험용 전동차이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설계사상[편집 | 원본 편집]

경량 소재인 알루미늄 차체의 상용화를 추구하였고, 주요 전장품의 국산화, 공동 설계에 기반한 설계비용 절약 및 제작비용 절감에 중점을 둔 설계사상을 적용하였다.

차체 및 대차[편집 | 원본 편집]

설계사상에 기반하여 알루미늄 압출재를 차체에 폭넓게 적용, 기존 스테인레스보다 약 20% 정도 경량화가 이뤄졌다. 객실의 창문은 일체화된 통유리를 적용하였고, 국산기술로 개발된 공압식 출입문을 설치하였다. 또한 객차내 화재에 대비하여 기준을 충족하는 노맥스 허니컴제를 적용하였고, 실외 소음 차단을 위한 방음제를 대폭 적용하였다. 객차간 통로에는 기밀형태의 갱웨이가 적용되었다.

대차는 볼스터리스 대차가 적용되었으며 차축 베어링은 경량화된 롤러 베어링이 채택되었다. 제동장치에는 TCMS가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형태의 전기지령 제동을 적용하여 구동대차와 부수대차에 일정한 제동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구동계[편집 | 원본 편집]

직류구간 운행을 상정하고 제작되었다. 제어장치는 현대정공이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의 VVVF 기술 시험 전동차(609편성)에서 얻어낸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여기에는 미쓰비시의 고전압IPM(HVIPM)소자인 CM1200HC-66H(당시 최신형)가 기반이 되었고, 이후 소자 및 제어회로를 국산화한 2레벨 1C4M 제어, 1200KVA의 최고출력을 갖는 자연냉각 방식의 국산 VVVF 인버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하였다. 여기에 220Kw급의 농형 3상 유도전동기 4개를 사용하며, 집전장치에는 하부프레임교차식의 팬터그래프 2개를 장비하고 있다

신호 및 열차방호장치[편집 | 원본 편집]

신호와 운행정보 시스템 또한 국산화하는 사업이 병행되었는데, 이는 ATC를 병행한 ATO로서 1인 승무 및 무인 운행을 상정한 것이었다. 자동항로장치인 TWC 시스템도 국산화 되었고, 차량제어 및 관리시스템으로서 TCMS가 병행 개발되어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에 성공적으로 적용한 후 표준전동차에도 탑재되었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차량 전두부 연결기에는 시바타식 밀착형 자동연결기가 채택되었다. 물론 현재 대한민국 도시철도 차량들은 영업운행시 2편성을 결합한 복합열차 형태로 운행하지 않는다.
  • 객실안내기는 LED 전광판을 객실 천장에 설치하였다.
  • TCMS를 통해 모니터 1개로 일괄제어가 가능한 1인 승무에 최적화된 운전실을 갖추었다.

양산 차량[편집 | 원본 편집]

  • 광주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한국형 표준전동차의 설계가 적용된 최초의 양산형 차량이다. 차체의 크기는 표준전동차의 대형 규격과 달리 중형 전동차 규격으로 축소되어 제작되었으며, 시제차량의 객실 출입문이 플러그인 방식이었던 것과 다르게 양산형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당시 대구 지하철 참사 등 지하철 화재사건으로 경각심이 높아진 시기여서 객실 내장제도 난연성 재질로 교체되었다.
  •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중형 전동차 규격으로 축소되어 제작되었다.
  •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중형 전동차 규격으로 축소되어 제작되었다.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중형 전동차 규격으로 축소되어 제작되었다. 운전실 전면에 설치되었던 비상탈출문이 삭제되었다.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중형 전동차 규격으로 축소되어 제작되었다.
  •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대형 규격을 유지하였고 전장품 등 대부분의 사양이 동일하지만 열차의 형상은 표준전동차와 다른 형상이 적용되었다.
  • 인천국제공항철도 1000호대, 2000호대 전동차
    대형 규격을 유지하였고 전장품 등 대부분의 사양이 동일하지만 열차의 형상은 표준전동차와 다른 형상이 적용되었다. 특히 1000호대 전동차는 직통열차 전용으로 전장품을 제외하면 객실 내부는 도시철도가 아닌 간선 여객철도 차량에 준한다.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3차 도입분
    하남선 연장을 위해 도입한 4편성. 전체적으로 9000호대 전동차와 큰 차이가 없고, 외형적으로 소소한 변경만 존재한다.

현황[편집 | 원본 편집]

애초에 영업운행이 아닌 기술 실증을 위해 2편성만 제작하였고, 시운전을 완료한 이후 여러 곳으로 분산되어 여생을 보내고 있다.

  • 현대로템 내부: 1편성 4량이 방치보존중이다.
  • 국립과천과학관: 1편성 3량이 휴게공간을 겸한 카페열차로 개조당하여 운영중이다.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나머지 1량을 연구원 내부에 보관중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