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이슈 트래커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경부선/지선

< 경부선(천안직결선에서 넘어옴)
분류: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경부선

이 문서에서는 경부선의 지선에 대해서 다룬다.

목차

  • 1 일반 지선
  • 2 연결선
    • 2.1 천안직결선
    • 2.2 평택직결선
    • 2.3 지제연결선[1]
  • 3 화물선
    • 3.1 남부화물기지선
    • 3.2 부강화물선
    • 3.3 신동화물선
    • 3.4 양산화물선
    • 3.5 평택선
      • 3.5.1 역 목록
      • 3.5.2 평택삼각선
      • 3.5.3 평택직결선
  • 4 삼각선
    • 4.1 용산삼각선
    • 4.2 구로삼각선
    • 4.3 오송선
    • 4.4 대전선
    • 4.5 미전선
    • 4.6 평택삼각선
  • 5 기지선
    • 5.1 구로기지선
    • 5.2 병점기지선
      • 5.2.1 역 목록
    • 5.3 가야선
      • 5.3.1 역 목록
  • 6 각주

1 일반 지선[편집]

연결선 등의 목적이 아니라, 노선으로써 성립할 정도로 충분한 규모인 지선들.

  • 수인선
  • 대구선

2 연결선[편집]

역과 역간을 연결하는 노선들로, 주로 입체교차를 위해 만든 노선들이다.

2.1 천안직결선[편집]

천안직결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개통일 1979년 영업 거리 3.1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2 (전 구간)
번호 30207 전철화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기점 두정 신호방식 ATS
종점 천안
역 수 2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소요산 ~ 청량리 42.9 km 장항선 천안 ~ 신창 19.4 km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청량리 7.8 km 병점기지선 병점 ~ 서동탄 2.2 km
경부선 서울역 ~ 두정 93.6 km 경부고속선 금천구청 ~ 광명 4.6 km
천안직결선 두정 ~ 천안 3.1 km 경인선 구로 ~ 인천 27.0 km


두정역과 천안역을 잇는 노선으로, 경부선을 입체교차해 장항선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원래 천안역 분기로, 경부선과 장항선 방면으로 직결할 계획이 있었으나, 장항선 방면으로 직결할 계획만 남아있던 탓에, 장항선 구간은 개통하지 않았지만 장항선 천안역 구내를 사용하도록 배선이 잡혔다. 이 때문에 고빈도로 운행되는 경부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는 입체교차 전철 노선이 필요했고, 연결선을 이설 신설하게 된다.

경부선을 따라 천안역 북쪽에서 내려와 장항선으로 가는 모든 열차는 이 노선을 이용한다. 경부2선에서 분기하기 때문에, 장항선 일반열차는 반드시 두정역 초입에서 감속하여 선로전환기를 건너야만 하는 난점이 있다.

옛 천안직결선은 천안 서부 성정동 부지를 크게 맴돌아 천안역 구내로 들어가는 노선이었으며, 이는 안성선과 직결하기 위했던 구조물로, 장항선의 전신이 사철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는 개량되어 경부선 바로 옆에 붙어서 분기하고 있으며, 해당 부지는 천안축구센터 부지로 전용되어 사용 중이다.

2.2 평택직결선[편집]

평택선의 운행을 위해 신설된 노선으로, #평택선 단락에서 다루기로 한다.

2.3 지제연결선[1][편집]

Jijeline.jpg
지제연결선 (가칭)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지선철도 개통일 2021년 예정 영업 거리 4.7 km 예정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건설예정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2 (전 구간)
번호 전철화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기점 서정리 신호방식 ATS
종점 지제
역 수 2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된 사업이다. 수원 경유 KTX는 기존 경부선을 경유하여 대전역까지 운행하므로 고속선을 운행하는 일반 KTX에 비해 운행시간이 약 1시간 가량 늘어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수서평택고속선의 지상역이자 경부선과 가장 가까운 지제역 인근에서 연결선을 구축하여 수원 경유 KTX가 지제역 인근 연결선을 경유하여 경부고속선에 합류하는 계획이다.[2]

구간은 서정리역 이남에서 분기하여 지제역 인근에서 수서평택고속선에 접속하는 형태로 예상되며, 천안직결선과 유사하게 경부1선으로 운행하던 KTX가 경부2선으로 선로전환후, 입체교차를 거쳐 수서평택고속선에 합류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해당 구간에 약 2,800억원의 예산이 배정되었으며 설계를 거쳐 2021년 개통을 목표로 한다. 지제 연결선 개통시 수원 경유 KTX의 수원-대전간 소요시간이 현행 1시간에서 40분 이내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3 화물선[편집]

화물 터미널을 잇기 위한 노선들이다.

3.1 남부화물기지선[편집]

남부화물기지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개통일 1984년 7월 20일 영업 거리 3.0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2 (전 구간)
번호 30204 전철화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기점 의왕 신호방식 ATS
종점 오봉
역 수 2


의왕역과 오봉역, 즉 경부선에서 의왕ICD (수도권남부화물기지)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수도권 철도 화물의 중추를 담당하고 있다. 다만 이름이 남부인 것은 84년 당시 수도권의 남부이기 때문이며, 계획 노선상 양재동 인근을 지나, 도농역과 연결하고자 했던 남부순환선을 연결하려던 노선이었으나, 미성선이 되었다.

철도 화물은 이 노선을 통해 의왕ICD로 들어가며, 영동고속도로 동군포 나들목 등과 연계된 군포복합화물터미널과 엮여 도로와의 환적(인터모달)을 수행하고 있다.

3.2 부강화물선[편집]

부강화물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개통일 2010년 1월 2일 영업 거리 2.9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2 (전 구간)
번호 30214 전철화 비전화
기점 부강 신호방식 ATS
종점 부강화물
역 수 2


부강역과 부강화물역을 잇는 화물철도 노선. 중부권내륙화물기지(중부권ICD)로 계획된 노선이고 입체교차까지 되어 있는 호화로운 스펙이지만, 실적은 좋지 않다. 인접한 고속도로도 없고 위치도 애매한데다가 이 지역에선 차라리 평택항으로 바로 가든지 의왕으로 바로 가든지 하는게 사정이 더 낫기 때문이다. 여러모로 안습.

3.3 신동화물선[편집]

신동화물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개통일 2010년 1월 2일 영업 거리 4.7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1 (전 구간)
번호 30215 전철화 없음 (비전화)
기점 신동 신호방식 ATS
종점 신동화물
역 수 2


신동역과 신동화물역 간을 잇는 화물 노선으로, 영남내륙권ICD (경부고속도로 칠곡물류 나들목)와 연결된다. 다른 화물선과는 달리 단선에 평면교차를 사용한다. 수요 역시 그다지 크지 않지만, 부강처럼 시설이 과한 정도는 아니다.

3.4 양산화물선[편집]

양산화물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개통일 2006년 5월 10일 영업 거리 3.5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2 (전 구간)
번호 30213 전철화 없음 (비전화)
기점 물금 신호방식 ATS
종점 양산화물
역 수 2


물금역과 양산화물역을 잇는 화물철도 노선으로, 부산울산권내륙ICD (중앙고속도로지선 물금 나들목)와 연계된다. 전철화는 되어있진 않지만 입체교차를 사용하고 있고, 부산울산권의 튼실한 수요가 받쳐주기 때문에 실적도 좋은 편. 고속도로 건너편에는 양산신도시가 있으며 고속도로를 사이에 두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나란히 달린다.

3.5 평택선[편집]

평택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개통일 2015년 2월 24일 영업 거리 8.8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1 (전 구간)
번호 30216 전철화 없음 (비전화)
기점 경부선 분기점 (평택역 구내) 신호방식 ATS
종점 창내
역 수 3


이름 그대로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철도로, 평택역과 창내역을 연결하는 8.8 km의 단선 철도다. 평택에 건설 중인 미군 기지의 인입선 구간이 먼저 개통된 것으로, 평택선 자체는 향후 포승까지 연결되어 개통하는 서해선과 경부선을 연결하는 철도이자, 군 기지와 포승항에 화물을 나르는 화물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평택선 자체는 단선으로, 신대부터 평택까지의 구간은 경부선의 상행 방향 선로 쪽에 붙어있다. 반대쪽으로 입체교차 하는 선로는 평택직결선으로 따로 분리되어 있다.

평택선과 관련된 지선은 두 노선이 있다. 이들 지선은 여기에서 함께 서술한다.

3.5.1 역 목록[편집]

영업거리표 등재는 기종점 등재기준과 어긋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정상적이라면 경부선 분기점 쪽이 기점이 되어야 하고, 창내역 쪽이 종점이 되어야하지만, 담당자가 잘못 등재한 채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것이다. 리브레 위키에서는 기존 기종점 등재기준을 감안해, 철도거리표에 등재된 기준과 반대로 서술한다.

km 역명 접속 노선
0.0 경부선 분기점 경부선 (직결)
0.8 평택 平澤 경부선
3.2 신대 新垈 평택삼각선
평택직결선
8.8 창내 倉內

3.5.2 평택삼각선[편집]

평택삼각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개통일 2015년 2월 24일 영업 거리 2.2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1 (전 구간)
번호 30217 전철화 없음 (비전화)
기점 경부선 분기점 (지제역 방면) 신호방식 ATS
종점 신대
역 수 1


경부선 상행 방면으로 연결되는 선로로, 지제역 방향으로 연결된다. 이 역시 마찬가지로 기종점이 뒤집혀 있다.

3.5.3 평택직결선[편집]

평택직결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개통일 2015년 2월 24일 영업 거리 2.1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1 (전 구간)
번호 30218 전철화 없음 (비전화)
기점 경부선 분기점 (평택역 구내) 신호방식 ATS
종점 신대
역 수 1


경부선 하행 방향 선로와 연결할 목적으로 경부선과 입체교차되는 노선을 별도로 분리하였다. 즉, 실질적으로 평택부터 신대까지의 구간은 복선이 되는 것. 평택직결선 또한 기종점이 뒤집혀있다.

4 삼각선[편집]

더 많은 정보는 삼각선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1 용산삼각선[편집]

용산삼각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삼각선 (지선철도 · 일반철도)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영업 거리 0.5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선로 수 1 (전 구간)
번호 30201 전철화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기점 경부선 분기점 (한강철교 인근) 신호방식 ATS
종점 경원선 분기점 (한강대교 밑)
역 수 0


경부선 3선(전동급행) 하행과 경원선 하행 방향을 잇는 삼각선으로, 단선 평면교차 삼각선이다. 한강철교(A/B선) 북단에서 분기하며, 아주 좁은 곡선반경을 그리며, 경원선 한강대교 밑 절연구간으로 이어진다. 경원선 쪽은 공간도 모자라서 곡선부 통과 싱글슬립 분기기를 사용할 정도며, 때문에 운전에 여러모로 애로사항이 꽃피는 노선. 하지만 수도권 철도가 너무 빈약한 나머지 중앙선과 경부선을 직접 잇는 선로는 충북선까지 내려가야 있고, 다행히도 경부선 접속이 그나마 중요성이 조금 떨어지는 3선이다보니 어쩔 수 없이 이 노선이 사용되는 경우가 생각보다 자주 있다. 현재는 과감하게 분기를 이설해서 싱글슬립 및 장대 절연구간 문제가 해소되었다.

4.2 구로삼각선[편집]

구로삼각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삼각선 (지선철도 · 일반철도)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영업 거리 1.2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선로 수 1 (전 구간)
번호 30202 전철화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기점 경부선 분기점 (구로기지 옆) 신호방식 ATS
종점 경원선 분기점 (구일역 직전)
역 수 0


경부선과 경인선을 이어주는 삼각선이다. 경부선의 구로역과 가산디지털단지역 사이에서 분기하여 경인선의 구로역과 구일역 사이에서 경인선과 합류한다.

구로삼각선이 합류하는 경부선은 그야말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열차빈도가 높은 지점으로, 정시성을 크게 개의치 않는 화물열차만 정기적으로 운행하며 그나마도 반드시 경부선을 경유해야만 하는 화물 위주로 소수만 설정되어 있다. 경인선 화물열차들 다수가 운전에 애로사항이 많은데도 용산삼각선을 경유하는 경로로 잡히는 이유가 이 구간을 통과하기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이다. 여객열차는 경인선 임시열차가 극히 드물게 설정된다. 역시 경부선 통과가 어렵기 때문.

4.3 오송선[편집]

오송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삼각선 (지선철도 · 일반철도) 개통일 1978년 5월 1일 영업 거리 4.6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2 (전 구간)
번호 30208 전철화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기점 서창 신호방식 ATS
종점 오송
역 수 2


경부선 상행과 충북선 하행을 잇는 삼각선. 최초 개업시에는 서창선이라고 불렸으며, 동시에 서창역이 개설되었다. 조치원 방면의 충북선이 단선인데도 불구하고 삼각선이 복선이다. 미전선과 비슷한 케이스지만, 미전선은 그래도 여객 열차가 더 자주 다니는 경로니 그렇다 쳐도, 이 쪽은 여객열차가 별로 다니지 않음에도 복선이다. 그도 그럴 것이, 충북선은 중앙선 · 태백선 방면의 화물열차가 경부선에 도달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경로고, 오송선은 수도권 방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긴 노선이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화물열차가 상당히 많이 다니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노선.

4.4 대전선[편집]

대전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삼각선 (지선철도 · 일반철도) 개통일 1911년 1월 10일 영업 거리 5.7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1 (전 구간)
번호 30209 전철화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기점 대전 신호방식 ATS
종점 서대전
역 수 2


원래 호남선의 일부였던 노선. 일제강점기 당시 호남선은 일본 연결과 쌀 수탈이 주 목적이었기 때문에, 대전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 당시만 해도 대전역에서 열차를 세운 뒤 기관차의 방향을 돌려서 붙였고, 그 때문에 정차시간이 꽤 되어서 대전역 가락국수가 한동안 명물이 되었고, 현재도 그 이름이 남아있는 배경이 되었다. 그러던 것을 광복 이후 대한민국이 근대화되고 서울 중심의 교통 체제가 갖추어지면서 경부선 상행 방향 대전조차장역에서 호남선 서대전역을 지장 없이 잇는 노선인 오정선이 지어진다. 이후 오정선은 대전선으로 이름이 바뀌고, 열차들 대부분이 대전선 - 호남선 경로를 이용하기 시작한다. 열차의 방향을 돌릴 일이 없어지니 대전역 가락국수도 이름만 남게 되었다. 사실상 대전선에 열차가 거의 다니지 않게 되고, 호남선의 비중이 훨씬 더 당시 대전선 쪽으로 쏠린 탓에, 그 경로를 호남선으로 바꾸고, 원래 호남선이었던 서대전 ~ 대전 구간을 경부선의 지선인 대전선으로 격하한다.

그래도 한동안 대전선을 경유하는 열차가 남아있었다. 호남선 구간 열차가 대전역 발착으로 운행했었는데, 경부고속선 시내 구간 개통 이후 배선이 평면교차를 해야만 여객취급을 할 수 있을 수준으로 바뀌어 버린 탓에, 더 이상 여객 영업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대전역 수하물 취급소라도 여객화 하지 않는 이상에야 여객 영업 부활도 어렵게 되었다. 여러모로 안습한 구간.

4.5 미전선[편집]

미전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삼각선 (지선철도 · 일반철도) 개통일 1945년 6월 1일 영업 거리 1.6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2 (전 구간)
번호 30211 전철화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기점 미전 신호방식 ATS
종점 낙동강
역 수 2


경부선 하행과 경전선을 이어주는 삼각선이다. 경부선의 미전역에서 분기하여 경전선의 낙동강역에서 합류한다. 호남선과 마찬가지로, 원형이 되는 마산선 부설 당시 일제의 빠른 수탈, 연결을 목적으로 선로의 방향이 부산 방향으로 접속되어 있었기에 서울발 열차는 삼랑진역에서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었다. 이 과정이 번거로웠던데다가, 일제 말엽에 미전선이 부설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까지 구조상 평면 교차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경부선에 심각한 운행 지장을 초래하고 있었으며, 심지어 1994년에는 무궁화호 충돌 사고로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 사고와 복선 전철화, KTX 운행 계획이 맞물리면서 결국 입체화가 진행되었고, 2003년경 공사가 완공되어 2004년부터 정식 복선화되었다. 오송선과 마찬가지로 본선은 단선이지만, 삼각선이 복선인 케이스. 다만 미전선은 여객 영업이 훨씬 더 활발한 편이라, 옛 대전선 (현 호남선)과 같은 느낌에 가깝다.

4.6 평택삼각선[편집]

평택선의 운행을 위해 신설된 노선으로, #평택선 단락에서 다루기로 한다.

5 기지선[편집]

철도 차량의 기지를 잇는 노선.

5.1 구로기지선[편집]

구로기지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개통일 1974년 8월 15일 영업 거리 1.4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2 (전 구간)
번호 30203 전철화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기점 구로 신호방식 ATS
종점 구로기지
역 수 1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양 갈래, 경부선과 경인선 사이에 끼어 있으며, 운행의 중심역인 구로역과 연결되는 기지선이다. 구로역이 1호선의 중추다보니, 기지의 중요성이 매우 높은 편. 하지만 구로차량사업소와 동부간선도로 사이 고립된 공간에마저 택지가 조성되면서, 이 지역에 입주한 주민들의 불만(이른바 구일섬)이 제기되었고, 차량기지를 이설하는 사업이 추진 중이다. 사실상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낸 케이스지만, 그만큼 서울의 주거 부족과 과밀화가 심했다는 증거기도.

5.2 병점기지선[편집]

병점기지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개통일 2003년 4월 30일 영업 거리 2.2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2 (전 구간)
번호 30206 전철화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기점 병점 신호방식 ATS
종점 서동탄
역 수 2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소요산 ~ 청량리 42.9 km 장항선 천안 ~ 신창 19.4 km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청량리 7.8 km 병점기지선 병점 ~ 서동탄 2.2 km
경부선 서울역 ~ 두정 93.6 km 경부고속선 금천구청 ~ 광명 4.6 km
천안직결선 두정 ~ 천안 3.1 km 경인선 구로 ~ 인천 27.0 km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기지인 병점기지와 병점역을 이으려고 만든 노선이다. 원래는 경부선의 일부로, 당시 경부선은 세마대지를 무려 터널로 통과하여 지나가는 선형이었다. 하지만 고가 직선화를 통해 세마역까지 상구배, 오산대역까지 하구배를 발라 직선화를 시켜버렸으며, 때문에 그 남은 선형을 활용해 병점기지선을 만들었다.

문제는 이 지역이 동탄신도시 부지였다는 것. 동탄신도시 옆에 들어선 탓에 민원 소지가 충분히 많았고, 나아가 이 노선을 활용해 여객역을 만드려는 움직임이 일어났으며, 덕분에 2010년 2월 26일 서동탄역 연장이 이루어졌다. 이후 기지출입고 열차 외에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이 노선을 활용해 운행 중.

5.2.1 역 목록[편집]

km 역명 접속 노선
0.0 병점 餠店 경부선 · ● 1호선 (천안 방면)
1.4 병점기지
2.2 서동탄 西東灘

5.3 가야선[편집]

가야선
정보 운영 시설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개통일 1944년 6월 10일 영업 거리 8.3 km
운행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궤간 표준궤 1,435 mm
상태 영업 중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수 2 (전 구간)
번호 30212 전철화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기점 사상 신호방식 ATS
종점 범일
역 수 3

경부선의 우회선으로, 경부선이 남쪽으로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가야역을 지난다면, 이 노선은 북쪽으로 가야역과 가야차량사업소를 지나 동해선의 말단 구간에 이르는 노선. 경부선에 문제가 생기면 우회선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사상부터 가야까지의 구간은 부전선과 함께 동해선과의 삼각선을 이루기 때문에, 부전역 발착 열차는 여기를 지나간다. 덤으로, 2004년 12월에 전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었으며, 화물열차의 통행량 분산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5.3.1 역 목록[편집]

km 역명 접속 노선
0.0 사상 沙上 경부선
주례 周禮 (과거 동서통근열차 시절 임시승강장)
5.1 가야 伽倻 부전선
8.3 범일 凡一 동해선
동해선 부산진역 방면 직결

6 각주

  1. ↑ 공식적인 명칭은 확정되지 않았다.
  2. ↑ 수원발 KTX 달리고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 열린다, 경인일보, {[날짜|2016-6-20}}
보기 • 편집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일반철도 노선
고속 경부고속(지선) 호남고속 수서평택고속
준고속 경강(원주~강릉)
일반 경인 경부(지선) 경의(지선) 호남(지선) 경원 충북
경전(지선) 장항(지선) 전라(지선) 경춘(지선) 동해(지선) 중앙(지선)
영동(지선) 경북(지선) 태백(지선) 안산(지선) 과천 분당(지선)
일산 신분당 서해(지선) 인천공항(지선) 경강(성남~여주)
중부내륙 남부내륙
사유 화순선 포스코선 광양제철소선 당진제철소 내부 철도
광역철도로 지정된 노선은 광역철도 노선 참조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 참조
지선은 소속 노선 옆에 표기함.
Ambox move.png
이 문서 내용의 일부는 천안직결선 문서의 339837판에서 가져왔습니다.
Ambox move.png
이 문서 내용의 일부는 남부화물기지선 문서의 333985판에서 가져왔습니다.
Ambox move.png
이 문서 내용의 일부는 구로삼각선 문서의 339836판에서 가져왔습니다.
Ambox move.png
이 문서 내용의 일부는 대전선 문서의 333990판에서 가져왔습니다.
Ambox move.png
이 문서 내용의 일부는 미전선 문서의 334007판에서 가져왔습니다.
  • 이 문서는 2019년 11월 24일 (일) 14: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브레위키 협동조합 | 대표이메일 : coop@librewiki.net (수신전용)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