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에 일어난 일을 모은 문서입니다.
세기 | |
---|---|
←
→
|
|
연도 | |
←
→
| |
기년법 | |
서기 | 2021년 |
단기 | 4354년 |
불기 | 2565년 |
이슬람력 | AH 1442년 ~ AH 1443년 |
일본 | 레이와 |
에티오피아력 | 2015년 ~ 2016년 |
육십갑자 | 경자(庚子) ~ 신축(辛丑) |
주체 | 110년 |
황기 | 2681년 |
히브리력 | 5781년 ~ 5782년 |
| ||||||||||||||||||||||||||||||||||||||||||||||||||||||||
|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새천년의 시작이자 21세기의 첫 출생인 2001년생이 약관[1]/방년[2]의 나이가 되어 본격적으로 성인으로 인정받는 해이자, 그 이듬해인 2002 한일 월드컵 때 출생한 2002년생이 만 19세로서 성인이 된 해. 이 해를 기점으로 21세기에 출생한 성인 인구가 나오기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이 2021년에도 진행 중인것도 모자라서 2021년 한 해를 코로나19로 뒤덮혔다.
하위 문서[편집 | 원본 편집]
사건[편집 | 원본 편집]
1월[편집 | 원본 편집]
- 1월 4일: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의 오만 인근 해역에서 항해 중이던 한국 국적의 케미컬 운반선 1척을 나포했다.[3]
- 1월 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위대가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의 승리 확정을 저지하기 위해 상·하원 합동 회의가 열리는 워싱턴DC 연방 의회의사당에 난입했는데 이 과정에서 4명이 사망했다.[4]
- 1월 20일: 조 바이든이 미국의 제 46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5]
2월[편집 | 원본 편집]
- 2월 1일: 미얀마에서 군사정변이 발생했다.[6]
- 2월 11일: 이재영-이다영 학교폭력 폭로 사건이 촉진제가 되어 배구계 및 연예계 학교폭력 사건 폭로가 줄줄이 터졌으며, 이는 한 달 넘게 이어졌다.
3월[편집 | 원본 편집]
4월[편집 | 원본 편집]
5월[편집 | 원본 편집]
- 5월 10일: 예루살렘의 날을 기점으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7]
- 5월 22일: 백악관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 직후 1979년 체결된 한미미사일 지침이 42년 만에 해제되면서 한국은 탄도미사일 개발에 있어 최대 사거리와 탄두 중량 제한이 모두 해제돼 미사일 주권을 확보하게 됐다.[8]
6월[편집 | 원본 편집]
7월[편집 | 원본 편집]
- 7월 7일: 아이티의 조브넬 모이즈 대통령이 사저에서 괴한들이 쏜 총에 맞아 사망했다.[9]
- 7월 11일: 쿠바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벌어졌다.
- 7월 23일: 2020 도쿄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 7월 26일: 충남 서천, 전북 고창, 전남 신안, 전남 보성·순천 등 4곳에 있는 갯벌을 묶은 '한국의 갯벌'이 한국의 15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선정되었고 자연유산으로는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 이어 두번째이다.[10]
8월[편집 | 원본 편집]
- 8월 15일: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수도 카불이 탈레반에 의해 함락되면서 멸망했다.
- 8월 30일: 미국 국방부는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 철수와 일반인 대피를 완료했다고 공식 발표했고 이에 따라 2001년 뉴욕 세계무역센터 등에 대한 9·11 테러에서 촉발된 미국과 아프간 탈레반과의 20년 전쟁은 공식 종료됐다.[11]
9월[편집 | 원본 편집]
- 9월 11일: 9.11 테러가 20주기를 맞았다.
- 9월 15일
- 국내에서 독자 개발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SLBM(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수중 발사 시험이 성공했고 잠수함에서 SLBM 수중 발사에 성공한 건 미국과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인도,
북한에 이어 세계 7번째이다.[12][13] -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등 3개국 정상은 이날 화상회의를 통해 3국간 새로운 안보협의체인 오커스(AUKUS)를 발족했다고 발표해 호주의 핵잠수함 보유를 위한 기술 지원에 들어간다고 밝혔는데 미국이 2차대전 이후 혈맹인 영국 이외 제3국에 핵추진 기술 이전을 공식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14]
- 국내에서 독자 개발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SLBM(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수중 발사 시험이 성공했고 잠수함에서 SLBM 수중 발사에 성공한 건 미국과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인도,
10월[편집 | 원본 편집]
- 10월 1일: 2020 두바이 엑스포가 이 날 개막했고 2022년 3월 31일까지 열릴 예정이다.[15]
- 10월 2일: 한국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이 인도에서도 1위에 올라 넷플릭스가 정식 서비스되는 83개국에서 1위를 기록한 첫 작품이 됐다.[16]
- 10월 4일: 일본에서 스가 요시히데 내각은 총 사퇴하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자민당 총재가 100대 일본 총리로 공식 선출됐다.[17]
- 10월 5일: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11이 출시되었다.
- 10월 21일: 대한민국의 독자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발사되었다.
- 10월 25일: 2021년 KT 통신장애 사고
- 10월 26일: 노태우 전 대통령이 사망했다.
- 리그베다 위키의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대한민국에서 2021년 요소수 대란이 일어났다.
11월[편집 | 원본 편집]
12월[편집 | 원본 편집]
가상 사건[편집 | 원본 편집]
실제로 일어난 일이 아닌, 작품 등에 등장하는 창작된 사건
출생[편집 | 원본 편집]
가상 인물[편집 | 원본 편집]
사망[편집 | 원본 편집]
- 1월 6일: 래퍼 빅죠
- 1월 16일: 프로듀서 필 스펙터
- 1월 23일
- 1월 25일: 가수 아이언
- 2월 1일: 배우 김보경
- 3월 8일: 배우 이지은
- 4월 9일: 래퍼 DMX
- 4월 17일: 45RPM의 이현배
- 4월 30일: 독립운동가 민영주
- 5월 8일: 정치인 이한동
- 5월 13일: M.C THE MAX의 제이윤
- 8월 18일: 일본의 화가 도미야마 다에코
- 10월 10일: 공학자 압둘 카디르 칸
- 10월 26일: 대한민국의 전 대통령 노태우
- 11월 23일: 대한민국의 전 대통령 전두환
가상 인물[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머리에 갓을 쓴다. 남자의 경우.
- ↑ 머리에 비녀를 꽂는다. 여자의 경우.
- ↑ 호르무즈 해협서 이란에 한국 선박 나포…청해부대 급파, 노컷뉴스, 2021.01.04
- ↑ ‘美 의회 난입’ 트럼프 지지 시위대 4명 사망…전쟁터 방불, 동아일보, 2021.01.07
- ↑ 조 바이든 미국 46대 대통령 취임…“오늘은 민주주의의 날”, KBS 뉴스, 2021.01.21
- ↑ 미얀마서 다시 군부 쿠데타… 아웅산 수치 구금, BBC, 2021.02.01
- ↑ “예루살렘 갈등: 국제사회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에 진정을 호소했다”, 《BBC》, 2021년 5월 11일 작성.
- ↑ 한미정상회담 42년 만에 미사일 '사거리 봉인' 해제…'미사일 주권' 확보, 더팩트, 2021.05.22
- ↑ 아이티 대통령, 괴한 총격에 사망…용의자 4명 사살, SBS 뉴스, 2021.07.08
- ↑ 한국 갯벌 유네스코 세계유산 됐다… 국내 15번째, 세계일보, 2021.07.27
- ↑ 美 "아프간에서 미군 철군 완료...마지막 비행기 떠나", YTN, 2021.08.31
- ↑ 독자 개발 SLBM 수중 발사 성공…세계 7번째, KBS 뉴스, 2021.09.15
- ↑ 국방부는 북한의 SLBM 발사는 완전히 확인되지 않았다며 이번 발사가 북한을 제외하면 '세계 7번째 SLBM 발사 성공'이라고 밝혔다. - SLBM 수중 발사시험 세계 7번째 성공…신형 미사일도 공개, Jtbc 뉴스, 2021.09.15
- ↑ 미·영·호주 대중견제 '오커스' 출범 "호주 핵잠수함 보유 지원"(종합), 아시아경제, 2021.09.16
- ↑ 코로나 뚫고 182일 대장정 시작…'한국관' 첫 날 수천명 몰려, 파이낸셜뉴스, 2021.10.03
- ↑ ‘오징어 게임’ 최초 전 세계 1위…춤·노래 없이 인도도 뚫어, 국민일보, 2021.10.02
- ↑ 기시다 후미오 일본 새 총리 취임, 한겨레, 2021.10.04
- ↑ 독일 '숄츠 시대' 개막… 중도 좌파 '신호등 연정' 닻 올랐다, 파이낸셜뉴스, 20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